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5 |
|
|
그날처럼 하나 되어, 생명 세계의 거듭남을 준비합시다- 3·1운동 100년을 준비하며, 한국교회에 거는 기대
|
1919년의 3·1운동은 기독교, 불교, 천도교의 지도자들이 앞장서고 학생과 시민을 비롯한 전 민족이 거족적으로 일어나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자손만대에 그리고 온 세계에 천명한 운동이었다.
3·1운동의 의의는 제헌헌법 이래 우리나라 헌법 전문(前文)에 자리매김된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 |
박남수 | 2016년 7월 |
|
| |
|
974 |
|
|
한국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연대- 교회일치운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
1
가톨릭신학대학에서 신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이자 신부(神父)로서 필자는 교회일치운동 ‘한국 그리스도교 신앙과직제협의회’ 모임에 나가면서 훌륭한 학자 목사님들을 많이 만났다. 모임에 나가기 전까지는 목사님들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었거나 혹은 관심이 있더라도 가톨릭교회의 교리를 왜곡시켜 ... |
서한석 | 2016년 7월 |
|
| |
|
973 |
|
|
한국교회의 통일 활동과 과제- 한국교회에 드리는 한 불자의 제언
|
한반도의 정세와 북한
1945년 8월을 기해 확정된 한반도의 분단은 세계사의 커다란 사건이었다. 이로부터 언젠가는 이루어질 통일 또한 역사적인 최대 사건이 될 수 있다. 분단 이후 통일을 향한 과정은 6·25한국전쟁을 통해 이미 노정된 세계사적인 사변이라고 할 수 있다.
정권 차원에서는, 분단과 통일은 정... |
이지범 | 2016년 7월 |
|
| |
|
972 |
|
|
한국교회에 대한 애증- 한 평신도가 한국교회에 부치는 글
|
오늘의 교회 이야기 둘
이야기 하나
교회 문밖에 웬 사람이 서성대고 있다.
자세히 보니 예수님이다.
주님, 왜 여기 이러고 계십니까?
아, 저 안에는 내가 들어갈 자리가 없군요.
우스갯소리로 오늘의 교회를 비판하는 이야기이다. 너무 자주 들어서 정말 그런가보다 싶을 정도이다... |
강대인 | 2016년 7월 |
|
| |
|
971 |
|
|
한국교회, 혐오문화 치유의 센터가 되기를
|
1
“기독교인이시지요?” 상대가 물어오면, “아, 예.”라는 대답과 동시에 작은 생각이 스친다. ‘칭찬일까, 욕일까?’
최근 발족된 한국여성연구학회협의회의 첫 오프라인 모임에 분과학회장의 신분으로 참석했다. 공식회의가 끝난 후 사담을 나누는데 젠더법학회장이 미국연방법원에서 동성결혼금지를 위헌... |
이숙진 | 2016년 7월 |
|
| |
|
970 |
|
|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에 드리는 한 독일 선교사의 글
|
1990년대까지 한국 개신교회의 상황
외국인 선교사 모임에서 최근에 인도에서 온 한 선교사는 자신을 소개하면서 고향인 하이데라바드(Hayderabad) 시에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교회가 있다면서 자랑스레 이야기했다.1) 요즘엔 대형교회를 자랑하는 한국 사람들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오히려 대형교회를 비판하는 사... |
이말테 | 2016년 7월 |
|
| |
|
969 |
|
|
목회자 경제인권의 불평등 구조와 개선 방안
|
목회자에게 붙는 가치 중의 하나는 청빈이다. 이것은 오래도록 기독교의 중요한 가치였고, 무엇보다 성직자의 기본적인 삶의 방식이었다. 과거 프란체스코나 도미니크 수도회의 경우 청빈을 수도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내세웠다. 물론 이것은 당시 성직자들의 타락에 기인한 반대급부적인 경향을 띠지만, 중요한 ... |
조성돈 | 2016년 6월 |
|
| |
|
968 |
|
|
포도원 일꾼의 비유와 청년수당제도
|
들어가며
주위를 둘러보면 일할 곳이 없는 실업자들이 적지 않다. 특히 젊은 세대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날이 갈수록 청년실업률이 높아지고 있다. 2016년 3월 청년실업률은 11.8%를 기록했다. 이런 지표실업률보다 체감실업률이 훨씬 더 높음은 물론이다. 같은 기간 청년 체감실업률은 24.1%로 집계되었다... |
이혁배 | 2016년 6월 |
|
| |
|
967 |
|
|
오경에 나타난 레위인의 기본소득
|
들어가는 말
‘기본소득’이라는 새로운 쟁점이 수년 동안 국가에 관한 논의에서 경제적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것은 국가가 그 국가사회의 모든 구성원 개개인에게 자산의 조사나 소득의 조사 없이 기본소득의 명목으로 무조건 현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대안이다. 이것은 노동의 제공과 자산... |
이영재 | 2016년 6월 |
|
| |
|
966 |
|
|
한 데나리온의 애환(哀歡)- 기본소득과 경제인권의 성서적 근거
|
성서 시대의 경제와 우리
인간과 동물은 모두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를 갖지만 유발 하라리(Yuval N. Harari)는 『사피엔스』에서 인간의 언어가 다른 동물의 그것과 질적인 차이를 보이는 특징으로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말하는 능력’을 꼽았다. 말을 보태면, 인간과 동물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의 심원... |
김학철 | 2016년 6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