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성서주석)7.사사기/룻기

저자 김의원, 민영진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7-06-18
규격 신국판(양장) | 794쪽
ISBN 9788951109416 94230
정가 43,000원
판매가 38,7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품절

품절된 도서입니다.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시리즈 제7권.
사사기 주석은 전통적 성경관에 기초하여 현재 주어진 본문과 기사의 배열을 저자의 기록과 의도로 보았다. 저자는 마소라 본문에 기초하여 주로 용어들과 어구들, 어순과 배열, 병치 혹은 대칭구도, 단락 내의 위치와 기능 등을 살핌으로 저자의 의도와 의미를 찾으려 하였으며 이런 의미가 오늘의 삶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어떤 의의를 가져다주는지도 살피고 있다.
룻기는 신학적으로도 예수 그리스도의 조상에 관한 이야기이고, 하나님께서 인류를 구원하시는 경륜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이스라엘이 애굽의 전제군주의 억압과 가나안의 봉건영주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해방된 이스라엘을 맞이하였던 사사 시대의 자유와 평등이라고 하는 시대정신이 구원의 역사에서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이 주석서를 통해 발견하게 될 것이다.




김의원
숭실대학교 철학과(B. A.), 웨스트민스터 신학교(M. Div., Th. M.)를 졸업했으며 뉴욕대학교 고대 근동어과에서 히브리어를 전공하고 철학박사(Ph. D.)학위를 받았다.
뉴욕중부교회 설립 및 담임목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무처장,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신대원장, 총신대학교 총장, 개혁주의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총신대학교 신대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개혁신학, 한국교회, 한국신학』(공저, 1991), 『구약역사』(1995), 『하늘과 땅의 톨레돗: 창세기 연구』(2004) 등이 있다.

민영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신학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한 뒤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에서 구약사본학, 서북방셈어, 그리스어 칠십인역, 시리아역, 성서번역학, 사해사본, 중세라비주석 등에 관한 공부를 하면서 예레미야서의 마소라 본문과 찰십인역의 그리스어 본문을 비교하여 히브리어 본문의 형성과 발달사 연구로 학위를 받았다.
감리교신학대학에서 17년간 구약학을 강의했으며 현재 대한성서공회 총무로 재직중이다. 이 밖에 세계성서공회 아태지역이사회 의장, 세계성서공회 세계이사회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성경바로읽기』, 『현대인을 위한 구약성서』, 『한국민중신학조명』, 『국역성서연구』, 『한반도에서 읽는 구약성서』, 『이스라엘 이야기』, 『설교자와 함께 읽는 욥기』, 『바이블 F A Q』등이 있다.




사사기

I. 서론
1. 사사기의 제목과 의미
2. 기록 연대와 저자
3. 사사 시기의 범위
4. 사사기의 역사적 배경
5. 정복과 사사 시기의 가나안 땅
6. 사사 시기의 이스라엘
7. 사사기의 문학적 구도
8. 사사기의 신학
9. 사사기의 내용 구분

II. 본문 주석
1부 이스라엘 백성의 가나안 정복 실패와 이유(1:1ㅡ3::6)
1. 서론 I: 이스라엘 가나안 땅 정복에 관한 보고서(1:1ㅡ2:5)
2. 서론 II: 이스라엘의 정복 실패에 대한 신학적 의의(2::6ㅡ3:6)

2부 사사들의 행적: 인간들의 왕권과 하나님의 왕권의 대조(3:7ㅡ16:31)
1. 아람ㅡ나하라임과 옷니엘 기사(3:7ㅡ11)
2. 모암과 에훗 기사(3:12ㅡ30)
3. 괄호I: 아낫의 아들 삼갈의 통치(3:31)
4. 가나안 족속과 바락 기사(3:1ㅡ5:31)
5. 미디안 족속과 기드온 기사(6:1ㅡ9:57)
6. 괄호II: 돌라와 야일의 통치(10:1ㅡ5)
7. 암몬 족속과 입다 기사(10:6ㅡ12:7)
8. 괄호III: 입산, 엘론, 압돈의 통치(12:8ㅡ15)
9. 블레셋 족속과 삼손 기사(13:1ㅡ16;31)

3부 이스라엘 백성들의 퇴락(17:1ㅡ21:25)
1. 부록I: 이스라엘의 종교적 퇴락(17:1ㅡ18:31)
2. 부록II: 이스라엘의 윤리적 퇴락(10:1ㅡ21:25)




룻기

I. 서론
1. 룻기의 한국어 번역
2. 책 이름에 붙은 기(記)와 서(書)
3. 정경상의 위치와 저작 연대
4. 룻기의 신학적 특성
5. 주석 방법
6. 룻기의 내용 개요

II. 본문 주석
1. 베들레헴의 한 가족이 흉년이 들어 타국으로 이주함(1;1ㅡ5)
2. 나오미와 모압 여인 룻이 풍년이 들어 귀국함(1:6ㅡ22)
3. 모압 여인 룻과 보아스가 보리를 수확하는 들판에서 만남(2:1ㅡ23)
4. 모압 여인 룻과 보아스가 결혼함(4:1ㅡ12)
5. 모압 여인 룻과 보아스 사이에서 태어난 후손(4:13ㅡ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