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현대과학과 그리스도교(POD)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6-03-30
규격 신국판 | 302쪽
ISBN 89-511-0829-5 93230
정가 12,000원
판매가 10,8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과학시대의 그리스도인! 그것이 우리의 실존적 상황이며, 이제 과학은 당연히 그리스도교 신학의 핵심적인 주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 교회는 자연과학을 소홀히 해온 경향이 있다. 과학시대에 현대적 삶을 살며 교회가 그 안에 존재하는 한, 그리스도인은 더 이상 과학을 경시하거나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자연과학의 눈부신 발전이 이룩한 우주의 근원과 생명의 신비에 대한 새로운 발견에 주목하고 과학에 대한 우리의 신학적 입장과 안목을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현대과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하는 것은 이 시대의 화두이며 그리스도인에게는 “현대과학을 어떻게 성경과 함께 읽을 것인가”하는 질문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의 목적은 현대 자연과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독자들 스스로 이 화두를 깨치게 하는데 있다.




김흡영
김흡영 교수는 서울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미국 프린스턴 신학대학을 거쳐 미국 Graduate Theological Union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 대학 세계종교연구소, GTU 신학과학연구소(CTNS),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고등신학종교연구원, 일본 도시샤 대학 객원 연구원이었다.
현재 강남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이며, 동 대학 제1대 학장, 신학대학원장, 교목실장, 우원연구소장을 역임하였다. 그는 종교와 과학 간의 대화에 있어서 세계최고의 권위를 가진 International Society for Science and Religion(ISSR)의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한 창립회원이자 정회원이다. 종교와 과학, 종교 간의 대화, 문화·종교신학, 조직신학 분야에서 왕성한 저작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히 해와 출판업적이 눈부시다.
그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John Templeton Foundation의 GPSS Award를 비롯하여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1996), Christ and the Tao(2003), 역서로는 『과학과 종교: 새로운 공명』(2002) 등이 있다.




머리말: 현대과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론 신학과 자연과학의 관계(유형론)
1. 충돌
2. 독립
3. 대화
4. 통합

제1부 사이버스페이스: 꿈이냐? 생시냐?
제1장 사이버스페이스
1. 사이버스페이스의 출현
2. 사이버스페이스: 이 시대의 성배?
3. 사이버스페이스: 또 하나의 바벨탑?
4. 사이버스페이스와 그리스도교의 역할

제2장 가상현실
1. 가상현실과 사이버스페이스
2. 매트릭스
3. <매트릭스>와 장자의 꿈: 실재성, 사이버 시대의 화두
4. 몸과 숨의 영성


제2부 생명과학과 인류의 미래
제1장 인간복제
1. 인간복제의 충격
2. 유전자신화
3. 복제인간의 영혼
4. 복제아이의 존엄성과 가족관계

제2장 휴먼지놈 프로젝트
1. 유전자 차별
2. 임신중절
3. 유전자특허권
4. 생식유전자 중재

제3장 인간 배아줄기 세포
1. 21세기 생명과학의 화두
2.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생명성
3.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연구의 한계
4.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사회정의

제3부 사회생물학과 종교
제1장 이기적 유전자
1. 이기적 유전자와 로봇 생존기계
2. 문화적 유전자
3. 평가

제2장 사회생물학
1. 사회생물학의 등장
2. 성
3. 이타주의
4. 종교
5. 평가

제3장 사회생물학자가 본 그리스도교
1. 들어가는 말
2. 멋진 신세계를 위한 새로운 윤리
-유전자의 눈 높이에서 본 생명
3. 나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