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 |
|
|
대선 정국, 교회는 이기적인 함성을 멈춰야 한다.
|
다음날에는 명절을 지키러 온 많은 무리가,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오신다는 말을 듣고, 종려나무 가지를 꺾어 들고, 그분을 맞으러 나가서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에게 복이 있기를! 이스라엘의 왕에게 복이 있기를!” 하고 외쳤다.(요 12:12-13, 이하 새번역)
예수가 예루살렘에 ... |
김광수 | 2022년 1월 |
|
| |
|
372 |
|
|
줄 것이 있는가
|
목회 회고록에 관한 원고 청탁을 받았을 때 맨 처음 떠오른 생각은 ‘나는 왜 목회를 했는가?’였다. 다른 말로 하면 ‘목회를 통해 나는 과연 사람들에게 줄 것이 있었는가?’, ‘나에게 과연 하늘의 신령한 양식 같은 것이 있었는가?’, ‘그것은 확실한 것인가?’ 등일 것이다. 내 목회를 돌아보면, 하나님의 은혜를 ... |
백상열 | 2022년 1월 |
|
| |
|
371 |
|
|
길희성 교수의 영적 휴머니즘
|
* 서남동은 “신학은 함께하는 것”이라고 했다. 새길기독사회문화원, 크리스챤아카데미, 「기독교사상」이 ‘한국 사회와 교회의 길을 찾는 신학대화’를 공동으로 기획한 것은, 기독교 원로 학자들과 소장 학자들의 대화를 통해 세대 간 소통의 모델을 만들어보고 창조적 한국신학의 연속성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다... |
길희성, 박재형 | 2022년 1월 |
|
| |
|
370 |
|
|
아시아기독교사학회 창립 10년의 회고
|
* 이 글은 아시아기독교사학회 10주년 기념 학술대회(2021년 11월 13일, 안양대학교)에서 발표한 것이다. 김흥수는 2011년 서울에서 창립된 아시아기독교사학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편집자
1960년대 이후의 아시아기독교사 관련 학회
필자는 2009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아시아 여러 지역을... |
김흥수 | 2021년 12월 |
|
| |
|
369 |
|
|
성도의 침묵이 만드는 나비효과, ‘공교회성 상실’
|
지난 10월 13일 밤 미국 필라델피아 북쪽 통근열차 안에서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노숙자로 보이는 치한은 옆자리의 여성 승객을 성희롱, 성추행하다가 결국 성폭행까지 저질렀지만, 열차 안에 함께 있던 어느 누구도 개입하지 않았다. 10여 명으로 추정되는 많은 동승자들은 범죄가 이뤄진 40여 분 동안 몹쓸 현장을... |
김광수 | 2021년 12월 |
|
| |
|
368 |
|
|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림
|
어느 날 「기독교사상」으로부터 목회 수기를 써달라는 전화를 받았다. 나는 소위 말하는 성공한 목회자도, 유명한 목사도 아니니 다른 분에게 부탁하는 것이 좋겠다고 사양했으나, 페이스북(facebook)에 올린 내 글들을 보니 성공하거나 유명한 목사님들이 할 수 없는 이야기들, 목회 현장에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 |
하은규 | 2021년 12월 |
|
| |
|
367 |
|
|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의 해에 돌아본 중국의 기독교 이해와 정책
|
* 이 글은 웹진 「중국을 주께로」 2021년 11월호(통권 231호)에 실린 필자의 글 “중국 공산당 창당 100년 동안 기독교 정책의 변화에 대한 단상”을 수정하였음을 밝힌다.
지난 2021년 7월 1일은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중국 공산당은 창당한 지 28년 되는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 |
문영걸 | 2021년 12월 |
|
| |
|
366 |
|
|
성서와 바울에 빠져든 만년 지각생, 김창락 교수
|
* 새길기독사회문화원, 크리스챤아카데미, 「기독교사상」은 “한국 사회와 교회의 길을 찾는 신학대화”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신학대화는 한국 기독교가 일구어온 사회참여적 신학 전통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함으로써 교회가 다시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게 하려는 시도로... |
김창락, 정혜진 | 2021년 12월 |
|
| |
|
365 |
|
|
민족화해와 통일을 위한 미주 한인기독자 운동
|
* 이 글은 미주 한인교회 창립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2003년 8월 22-23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월드미션대학교) 논문집에 실린 재미교포 종교학자 강위조 박사의 글이다. 강위조는 1954년에 도미, 시카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콜롬비아대학, 콘코디아신학교(Concordia Seminary) 등에서 교수로 활동... |
강위조 | 2021년 11월 |
|
| |
|
364 |
|
|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3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참독기(參讀記)
|
대한기독교서회가 창립 130주년을 기념하여 “한글과 조선예수교서회 간행물”이라는 주제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조선예수교서회는 대한예수교서회 창립 초기에 사용했던 이름인데, 당시 서회에서 발간한 책들이 한글의 발전과 보급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조명하는 학술대회였다. 「기독교사상」 10월호에... |
유관지 | 2021년 11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