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사람들의 생활 풍습을 성서를 토대로 하여 알기 쉽게 풀이한 해설서. 생활사는 한 시대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분야이다. 이 책을 옆에 놓고 구약성서를 읽는다면 성서를 읽는 기쁨이 두 배가 될 것이다.
♣옮긴이
이양구
한국신학대학을 졸업하고 구약학 교수 한스 W. 볼트 밑에서 수학하였다.
Ⅰ. 유목생활의 존속
1. 종족의 조직
1. 종족의 형성
2. 종족들의 집단형성 및 분열과 해소
3. 종족의 조직과 통치
4. 종족에게 소속된 영토와 전쟁과 약탈행각
2. 나그네의 권리와 비호권
3. 종족의 유대감과 혈수
4. 이스라엘에 나타난 종족조직의 발전
5. 유목생활의 계속적 영향
6. 예언자들의 유목적인 이상
7. 레갑 족속
Ⅱ. 가정생활의 모습
1. 가정
1. 이스라엘 가정의 유형
2. 가정의 유대성, 고엘
3. 가정생활 관습의 발전
2. 결혼
1. 일부다처와 일부일처
2. 이스라엘 결혼의 유형
3. 아내의 선택
4. 약혼
5. 혼인 잔치
6. 아내의 추방과 이혼
7. 간음와 음행
8. 시형제 결혼
3. 여인의 위치: 과부
4. 자녀
1. 자녀의 가치평가
2. 출생
3. 이름
4. 할례
5. 교육
6. 양자
5. 상속 순위
6. 죽음과 장례
1. 시체의 처리
2. 장사
3. 장례식
4. 음식과 예법
5. 곡, 비가
6. 장례예식의 해석
Ⅲ. 이스라엘 민족의 제도와 법률
1. 인구통계학의 문제들
2. 자유민의 구성요소들
1. 사회적 발전
2. 지도자들
3. “땅의 백성”
4. 부자와 빈자
5. 정착자가 된 나그네들
6. 품꾼
7. 수공업자
8. 상인
3. 노예
1. 이스라엘의 노예제도와 실태
2. 민족이 다른 노예들
3. 이스라엘의 노예들
4. 노예들의 수와 가치
5. 노예들의 생활조건들
6. 여자 노예
7. 도피하는 노예들
8. 노예 해방
9. 공적인 노예
4. 이스라엘의 국가개념
1. 이스라엘 근동의 다양한 국가개념들
2. 이스라엘 12지파
3. 왕조의 시작
4. 복식 왕국
5.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
6. 포로후기의 공동체
7. 이스라엘에 국가개념이 있었는가?
5. 왕의 인격
1. 즉위
2. 대관식
3. 왕의 칭호
4. 즉위 찬양시
5. 구출자로서의 왕
6. 하나님이 양자로 삼으심
7. 왕과 종교
6. 왕궁
1. 후궁실
2. 최고위의 여주인
3. 왕의 자녀
4. 왕의 주변
5. 왕의 경호대
6. 왕의 토지
7. 왕의 고위관리들
1. 다윗과 솔로몬의 장관들
2. 궁중의 관리자
3. 왕의 서기관
4. 왕의 전령관
8. 국가의 행정
1. 다윗 왕국
2. 솔로몬 시대의 행정
3. 유다 왕국의 행정구역들
4. 이스라엘 왕국의 행정구역들
5. 지역행정
9. 공적 노동과 재정
1. 왕과 국가의 수입
2. 자발적 성금과 특별세금들
3. 10의 1조
4. 부역
10. 법률과 사법
1. 법률의 집성
2. 고대 오리엔트의 법률들
3. 이스라엘 법률의 원칙
4. 이스라엘 법률의 바탕
5. 왕의 입법적 사법적 권력
6. 재판관과 법정들
7. 재판 절차
8. 하나님의 판결
9. 형벌
10. 사적 보복과 도피성
11. 경제
1. 토지 소유
2. 가정의 소유지와 대지주의 땅
3. 양도의 형식들
4. 공탁과 임대업
5. 대금
6. 담보물
7. 보증
8. 안식년
9. 희년
12. 시간 구분
1. 고대 근동의 월력들
2. 이스라엘의 월력, 하루
3. 월
4. 주간
5. 연
6. 연초
7. 시간 계산
13. 도량형 기구
1. 이스라엘의 도량형학
2. 척도계
3. 말과 되
4. 저울
5. 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