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5 |
|
|
개혁교회의 기본 원리(정체성)- 하나님이 말씀하신다!(Deo dixit)
|
1
“종교개혁의 완성인가, 가톨릭으로의 회귀인가?” 이는 틸리케(Helmut Thielicke)가 독일 개신교회를 향해 던진 절규(絶叫)이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기 반세기 전에 있었던 일이다. 이는 독일교회에만 해당하는 문제가 아니다. 바로 우리 교회를 향한 도전이기도 하다.틸리케는 1965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Leiden an d... |
정권모 | 2016년 11월 |
|
| |
|
994 |
|
|
칼뱅의 『기독교강요』 다시 읽기
|
『기독교강요』의 저자인 칼뱅은 누구인가
장 칼뱅(Jean Calvin)은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자 중에 우뚝 솟은 봉우리와 같은 사람이다. 그는 1509년 7월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북쪽으로 110km 정도 떨어진 누아용이라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칼뱅은 파리에서 중고등학교 과정을 공... |
박경수 | 2016년 11월 |
|
| |
|
993 |
|
|
칼뱅의 경제사상- 막스 베버와 칼뱅주의, 그리고 성공주의를 넘어서서
|
왜 칼뱅인가
미국 대통령 선거전에서 보수 기독교인임을 표방하는 자들이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리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촌극이 빚어지고 있다. 이는 미국의 극보수층을 대변하는 미국의 ‘시민종교’ 현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이들의 정서에는 새로이 선택받은 이스라엘로서 백인에 대한 하나님의 ... |
정승훈 | 2016년 11월 |
|
| |
|
992 |
|
|
칼뱅의 숲에 깃든 빛과 그림자
|
나는 빛도 짓고 어둠도 창조하며 나는 평안도 짓고 환난도 창조하나니
나는 여호와라 이 모든 일들을 행하는 자니라 하였노라(사 45:7)
칼뱅이라는 숲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의 조직신학자 다니엘 밀리오리(Daniel Migliore)는 ‘우리 인간은 그 자신에게도 신비’라고 말한다. 인간은 합리적... |
송용원 | 2016년 11월 |
|
| |
|
991 |
|
|
종교개혁의 칼날을 다시 세우라!- 성서와 오늘의 위기가 촉발한 94개 논제
|
Radicalizing Reformation-Provoked by the Bible and Today’s Crises 94 Theses
번역 김수남
“너희는 온 땅에 해방을 선포하여라.”(레 25:10)
1517년 마르틴 루터는 자신의 95개 논조를, 마음과 방향을 바꾸어 회개하라는 예수의 요구로 시작한다. “회개하여라.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500년이... |
번역 김수남 | 2016년 10월 |
|
| |
|
990 |
|
|
‘94개 논제’ 해설[자료]
|
종교개혁 500주년에 즈음하여 종교개혁을 향해 급진적인 질문을 던진 신학자들의 ‘94개 논제’가 전 세계 신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94개 논제는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역사적으로 종교개혁의 시작을 알리며 루터가 비텐베르크 성 교회 정문에 써 붙였던 그 자리에 붙게 된다. 1517년 루터가 ... |
정승훈 | 2016년 10월 |
|
| |
|
989 |
|
|
종교개혁의 주요 기치, 그 오해와 진실- 한국교회 상황에서
|
1. 들어가는 말
한국의 근현대 사회문화 변동과정에서 교회의 역할과 기능은 문명개화뿐만 아니라 민족, 민주, 통일운동을 통해 분명히 각인되었다.1) 그만큼 교회는 공공성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러나 초창기 교회의 모습과는 격세(隔世)를 느낄 정도로 오늘의 한국교회 현실은 세속의 질... |
김주한 | 2016년 10월 |
|
| |
|
988 |
|
|
종교개혁의 원음을 복원하라
|
(에스라가) 하나님의 율법 책을 낭독하고
그 뜻을 해석하여 백성에게 그 낭독하는 것을 다 깨닫게 하니
백성이 율법의 말씀을 듣고 다 우는지라(느 8:8-9)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둔 최근 10년 동안 우리 한국 사회에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대되었다. 그중에는 대중적인 관심을 넘어서... |
송용원 | 2016년 10월 |
|
| |
|
987 |
|
|
한국교회 종교개혁 500주년 준비 상황을 살펴보며
|
종교개혁 500주년이 1년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지난해부터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사업을 준비해온 교계는 올 가을부터 본격적인 시동을 거는 모양새다. 각 교단과 단체에서는 기념행사 준비와 함께 독일과 스위스, 프랑스 등 개혁교회의 흔적을 따라가며 한국교회의 개혁과제를 고민하고 있다.
사실 한국교회 개혁과... |
이현주 | 2016년 10월 |
|
| |
|
986 |
|
|
종교개혁 500주년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
|
역사적 사건마다 시대적 배경이 있고 배워야 할 교훈이 있다. 메아리가 큰 사건일수록 배경의 폭은 넓고 교훈은 더욱 풍성하다. 종교개혁이 바로 그러하다. 종교개혁 당시에 기독교는 크게 이분화되어 있었다.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공인하고(313) 나아가 국교로 삼은(380) 이후 종교개혁으로 중세의 막이 내려지기까지 ... |
박종화 | 2016년 10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