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분 | 안익태의 애국가, 한국인의 불편한 자화상
- 김도훈 | 애국가 가사의 변천과 작사자 논쟁
- 박재순 | 새로운 애국가, 정말 필요한가
아시아 신학 회고와 전망
아시아 신학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일반적으로 신학은 신앙고백에서 시작되었다고 설명하기도 하고, 예배에서 시작되었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성도들의 신앙감(sensus fidelium)이 신앙고백의 바탕이 되고, 이것이 정교화되어 ...
애국가 문제, 통일 이후를 고려해야
애국가를 둘러싼 논란이 번지고 있다. 공식 행사에서 일부러 애국가를 부르지 않는 경우가 있고, 광복회 회장이 공개적으로 애국가 교 ...
양명수 | 창세기 3장, 뱀의 유혹과 인…
조재천 | 시온의 회복자 예수
김명수 | 예수의 득도와 후천개벽 운…
김진혁 | 신학의 길에 들어선 이를 …
서정민 | 한일 기독교 관계사 자료를…
김흥수, 홍 | 인간 탁사(濯斯) 탐구를 위…
손혜경 | 목회상담에서 말하는 분화…
박경수 | 프란체스코 수도원, 영혼의…
서보명 | 신학의 형상
안교성 | 아시아 신학 회고와 …
김광수 | 교회의 양극화를 드…
김대경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김희헌 | 한완상 박사와의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