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를 이해하는 방법론은 매우 다양하다. 지금까지 동원(?)된 방법들만 해도 자료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 역사비평, 문헌비평, 수사학 비평 등 셀 수 없이 많다. 이 책, 『마가복음과 생존의 수사학』은 이러한 다양한 성서 방법론 중 수사학 비평을 중심으로 마가복음에 접근한다. 새로운 것은 ‘생존’의 관점에서 마가복음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생존’은 단순히 목숨을 유지하는 행위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마가복음에서 나타난 ‘생존’의 의미를 성도들이 시시각각으로 조여 오는 감시와 박해와 위협의 시련을 감내하며 예수를 따라 자기 십자가를 지는 행위로 해석한다.
저자는 마가복음이 성도들의 이러한 기독교적 ‘생존’을 위해 직·간접적인 묵시적 메타포(은유)들을 담고 있음을 밝히며 이를 통해 마가가 전하려고 했던 메시지-십자가 복음과 사랑의 보편주의-를 명쾌하게 전하고 있다.
서용원
연세대 신학과를 졸업한 뒤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신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호서대학교 신학부 신약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신약성서에 나타난 원시교회의 이단과 분파연구』, 『누가복음의 안식사상과 예수의 희년 선포』, 『사도행전과 초대교회의 복음운동』, 『신약성서의 이해』등이 있다.
1장 생존: 성서연구의 새로운 모색
1. 인간과 생존의 복음
2. 생존을 위한 성서의 교훈
3. 인류의 구원을 위한 생존의 복음
2장 생존의 수사학과 마가복음
1. 성서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2. 최근의 동향
3. 생존의 의미
4. 생존의 수사학의 제안 배경
5. 생존의 수사학과 마가복음 연구
3장 마가복음 연구의 어제와 오늘
1. 초대교회에서 역사비평기까지
2. 최근의 동향
4장 마가복음의 역사적·문화적 배경
1. 서론
2. 마가복음의 배경에 대한 접근들
3. 생존의 수사학으로서의 마가복음: 역사적 배경
4. 생존의 수사학으로서의 마가복음: 문화적 배경
5. 결론
5장 마가복음의 공간 정체성
1. 서론
2. 마가복음 연구와 공간 개념의 중요성
3. 마가복음의 갈릴리-예루살렘과 공간 정체성
4. 마가의 공간 담론과 생존의 수사 구조
5. 결론
6장 마가의 예수: 마가 기독론의 생존 모티브
1. 예수에 대한 물음
2. 마가의 기독론 연구사
3. 마가 공동체의 삶의 자리
4. 마가 기독론의 생존 모티브
5. 결론
7장 메시아 비밀: 침묵 혹은 생존의 수사학
1. 브레데의 ‘메시아 비밀’ 가설의 내용
2. ‘메시아 비밀’의 목적
3. 브레데의 ‘메시아 비밀’ 가설에 대한 평가
4. 메시아 비밀 주제와 황제 숭배
5. 생존의 수사학으로서의 비밀 동기들
8장 메시아 개념에 관하여
1. 메시아의 의미와 기원
2. 메시아 개념의 발전
9장 예수의 비유: 묵시문학 공동체의 생존 메타포
1. 예수 비유 연구사
2. 4: 1-34의 수사비평적 접근
10장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 남은 자들과 공동체 윤리
1. 서론
2. 마가복음의 제자직에 관한 해석
3. 마가 공동체의 삶의 자리와 생존을 위한 수사학
4. 결론
11장 소묵시록(13장)과 마가 신앙의 지평
1. 서론
2. 13장에 대한 해석들
3. 13장의 구조와 위치에 반영된 때와 제자직
4. 결론
12장 신약성서에서 사라진 사건들과 사람들
1. 서론
2. 예수 시대 이스라엘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과 메시아 운동
3. 신약성서에서 사라진 사건들과 사람들과 그 배경
4. 신약에서 사라진 사건/사람들과 예수운동과의 관계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