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종교론(pod)

종교를 멸시하는 교양인을 위한 강연

저자 쉴라이에르마허 | 최신한 옮김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2-09-05
규격 신국판(양장) | 280쪽
ISBN 89-511-0519-9 93110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품절

품절된 도서입니다.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윤리학이나 형이상학과는 전혀 다른 종교의 고유성과 불변성을 밝힌 명저. 책 곳곳에 낭만주의의 시대정신이 깔려 있으며 저자 스스로도 낭만주의 문학의 서술방식을 택해 서술함으로써 종교의 고유성을 가능한 한 생동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지은이

쉴라이에르마허
슐레지엔 브레슬라우에서 출생하였다. '근대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헤른푸트 형제단 학교에 입학, 경건주의적 분위기에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 형제단의 신앙에 회의를 품고 1787년에 할레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곳에서 2년간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였다. 5년 후 베를린의 자선병원 목사가 되어 의사인 마르크스 헤르츠의 살롱에 출입하게 되었는데, 거기서 알게 된 낭만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아 『종교론』(1799)을 썼다. 1804년 할레대학교 교수로 초청되었으나, 얼마 후 나폴레옹군(軍)의 침입으로 대학이 폐쇄되었기 때문에 베를린으로 가서 훔볼트 형제와 J. G.피히테 등과 더불어 베를린대학교 창립에 진력하고, 이 대학 신학부의 교수로 끝까지 머물러 있었다. 그는 교편을 잡는 한편, 설교가로도 활약하였는데, 특히 해방전쟁 때는 설교를 통하여 민족주의를 고취하여 애국설교가라는 명성도 얻었다. 그는 또한 루터파와 개혁파의 통합운동에도 힘써 신학분야뿐만 아니라, 철학·교육학·미학 등의 영역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저서로는 『독백록(獨白錄)』(1800), 『그리스도교적 신앙(일명 신앙론)』(1821∼1822) 등이 있다.




♣ 옮긴이

최신한




첫째 강연: 종교 변증론
Ⅰ. 어떻게 해서 슐라이어마허는 종교와 같이 잊혀진 것에 대해 강연하게 되었나?
Ⅱ. 슐라이어마허는 왜 하필 교양인들에 대해 묻는가?
Ⅲ. 교양인들은 왜 그의 말을 경청해야 하는가?
Ⅳ.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를 어떻게 변증하려 하는가?

둘째 강연: 종교의 본질에 대하여
Ⅰ. 종교는 사람들이 보통 생각하듯이 지식이나 행위가 아니며, 형이상학이나 도덕, 혹은 이 둘의 합성물도 아니다.
Ⅱ. 종교는 우주의 영원하고 이상적인 내용과 본질에 대한, 그리고 무한자와 시간적인 존재 가운데 있는 영원자에 대한 경건한 직관이며 느낌이다.
Ⅲ. 교의와 특정한 교의적 개념은 종교의 본질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이차적이며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어야 하고 전통적인 의미와는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
Ⅲ-1. “신”과 “영혼불멸성”에 대한 특별 부록

셋째 강연: 종교의 형성과 교회에 대하여
머리말
Ⅰ. 인간은 어떻게 종교로 형성되며 이는 무엇으로부터 이루어지는가? 왜 요즈음 사람들은 이에 대해 비관적으로 생각하는가?
Ⅱ. 이 시대가 안고 있는 종교의 장애는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가? 그러나 이 시대는 종교가 힘있게 발전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넷째 강연: 종교 내적 교제에 대하여, 혹은 교회와 성직에 대하여
머리말
Ⅰ. 진정한 교회, 진정으로 경건한 사람들의 연합은 필연적이며 비판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Ⅱ. 정당한 비판과 공격은 종교에 해당된다기보다 진정한 교회를 에워싸고 있는 ‘교의적 교회’에 해당된다. 종교는 필연적인 것이지만 불가피하게도 궁경(窮境)에 얽혀 있다.
Ⅲ. 이러한 교의적 교회에 가장 곤란한 짐을 지우는 것은 종교가 아니다. 그것은 한편으로 종교에 거짓으로 경의를 표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를 부당하게 이용하는 국가이다.
Ⅳ. 이러한 궁경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제안
Ⅴ. 종교를 위해 활동하고자 하는 경건자들이 이 궁경을 개선하기 위해 취해야 할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충고
맺음말: 진정한 교회를 위한 송영

다섯째 강연: 여러 종교들에 대하여
Ⅰ. 종교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개별 종교를 탐구해야 한다.
Ⅱ. 개별 종교 고찰: 특히 그리스도교와 유대교 고찰
맺음말

해제: 근원적 새로움의 개성적 자기화
슐라이어마허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