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연구’로 널리 알려진 한신대학교 전경연 명예 교수가 바울서신의 최근 연구 동향과 신학적 논쟁들을 자신의 언어로 풀어 설명한 책이다. 로마서의 본문 주석과 주요 신학 문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전경연
일본 동경신학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신학교 대학원에서 신학석사, 보스톤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신대 교수 및 대학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신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신약성서신학서설』, 『예수의 비유』, 『로마서 연구』, 『마태복음 주석』, 『바르트 교의학 개요』, 『예수의 교훈과 윤리』, 『원시 기독교와 바울』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희망의 신학』, 『예수는 자유를 의미한다』, 『바울 선교와 사회적 상황』 등이 있다.
Ⅰ. 로마서 집필의 시기와 동기
1. 집필의 시기
2. 집필의 동기와 목적
3. 로마의 유대교 회당과 그리스도 공동체의 발생
4. 클라우디오 칙령이 그리스도교에 끼친 영향
Ⅱ. 바울에게서 하나님의 의
1. 논의의 초점
2. 신학적 토론의 발단과 현재의 논의
3. 하나님의 의의 구약성서 전통 안의 근거
4. 로마서 3장 21-26절의 석의
5. 바울이 사용한 원시교회의 전통
6. 맺는 말
Ⅲ. 구원사와 아브라함의 의인 신앙
1. 안내의 말
2. 빌켄스의 주장
3. 클라인의 반격의 내용과 빌켄스의 답변
4. 맺는 말
Ⅳ. 바울의 율법 이해는 발전하였는가
1. 문제
2. 갈라디아서의 율법
3. 로마서의 율법
4. 두 서신의 율법 이해의 비교-결론
Ⅴ. “모세의 법”과 “그리스도의 법”
1. 안내의 말
2. 율법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3. 율법은 그리스도인에게 걸림돌 없이 주어졌는가
4. “믿음의 법”, “성령의 법”, “그리스도의 법”
Ⅵ. 바울의 신앙 개념
1. 신앙 이해의 전제로서의 구약성서와 유대교
2. 바울의 개념사적 위치
3. 하박국서 2장 4절의 사용 비교
4. 믿음과 아브라함의 사적
5. 신앙과 행위에 대한 바울과 야고보의 차이
6. 맺는 말
Ⅶ. 구원사 안의 그리스도와 아담
1. 문제
2. 5장 1-11절의 의미
3. 인류 역사의 두 전기: 아담과 그리스도
4. 그리스도는 돌이킬 수 없이 역사의 행로를 결정하였다
Ⅷ. 로마서 6장에 의한 세례의 가르침
1. 연구의 자리
2. 세례 전통의 틀과 본문의 대의
3. 본문의 주석
4. 맺는 말
Ⅸ. 로마서 7장의 자아문제
1. 문제점
2. 고대 교회와 종교개혁의 주석
3. 종교개혁자들과 근세의 주석가들
4. 알트하우스의 시도와 그 후
Ⅹ. 성령과 새로운 삶
1. 앞 부분과의 연관과 과제
2. 연구사에 나타난 문제들
3. 하나님 나라에 참여함과 성령
4. 성령과 구약성서의 약속(갈라디아서의 문맥)
5. 로마서의 성령 안의 생활
6. 성령과 새 계약의 자유(고린도후서)
7. 종합
XI. 이스라엘과 바울의 역사 이해
1. 개념의 해명
2. 9-11장 안의 신학적 요목들의 문제성
XII. 바울의 윤리 문제
1. 앞부분과의 연관과 내용 개관
2. 개별 윤리 문제의 신학적 해설
3. 바울의 교회 권면
4. 국가 권력 아래의 그리스도인의 생활
5. 강한 자와 약한 자 문제(14: 1-15: 13)
XⅢ. 제16장의 여러 문제들
1. 에베소 가설의 진상과 평가
2. 16장의 구조에 대한 관찰
3. 뵈뵈의 추천과 수신인 인사 명단(16: 1-16)
4. 바울과 17-20a절의 이단자 경고
5. 바울과 필사자 편에서 보내는 인사(16: 16b, 21-23)
6. 16장 3-16절의 인사 명록의 평가
7.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