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 대한기독교서회 | 회원가입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기독교사상 > 특집
특집
1062
중국 신문 속의 3・1운동

1919년 3월 1일, 한국 독립운동의 서막이 열렸다. 일제 식민통치를 반대하고 민족 독립을 요구하는 전 민족적인 궐기가 일어났다. 3・1운동은 우리 근대사의 주요 사건으로 그친 것이 아니었다. “조선의 혁명은 세계 혁명의 일부분”이었다.1 3・1운동이 일어날 당시 신문과 잡지를 비롯한 중국 언론들은 동시적이고 전...
문영걸 | 2018년 3월
1061
중국 유이민 소설 속의 3・1운동

1 유이민(流移民)이란 유랑(流浪)과 이민(移民)이라는 단어의 뜻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외부 압박과 강제에 의해 제 나라를 떠나 남의 나라에 흘러 들어가 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역사적으로는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유명하지만, 우리 민족의 유이민 역사도 그에 못지않다.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몽골의 침...
표언복 | 2018년 3월
1060
재판 속의 3・1운동

무단통치하의 사법 제도 일제는 이미 대한제국 시기인 1909년 7월, 이른바 ‘기유각서’(己酉覺書)에 의해 일체의 사법권과 감옥 사무를 탈취하여 통감부에 예속시켰다. 기유각서 제1조는 “한국의 사법 및 감옥 사무가 완비되었다고 인정할 때까지 한국 정부는 이를 일본국 정부에 위탁할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김승태 | 2018년 3월
1059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

* 이 보고서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가 작성, 제102회 총회(2017년 9월)에서 채택된 것이다. - 편집자 주 I. 연구경위 강원동노회는 “요가에 대하여 ‘해도 된다,’ ‘해서는 안 된다’는 팽팽하게 맞선 두 가지 의견에 직면하여, “이러한 때에 어떻게 교인을 지도...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 2018년 2월
1058
스포츠 요가로서의 한국 요가

요가는 고대 인도의 종교와 철학을 배경으로 전승된 심신 수련법으로 내면의 성찰과 ‘사마디’(sama¯dhi)라는 심신 통합의 과정을 통해서 해탈(moksha)을 지향한다. 현재의 요가는 서구를 중심으로 대중화되고, 과학화된 스포츠 요가로서 미용과 다이어트 등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근래 우리나라의 요가 역시 ...
배윤종 | 2018년 2월
1057
한국에서 요가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9세기 서구 제국주의 발흥 이래 세계 각 지역 전통문화의 많은 부분은 근대화라는 명목으로 서구 문화와 과학의 틀 안에서 재해석되고 변화되어 왔다. 요가 역시 서구 문화와 결합하여 변화를 거듭해왔다. 그러므로 오늘날 전 세계적인 도시 문화의 일부가 된 요가는 세계화의 대표적 산물로서 단순히 ‘요가’로 부...
심준보 | 2018년 2월
1056
요가, 힌두교의 수행 체계

인도 종교의 궁극적 지향점: 완전한 자유의 실현 인도인들은 고대 이래로 완전한 자유의 경지에 이르는 해탈을 열망해왔다. 인도에서 발생한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의 종교는 이 경지를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수행 방법을 발전시켰다. 힌두교의 요가, 불교의 선, 자이나...
류경희 | 2018년 2월
1055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 진보와 보수 신학 진영의 대통합

한국 신학의 세 흐름 한국 개신교 내의 비교적 큰 교단으로는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가 있다. 장로교는 칼빈신학을 원류로 하고 있으며, 감리교와 성결교는 웨슬리신학에 기초한다. 장로교 신학은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의 신학과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의 신학으로 나뉜다. 예장과 기장은 1953년 축자영감설...
노영상 | 2018년 1월
1054
1987년 이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변화

1987년 6월의 민주항쟁과 뒤이어 폭발한 노동자대투쟁은 1930년대 일제의 총동원체제기부터 50년 넘게 한반도 내 지배세력이 일관되게 유지해온 통치 방식의 종말을 고했다. 국가의 목표를 위해 개인의 권리를 극도로 제한하는 전시(또는 준전시)체제와 급진적 산업화의 시기가 지나간 것이다. 국가권력과 인민의 권리 ...
손승호 | 2018년 1월
1053
나의 총무 시기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나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교회협)의 총무로 일했다. 하나님의 은혜다. 또한 부족한 사람이 직임을 감당하는 데 많은 사람들의 격려와 도움이 있었다.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지난 7년 동안 크고 작은 일들이 많았다. 비판적 성찰은 다음 기회로 미루어야겠다. 지금은 ...
김영주 | 2018년 1월
게시물 검색


2023년 4월호(통권 772호)
이번호 목차 / 지난호 보기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