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가 침체기에 접어들게 된 이유를 종교다원주의 문제에서 분석한 미래보고 연구서. 저자는 보수주의와 진보주의가 갖는 극단주의 시각을 비판하고 각 진영의 장점을 부각시킴으로 해서 양자의 화해를 모색하고 있다. 화해의 지향점은 그리스도 중심의 다원주의에 닿아 있다.
장왕식
감리교신학대학교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Garret-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를, 미국 The Claremont Graduate School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과정사상연합회 부회장, 한국 화이트헤드 학회 국제교류 이사, 한국철학회 이사로 있다.
제1부 종교다원주의에 직면한 기독교
제1장 한국 기독교에 미래는 있는가
한국 기독교, 무엇이 문제인가
왜 보수적 배타주의는 진정한 대안이 될 수 없는가
그렇다면 종교다원주의는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우리는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제2장 상대주의의 득세와 종교다원주의
1. 상대주의란 무엇인가
2. 해석학과 상대주의
3. 상대주의와 종교다원주의
제3장 종교다원주의와 관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종교다원주의와 규범으로서의 관용 개념
종교다원주의와 관용 정신의 철학적 근거
규범으로서의 관용 정신이 갖는 문제점
관용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제2부 그리스도 중심적 다원주의와 예수의 독특성
제4장 그리스도 중심적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1. 보수주의의 개종적 화해론
2. 종교다원주의의 대화 방법론
3. 그리스도 중심적 다원주의의 대화 방법론
제5장 독특성과 유일성에 관하여
1. ‘유일성,’ 무엇이 문제인가
2. 고립적 유일성 대 관계적 유일성
3. 그렇다면 예수는 어떤 식으로 유일한가
제6장 예수는 어떤 사실에서 구체적으로 독특한가
‘신앙칭의’와 기독교의 독특성
예수의 죽음과 부활 및 성육신 사건과 기독교의 독특성
하나님의 나라와 예수의 독특성
예수의 독특성에 대한 과정신학적 논변
제3부 상대주의를 품고 넘어서기
제7장 다원주의 시대에 어떻게 선교에 성공할 것인가
다원주의의 덫에 걸린 오늘의 선교신학
변혁의 종교로서의 기독교
일방적 선교 방법론을 넘어서기
상호 변혁적 선교론이 선교에 성공할 수 있는 이유
제8장 상대주의를 품는 현대의 신학
관계의 철학이란 무엇인가
관계의 철학과 상대주의의 태동
내적 관계론과 상대주의
제9장 상대주의를 넘는 과정신학
상대주의의 문제점
상대주의를 극복하는 전통적인 대안
신 없이 상대주의를 넘어서기: 선불교의 경우
과정신학의 유신론과 상대주의적 신
신의 절대성과 상대주의의 극복
결론: 과정신학의 하나님과 예배의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