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주변 국가들의 역사나 지리를 모른다면 성서의 언어를 제대로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이 책은 고고학을 바탕으로 연구된 구약성서의 배경사로 성서의 생생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구약신학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책으로 신학생 및 목회자들의 필독서.
문희석
미국 칼빈대학교와 컬럼비아신학대학원, 에머리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아그네스 스캇대학교 교수와 장로회신학대학 구약학 교수를 역임했고 스위스 에큐메니칼 인스티튜트와 제네바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신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Ⅰ부 메소포타미아의 역사
1장 고고학과 해독
2장 초기 메소포타미아
1. 초기 문명
2. 우바이드 시대
3. 우룩 시대
4. 옘뎃 나스르 시대
3장 초기 왕조시대
1. 메실림 시대
2. 우르 제3왕조시대
4장 아카드 제국
1. 아카드 시대
2. 우르 제3왕조시대
5장 메소포타미아의 지배자인 아모리 족속
1. 이신 라르사 시대
2. 고바빌로니아 시대
3. 고앗시리아 왕국
4. 마리
6장 힛타이트 족속
1. 고대왕국
2. 신제국
3. 언어와 습관
7장 후리 족속
8장 캇사이트 족속
9장 중앗시리아 왕국
10장 신앗시리아 제국
11장 신바빌로니아 제국
Ⅱ부 이집트의 역사
1장 선사시대의 고왕국
2장 제1중간기, 중왕국시대, 제2중간기
3장 초기 신왕국시대
4장 아마르나 시대
5장 후기 신왕국시대
6장 왕국시대 이후
7장 에디오피아와 사이스 시대
8장 폐르시아, 프톨레마이오스·로마 시대
Ⅲ부 성서시대
1장 히브리인의 발달
2장 모세 시대
3장 팔레스타인의 정복
4장 부족통치와 카리스마적 지도자들
5장 통일왕국
6장 왕정의 몰락에서 예후의 모반까지
7장 예후에서 사마리아의 멸망까지
8장 사마리아의 멸망에서 포로기까지의 유다
9장 바빌로니아 포로와 나라 회복
10장 느헤미야에서 페르시아 제국의 멸망까지
Ⅳ부 이집트와 이스라엘
1장
1. 서언
2. 출발 시점
3. 출애굽의 연대결정을 뒷받침하는 다른 증거
4. 이집트 역사의 증거
5. 결론
2장 이집트의 팔레스타인 침략사
1. 고왕국시대
2. 중왕국시대
3. 신왕국시대
4. 후기 왕국시대
3장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간의 통상
1. 이집트가 획득한 팔레스타인 상품
2. 팔레스타인이 획득한 이집트 상품
3. 결론
Ⅴ부 벧산의 역사
서언
1장 벧산의 일반적 지식
2장 발굴작업
3장 벧산의 역사
Ⅵ부 에돔의 역사
서언
1장 세일 땅
2장 에돔 이전의 세일
3장 에돔 왕국
1. 왕국수립 초기의 역사
2. 그 문화
3. 에돔 왕국: 기원전 1020-587년
4. 이두매 사람들
Ⅶ부 페니키아의 역사
1장 페니키아의 일반적 지식
1. 언어
2. 종교
3. 정부
4. 군대
5. 독립을 위한 투쟁
6. 건축과 예술
7. 통상
2장 페니키아의 역사
3장 페니키아와 성서
참고문헌
Ⅷ부 라스 샤므라와 성서
서언
1장 라스 샤므라의 유적
1. 왕실 묘지
2. 라스 샤므라 언덕
3. 도서관
4. 그후의 발굴
2장 우가리트의 역사
1. 요충적 위치
2. 이집트와의 동맹
3. 후리족
4. 이집트와 후리족의 통치
5. 우가리트의 통치자들
6. 국제적 관계
3장 새 자모와 새 언어
4장 우가리트 신들
5장 이스라엘과 우가리트의 종교적 의식
6장 우가리트와 구약에서의 사회생활
7장 우가리트 서사시
1. 아카트 서사시
2. 케레트 서사시
3. 바알 서사시
8장 우가리트 원전과 성서
1. 역사적 배경
2. 법정 용어
3. 어휘
4. 원전 연구
5. 문학적 암시
6. 역사적 암시
7. 시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