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
|
|
포기하면 안 됩니다! 첫 여성 구약학자 이경숙의 삶과 신학
|
* 새길기독사회문화원, 크리스챤아카데미, 「기독교사상」은 “한국 사회와 교회의 길을 찾는 신학대화”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신학대화는 한국 기독교가 일구어온 사회참여적 신학 전통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함으로써 교회가 다시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게 하려는 시도로... |
이경숙, 박지은 | 2021년 8월 |
|
| |
|
349 |
|
|
딸깍발이 목회
|
거지반 마흔 해 동안 목회를 하기는 했지만, 햇수에 비해 내세울 게 없다. 겉으로는 고고한 선비(?)의 길을 가고 싶었지만, 실상은 옹졸한 남산골딸깍발이 샌님의 길마저도 걷지 못했다. 어느 곳에서도 머물겠다고 버티거나, 떠나고 싶다고 고집을 부리지도 못했다. 교육전도사, 부목사, 농촌목회, 도시목회, 기관목회 ... |
권오무 | 2021년 8월 |
|
| |
|
348 |
|
|
독일 통일이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
|
* 이 글은 고양YMCA가 주최한 ‘제1차 남북상생경제포럼’(2021년 6월 25일, 일산농협 대강당)의 주제강연 전문이다. 강연은 정범구 박사(전 독일대사)가 맡았다. -편집자
독일 통일 31년, 무엇이 변했나
오늘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1년이 되는 날입니다. 전쟁이 끝난 지도 68년이 지났습니다... |
정범구 | 2021년 8월 |
|
| |
|
347 |
|
|
「천풍」(天風)을 통한 중국 기독교 이슈 소개2021년 2-4월호
|
「천풍」은 중국기독교삼자애국운동위원회(이하 ‘삼자’로 약칭)와 중국기독교협회(이 두 기관을 ‘중국기독교양회’라고 통칭함, 이하 ‘양회’로 약칭)에서 발행하는 월간지이다. 필자는 「천풍」 2021년 2-4월호의 특집 주제와 그 토론 내용을 요약하며 중국 기독교의 최근 이슈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2021년 2... |
문영걸 | 2021년 7월 |
|
| |
|
346 |
|
|
평양 기독교역사박물관의 설립 구상
|
* 이 글은 2021년 6월 11일 서울 성락성결교회에서 열린 한국복음주의협의회 월례 조찬기도회 및 발표회에서 발표한 원고를 보완한 것이다. ‐편집자
우리나라에는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박물관이 있다. 이것들은 교단, 개교회, 기독교 기관, 개인 차원에서 설립된 박물관들이다. 2011년... |
김흥수 | 2021년 7월 |
|
| |
|
345 |
|
|
'내 잘못'은 없는 교회의 프레임 전쟁
|
젊은이들의 탈(脫) 종교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고(‘현재 믿는 종교 있다’는 응답 비율 2004년 54% → 2014년 50% → 2021년 40%), 개신교에 대한 비종교인의 호감도는 3대 종교 중에서 가장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개신교 6%, 불교 20%, 천주교 13%)1 그러나 더 유감인 것은 교계 어디에서도 ‘내 잘못’이라는 ... |
김광수 | 2021년 7월 |
|
| |
|
344 |
|
|
서광선 목사의 삶과 배움 그리고 나눔
|
* 새길기독사회문화원, 크리스챤아카데미, 「기독교사상」은 “한국 사회와 교회의 길을 찾는 신학대화”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신학대화는 한국 기독교가 일구어온 사회참여적 신학 전통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함으로써 교회가 다시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게 하려는 시도로... |
서광선, 이숙진 | 2021년 7월 |
|
| |
|
343 |
|
|
마을과 함께 가는 농촌목회의 여정
|
목회 이전의 인생
나의 부모님은 평안북도 의주 출신이시다. 해방 후 잠시 피신한다는 생각으로 빈손으로 월남하였다가 돌아가지 못하고 남쪽에서 일생을 마치셨다. 남쪽에서는 서울영락교회(전쟁 전), 제주영락교회(전쟁 중), 부산영락교회(전쟁 후)에서 신앙생활을 하였으며, 장로 직분까지 받은 후 신학을 ... |
한경호 | 2021년 7월 |
|
| |
|
342 |
|
|
시대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찾아 교회와 사회의 다리를 놓은 이삼열 박사
|
* 새길기독사회문화원, 크리스챤아카데미, 「기독교사상」은 “한국 사회와 교회의 길을 찾는 신학대화”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신학대화는 한국 기독교가 일구어온 사회참여적 신학 전통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함으로써 교회가 다시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게 하려는 시도로... |
이삼열, 이상철 | 2021년 6월 |
|
| |
|
341 |
|
|
어느 시골 목회자의 퇴임 이야기
|
부름받아 나선 이 몸, 어디든지 가오리다
어떻게 세월이 흘러갔는지, 어느덧 목사가 된 지 36년(1985-2021)이 되었다. 신학대학 3학년 시절 처음 교육전도사로 부름을 받은 1975년부터는 46년이 흘렀고, 고등학교 2학년 무렵, 부르심의 음성에 이끌려 불현듯 “목사가 되어 본다면…?” 하는 생각에 혈혈단신 고향을 ... |
임규일 | 2021년 6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