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5 |
| |
|
1204 |
|
|
한글과 조선예수교서회의 교양·문학 도서
|
대한기독교서회는 1890년에 문서선교를 위한 교단연합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작년에 창립 130주년을 맞았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기념행사들을 연기하였고, 올해 그 가운데 하나로 학술행사를 마련했다. 이번 특집은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3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2021년 10월 5일 오후 3시, 구세군 정... |
허경진 | 2021년 10월 |
|
| |
|
1203 |
|
|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의 복지선교, 돌봄복지와 돌봄마을로
|
필자에게 맡겨진 글의 주제는 1990년대 이후 한국교회가 펼쳐온 사회복지사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서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코로나19 재난 이후 한국교회가 추구할 사회복지의 방향성을 ‘지역사회와 마을 중심의 돌봄복지와 돌봄마을’로 설정하고자 한다. 이것이 가능한지를 살피기 위... |
이원돈 | 2021년 9월 |
|
| |
|
1202 |
|
|
사회복지를 위한 사회적 경제
|
사회적 서비스 현황
최근 보육, 돌봄, 의료복지 문제가 우리 사회의 핵심 정책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다음 두 가지 요인을 들 수 있다. 첫 번째 요인은 1997년 외환위기가 가져온 우리나라 경제사회 구조의 질적인 변화이다.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를 거치면서 기업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되었... |
임종한 | 2021년 9월 |
|
| |
|
1201 |
|
|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전개
|
사회복지학에서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은 대체로 ‘지역 주민의 복지를 위한 사회복지의 한 영역’ 또는 ‘사회복지실천의 한 방법’으로 정리되었는데,1 오늘날은 앞의 개념에 중점을 두고, 뒤의 개념은 사회복지실천 방법과 기술 쪽에서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지역사회복지가 지역... |
최옥채 | 2021년 9월 |
|
| |
|
1200 |
|
|
기후위기와 교회의 시급한 과제
|
지난 3월에 큰아이가 입대했다. 큰아이는 없지만, 큰아이의 방 벽에는 그 아이가 붙여 놓은 사진과 그림, 글이 그대로 남아 있다. 그중에 내 시선을 사로잡은 강렬한 글귀가 있었다.
“기후위기, 불평등, 가부장제 없는 세상, 어서 오라!”
“폭염, 태풍, 홍수, 산불, 전염병이 우리의 뉴노멀? 우리는 살고 싶다. 정부, 국... |
양재성 | 2021년 8월 |
|
| |
|
1199 |
|
|
탄소중립을 위한 시민사회의 '거대한' 움직임
|
2018년 스웨덴의 10대 소녀 그레타 툰베리의 ‘금요시위’를 시작으로 세계의 관심과 노력이 기후위기 극복에 모아지는 가운데, 미래 세대들이 ‘기후정치’를 주창하고 있다. 우리는 2020년 긴 장마를 통해 21세기 내내 이어질 것 같은 기후위기의 긴 그림자를 체험하면서 기후위기의 긴 터널을 지나는 중이다. 지금처럼... |
민은주 | 2021년 8월 |
|
| |
|
1198 |
|
|
기후위기 시대의 회심
|
멸망에 관한 성서의 예언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회심을 통해 구원을 이루기 위해서이다. 오늘날 기후위기로 인해 문명의 붕괴가 전망된다. 문명의 종말은 화석연료의 고갈 때문이 아니라, 화석 에너지를 연소시킨 결과로 일어나는 기후위기 때문이다. 기후위기는 우리가 의도적으로 일으킨 문제가 아니... |
조천호 | 2021년 8월 |
|
| |
|
1197 |
|
|
아시아에서 활동하는 한국교회의 선교단체들
|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에서 주관하고 한국선교연구원(KRIM)에서 조사한 2020 한국선교현황이 2021년 2월에 발표되었다. 1979년에 93명이던 한인 선교사는 2020년 기준으로 2만 2,259명이 168개국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8개국에서 활동하는 선교사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선교사가 사역하는 곳은 A권역(1,94... |
한경균 | 2021년 7월 |
|
| |
|
1196 |
|
|
팬데믹을 경험한 이슬람 선교
|
2019년 12월에 코로나19 첫감염 사례가 보고된 이후 다음 해인 2020년 3월 11일, 팬데믹이 선언되었다. 코로나19의 무서운 확산은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대부분의 환경에 심대한 변화를 초래했다. 다수의 사회학자와 경제학자들은 인류가 이제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전망을 내놓았다.1 사회적 변화... |
김아영 | 2021년 7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