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제9권. 사무엘하는 신구약을 통틀어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신약성서가 구약성서의 다윗이라는 인격과 신앙을 바탕으로 혹은 전제로 하면서 예수의 메시지와 비유를 선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주석서는 특히 유대신앙의 뿌리인 탈무드적인 관점, 그리고 신약과의 연결된 관점 그리고 최근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구약성의 문학사적인 입장에서 쓰였다.
노희원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애버딘대학교에서 구약학(Ph. D)을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구약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기독교장로회 동천안교회 담임목사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구약성서의 계약구조』, 『최근의 십계명 연구』, 『구약성서의 깊은 세계』, 『최근의 신명기역사 연구』, 『구약성서개론』(공저) 등이 있다.
I. 사무엘하의 개요
1. 개요
2. 사무엘하의 형태와 구조
3. 신명기 역사 연구동향과 사무엘하
4. 신명기 역사의 저자와 사무엘하
5. 신명기 역사 편집과 사무엘하
6. 사무엘하의 계약구조적 위치
7. 사무엘하의 세계
II. 다윗의 세계
1. 다윗 이야기
2. 다윗의 계보
3. 다윗의 참회
4. 다윗과 메시아
III. 본문 주석
1. 전체 내용 전개
2. 사울의 전사소식과 아멜렉 전령(1:1ㅡ16)
3. 사울과 요나단에 대한 조가(1:17ㅡ27)
4. 다윗의 헤브론 입성(2:1ㅡ4a)
5. 다윗이 길르앗에 보낸 격려문(2:4bㅡ7)
6. 사울의 계승자 이스보셋의 등극(2:8ㅡ11)
7. 아브넬과 요압의 전쟁(2;12ㅡ3:1)
8. 다윗의 헤브론 가족(3:2ㅡ5)
9. 아브넬의 투항(3:6ㅡ39)
10. 이스보셋의 죽음과 사울 왕국의 최후(4:1ㅡ12)
11. 다윗의 통일왕국(5:1ㅡ5)
12. 다윗의 예루살렘 점령(5:6ㅡ16)
13. 다윗과 블레셋과의 전쟁(5:17ㅡ25)
14. 다윗 성에 언약궤를 가져옴(6:1ㅡ23)
15. 다윗 왕조 신탁(7:1ㅡ17)
16. 다윗의 기도(7:18ㅡ29)
17. 다윗의 전쟁(8:1ㅡ14)
18. 다윗의 장관들(8:15ㅡ18)
19. 다윗과 므비보셋(9:1ㅡ13)
20. 암몬을 함락시킴(10:1ㅡ19)
21. 다윗과 밧세바(11:1ㅡ27)
22. 나단의 우화(21:1ㅡ25)
23. 요압이 암몬 랍바를 다윗에게 돌림(12:26ㅡ31)
24. 암논과 다말(13:1ㅡ29)
25. 돌아온 압살롬(14:1ㅡ33)
26. 압살롬의 반란(15:1ㅡ12)
27. 다윗의 망명(15:13ㅡ37)
28. 사울의 종 세바와 가족 시므이(16:1ㅡ14)
29. 아히도벨과 후새의 대결(16:15ㅡ17:23)
30. 압살롬의 패배(17:24ㅡ19:8)
31. 예루살렘 귀환과 세바의 반란(19:9ㅡ20:22)
32. 다윗의 관료들(20:23ㅡ26)
33. 사울 자손의 죽음과 기브온 족(21:1ㅡ14)
34. 블레셋 전투(21:15ㅡ22)
35. 다윗의 감사시(22:1ㅡ51)
36. 다윗의 유언(23:1ㅡ7)
37. 다윗의 용사들(23:8ㅡ39)
38. 인구조사(24:1ㅡ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