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
|
|
朝鮮의 聖者를 찾아
|
이 글은 월간지 「새사람」1)에 실린 정경옥 목사의 글이다.(1937년 7월호, 31-38쪽) 원문은 곽철희 목사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에서 복사하였고, 고재호 목사와 성금란 목사가 정리한 것을 송기득 교수가 다시 손질(淸書)한 것이다. 이 글의 모든 주(註)는 청서자가 붙였다.
一
전남 광... |
정경옥 | 2016년 11월 |
|
| |
|
9 |
|
|
메랭돌과 토레펠리체, 발도파의 성지
|
발도와 발도파 공동체
발도파 신앙공동체는 12세기 프랑스 리옹 출신의 상인 피에르 발도(Pierre Waldo, c.1140-c.1205)를 따르는 무리이다. 발도는 예수께서 부자 청년에게 하신, ‘네게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그리... |
박경수 | 2016년 11월 |
|
| |
|
8 |
|
|
루터의 종교개혁 표제어 “믿음만으로, 은총만으로”
|
들어가는 말
내년 2017년은 마르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시작한 지 5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루터는 1517년 비텐베르크 성채교회의 정문에 95개조의 논쟁문서를 게시함으로써 종교개혁을 시작하고, 여기에 반대하는 로마가톨릭교회와 신학적·교리적으로 대결하면서 1520년에 이른바 ‘종교개혁 문서’ 세 개를 발... |
손규태 | 2016년 11월 |
|
| |
|
7 |
|
|
위그노, 그들은 누구인가
|
위그노는 누구인가
16세기에 중세 로마가톨릭교회의 타락과 부패에 항거하여 일어난 종교개혁은 단선적이고 획일적인 운동이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성격을 띤 운동이었다. 종교개혁 진영은 루터와 멜란히톤을 중심으로 ... |
박경수 | 2016년 10월 |
|
| |
|
6 |
|
|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 개념과 현대 신자유주의 세계체제
|
들어가는 말
내년 2017년은 마르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시작한 지 5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종교개혁자 루터는 1517년 비텐베르크 성 교회의 정문에 95개조의 논쟁 문서를 게시함으로써 종교개혁을 시작하였고, 여기에 반대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학적으로 교리적으로 대결하면서 1520년에 이른바 ‘종교개혁 ... |
손규태 | 2016년 10월 |
|
| |
|
5 |
|
|
고 박형규 목사님을 추모하며
|
水天一碧 流砂成洲(수천일벽 유사성주)
1968년 9월 국화꽃 피는 가을에 김재준 목사님이 박형규 목사님께 써주신 붓글씨입니다.
바다와 하늘 사이에 푸른 한 빛이 나와 밀려오는 강물에 모래들이 사구에 퇴적하여 그 ... |
안재웅 | 2016년 10월 |
|
| |
|
4 |
|
|
열정이 모인 그곳, 세계성서학대회에서
|
1
한여름으로 돌아서던 7월 첫 주일 오후, 우리나라에서 세계성서학대회(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Meeting) 개회식이 열렸다. 이 대회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성서학회(SB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회장 John Kutsko)가 주관하는 것으로 “경계를 넘어서”(Crossing Borders)라는 주제 아래 7월 3일부터 7일까지 닷새 동... |
박인희 | 2016년 9월 |
|
| |
|
3 |
|
|
'사소했던 5월 28일 오후 5시 27분'에 대한 시선과 기억, 김 군의 가방
|
이 글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언론위원회’의 논의를 통해 나온 <(주목하는) 시선 2016> 6월에 선정된 “김 군의 가방”이다. NCCK 언론위원회는 기존 매체가 관심하지 않거나 피상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사회 제 현상을 기독신앙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다시 재해석하고 알림으로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 |
심영섭 | 2016년 8월 |
|
| |
|
2 |
|
|
한국교회와 종교개혁 500주년
|
왜 ‘종교’개혁인가
요즘 한국교회에서는 내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두고 기념행사에 대한 논의와 준비가 한창이다. 한국교회가 위기에 처해 있다는 인식으로 인해, 또 한국교회에 ‘제2의 종교개혁’이 필요할 정도로 대대적인 쇄신을 해야 한다는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기에 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큰... |
권혁률 | 2016년 7월 |
|
| |
|
1 |
|
|
YMCA의 사명, 과제, 그리고 활동의 재고찰*- 에큐메니칼 신학의 몇 가지 성찰
|
* 이 글은 지난 2016년 3월 8-12일, 홍콩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YMCA연맹이사회 겸 확대정책연구협의회 때 발표한 주제강연이다. 이 글에 나오는 번역문과 정리는 한강희 박사(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국제협력선교부 간사, 한신대학교 외래교수)가 담당했다.
글로벌 트렌드
먼저, 다보스 ... |
안재웅 | 2016년 6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