한국 교회 내의 다양한 신학의 흐름들을 저자가 자신의 언어로 소화하여 소개한 역작.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교파적인 배경을 뛰어넘어 한국교회의 신학적 성과들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저자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 교회의 성령 체험을 설명해내는 신학적 성취가 인상적이다.
박종천
감리교신학대학을 졸업하고, 에머리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석사를, 에머리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를 거쳐 KNCC통일위원회, 신학위원회, 국제위원회 위원, 아이리프신학대학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세계감리교 옥스퍼드학회 임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상생의 신학』(1991), 『기어가시는 하느님』(1995)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폴 틸리히의 역사이해의 범주”(1986), “한국적 성령신학의 창조적 형성” Ⅰ-XI(1996-1997) 등이 있다.
Ⅰ. 제3신학의 태동
들어가는 말
에큐메니칼 상황
하느님께로 향하라 그리고 하느님과 함께 기어라!
희망 안에서 기뻐하라 그리고 성령 안에서 춤추라!
우주적-역사적 신인 참여
Ⅱ. 한국적 성령신학의 모태
한글성서와 복음의 원형적 체험
통성기도와 보편적 신앙공동체의 형성
성령운동과 사회제도의 개혁
한국 교회 성령운동이 나아갈 길
Ⅲ. 한국적 성령신학의 패러다임
산과 시장, 사람과 하느님
성산(聖山)을 유람하며
성산에서 시장바닥으로
Ⅳ. 성령신학과 문화신학
한국의 토착화신학과 문화의 문제
「순이 삼촌」: 텍스트의 앙상블
문화의 치유자 성령
종의 자세로 죽은 자들과 산 자들을 목양하는 성령의 공동체
Ⅴ. 성령신학과 정치신학
바른 교리(Orthodoxy), 바른 실천(Orthopraxy), 바른 경험(Orthopathy)
예수는 죽이고 그 옷만 나누는 현대 교회야!
이 성전을 헐라!
Ⅵ. 성령신학과 종교다원주의
1. 일사각오의 신앙과 유교적 기독교
2. 선비정신과 한국 교회
Ⅶ. 성령신학과 생명신학
1. 3박자 구원: 순복음의 메시지
2. 4차원의 영적 세계: 순복음을 넘어서
Ⅷ. 성령신학과 복음적 에큐메니즘
1. 고난의 현장에 사랑의 불꽃으로
2. 해방의 수사학
Ⅸ. 성령신학의 삼위일체적 구조
1. ‘약자가 문명을 바꾼다’
2. 상생을 위한 삼위일체
Ⅹ. 기어가시는 하느님
1. 시대의 광야에서 다시 읽는 토라
2. 안식일, 안식년, 희년
XI. 성령 안에서 춤추라!
1. 내 삶의 이야기
2. 신-신유교여 안녕!: 분단체제라는 용의 뱃속의 요나
3. 손에 손 잡고 벽을 넘어 성령 안에서 춤추는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