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8 |
|
|
초창기(1965-70)의 국가조찬기도회
|
지난 2018년 3월 8일 일산 킨텍스에서 제50회 국가조찬기도회가 열렸다. 이 기도회는 지난 50년 동안 국가권력과 기독교가 만나는 장을 제공하였다. 국가조찬기도회가 무엇이기에 50년 동안 양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변화의 과정을 거치기는 하여도 이러한 모임의 특성은 대개 초기 설립... |
최태육 | 2018년 5월 |
|
| |
|
1067 |
|
|
박정희 군사정권에 저항한 한국교회 인물 분석
|
* 본문에서 ❖표시를 한 주요 인사는 글 마지막에 표로 정리하였다. 또한 본문과 표의 ‘통합’은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측을 뜻한다.
이 글은 1961년 5월 16일에서 1979년 10월 26일까지 한국 개신교회 안에서 박정희 군사정권의 독재정치에 저항한 인물들을 사건별, 성명서별로 분석하고, 그들... |
정병준 | 2018년 5월 |
|
| |
|
1066 |
|
|
박정희 정권의 유산,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
이명박, 박근혜 보수정권이 불러낸 박정희의 망령: 개발독재
역사는 반복된다. 한 번은 비극(悲劇)으로, 다른 한 번은 소극(笑劇)으로. 박정희는 평생 두 번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는 1961년 5월 16일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았으며, 1972년 유신 쿠데타를 통해 종신집권을 획책했다. 박정희 정권 18년은 박정희 대통... |
정일준 | 2018년 5월 |
|
| |
|
1065 |
|
|
포스트휴먼 시대에 종교를 말하다
|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종교를 말하기 위해서는 먼저 휴머니즘 시대의 종교, 특히 기독교에 대해 말해야 한다. 그것에 관해서는 이미 앨리스터 맥그래스가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에서 잘 말해주었다.
종교개혁 당시 교회의 몇 가지 기본 사상은 성서를 오해한 것으로부터 나왔다. 이것에 반발해 새로운 ... |
장윤재 | 2018년 4월 |
|
| |
|
1064 |
|
|
포스트휴먼 사회와 휴머니즘의 원칙
|
포스트휴먼 사회의 도래
20세기 후반 이래 사이버네틱스, 뇌과학, 진화생물학, 의생명과학기술 등의 부상으로 하나의 물체, 물질조직으로 간주될 국면에 처한 인간 앞에 21세기 중에 ‘유사인종’(posthomo sapiens)의 출현 가능성마저 높아지면서, 인간(Homo)이 한낱 자연물인지 그 이상의 어떤 품격을 가지고 있는지에... |
백종현 | 2018년 4월 |
|
| |
|
1063 |
|
|
기술과학 시대의 포스트휴먼 담론들: ‘포스트–휴먼’ 개념을 중심으로
|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 시스템 알파고와 오늘날 바둑계의 최고수로 널리 인정받는 이세돌 사이의 대국이 진행되었다. 이 대국은 인간이 발전시킨 정보기술의 정도에 관하여 일반 사람들만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게도 큰 인상과 충격을 주었다. 그 모습을 볼 수 없고 그 크기를 알 수 없는 인공지... |
이경란 | 2018년 4월 |
|
| |
|
1062 |
|
|
중국 신문 속의 3・1운동
|
1919년 3월 1일, 한국 독립운동의 서막이 열렸다. 일제 식민통치를 반대하고 민족 독립을 요구하는 전 민족적인 궐기가 일어났다. 3・1운동은 우리 근대사의 주요 사건으로 그친 것이 아니었다. “조선의 혁명은 세계 혁명의 일부분”이었다.1
3・1운동이 일어날 당시 신문과 잡지를 비롯한 중국 언론들은 동시적이고 전... |
문영걸 | 2018년 3월 |
|
| |
|
1061 |
|
|
중국 유이민 소설 속의 3・1운동
|
1
유이민(流移民)이란 유랑(流浪)과 이민(移民)이라는 단어의 뜻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외부 압박과 강제에 의해 제 나라를 떠나 남의 나라에 흘러 들어가 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역사적으로는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유명하지만, 우리 민족의 유이민 역사도 그에 못지않다.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몽골의 침... |
표언복 | 2018년 3월 |
|
| |
|
1060 |
|
|
재판 속의 3・1운동
|
무단통치하의 사법 제도
일제는 이미 대한제국 시기인 1909년 7월, 이른바 ‘기유각서’(己酉覺書)에 의해 일체의 사법권과 감옥 사무를 탈취하여 통감부에 예속시켰다. 기유각서 제1조는 “한국의 사법 및 감옥 사무가 완비되었다고 인정할 때까지 한국 정부는 이를 일본국 정부에 위탁할 것”으로 되어 있다. 이... |
김승태 | 2018년 3월 |
|
| |
|
1059 |
|
|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
|
* 이 보고서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가 작성, 제102회 총회(2017년 9월)에서 채택된 것이다. - 편집자 주
I. 연구경위
강원동노회는 “요가에 대하여 ‘해도 된다,’ ‘해서는 안 된다’는 팽팽하게 맞선 두 가지 의견에 직면하여, “이러한 때에 어떻게 교인을 지도...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 2018년 2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