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시리즈 제30권. 그동안 한국교회에서는 학개, 스가랴, 말라기를 등한시 해왔다. 설령 본문들에 관한 설교가 이루어진다 해도, 설교 내용이 단 몇 가지 주제에 집중되었을 뿐이다. 이 주석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주로 목회자의 설교에 도움이 되도록 집필되었다.
차준희
서울신학대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Th. M.)을 졸업하고 독일 본 대학교(Dr. theol.)에서 수학했다. 남현교회 담임목사와 한국구약학회 총무를 역임했다. 현재 한세대학교 구약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녹색의 눈으로 읽는 성서』(공저, 2002), 『시편 신앙과의 만남』(2004), 『출애굽 다시 보기』(2004)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구약 예언서 신학』(2004), 『오경입문』(2005) 등이 있다.
유윤종
경북대학교 영문과,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 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미국 코넬 대학교 대학원(Ph. D)에서 수학했다. 현재 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구약신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평택대학교 피어선 기념 성경연구원장직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신명기』(공저, 2003), 『신학적 해석학』(공저, 2005), 『기독교 알기』(공저, 2005)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어떻게 지혜서를 읽을 것인가』(2000), 『오류 없는 증거들 II』(2002), 『내가 올 때까지 완수하라』(2004) 등이 있다.
학개
I. 서론
1. 예언자 학개
2. 학개가 활동한 역사적 상황
3. 학개서의 문학적 구조
II. 본문 주석
1. 성전건축에 대한 명령과 백성의 순종(1:1ㅡ15)
2. 보잘것없는 것에서 영광으로(2:1ㅡ9)
3. 축복의 약속(2:10ㅡ23)
스가랴
I. 서론
1. 저자
2. 역사적 배경
3. 문학적 장르
4. 연구사
5. 신학
6. 구조
II. 본문 주석
1. 서론(1:1ㅡ6)
2. 밤에 본 이상(1:7ㅡ6:8)
3. 상징적 행동(6:9ㅡ15)
4. 금식에 대한 메시지와 회개를 촉구함(7:1ㅡ8:23)
5. 이스라엘의 회복(9:1ㅡ11:3)
6. 예언자의 상징적 행동: 양과 두 막대기(11:4ㅡ17)
7. 이스라엘 미래의 회복(12:1ㅡ14:21)
말라기
I. 서론
1. 예언자 말라기
2. 말라기가 활동한 역사적 상황
3. 말라기서의 문학적 구조
II. 본문 주석
1. 표제(1:1)
2. 첫 번째 논쟁의 말: 야웨의 사랑에 관한 논쟁(1:2ㅡ5)
3. 두 번째 논쟁의 말: 제사장들의 태만에 관한 논쟁(1:6ㅡ2:9)
4. 세 번째 논쟁의 말: 불신에 관한 논쟁(2:10ㅡ16)
5. 네 번째 논쟁의 말: 하나님의 공의에 관한 논쟁(2:17ㅡ3:5)
6. 다섯 번째 논쟁의 말: 회개에 관한 논쟁(3:6ㅡ12)
7. 여섯 번째 논쟁의 말: 하나님을 대적하는 말에 관한 논쟁(3:13ㅡ4:3)
8. 결론(4:4ㅡ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