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5 |
|
|
[환경 및 신앙관 분야] 개신교인의 신앙관과 생태위기에 관한 인식
|
*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원장 김영주)에서는 매해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개신교인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 조사에서는 한국 사회의 주요 현안을 정치, 경제, 통일과 평화, 젠더, 생태위기, 신앙의 6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통계연구를 진행했다. 「기독교사상」에서는 이번 조사의 주요 내... |
신익상 | 2019년 11월 |
|
| |
|
1124 |
|
|
나와 일본, 그리고 한국
|
나는 2003년에 연구년을 얻어 뉴욕의 빙엄턴에 머물렀다. 2003년 4월은 이라크전 발발 직후여서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나의 미국 방문을 걱정하였지만, 그곳에 한국 선교에 관한 많은 자료가 있었기 때문에 결심을 바꾸지 않았다. 입국 심사를 받은 시카고 공항 전체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었다. 입국 심사관이 내 여권... |
이성전 (번역: 이상훈) | 2019년 10월 |
|
| |
|
1123 |
|
|
한일 민주화운동 연대의 역사와 전망
|
들어가며
올해는 3・1독립운동 100주년의 해이다. 이에 앞서 당시 동경의 조선인 유학생들이 발표한 2・8독립선언은 3・1독립운동의 발화점이 된 사건으로 이 또한 100주년을 맞았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각각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일본에서 태어난 재일교포인 필자에게 일본이라는 맥락에서, 동시에 ... |
김성제 | 2019년 10월 |
|
| |
|
1122 |
|
|
1960년대 이후의 한일관계, 그 특성과 비전
|
위기에 빠진 한일관계
2012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에 일본이 시비를 건 이래 나빠진 한일관계가 지금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와 아베 신조 정부의 충돌은 민간 부문에까지 악영향을 미쳐 양국 국민의 감정도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나빠졌다. 1965년 한일 국교 재개 이래 가장 험악하... |
정재정 | 2019년 10월 |
|
| |
|
1121 |
|
|
『천도소원』(天道溯原)과 동아시아 기독교
|
명말청초 시대의 천주교 변증서로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가 있다면, 청말 개신교의 변증서로는 윌리엄 마틴의 『천도소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천도소원』은 기독교 변증서로서 당시 동아시아 지식인들에게 기독교를 논증하는 책으로 소개되었다. 『천도소원』의 저자 마틴은 60여 년간 ... |
설충수 | 2019년 9월 |
|
| |
|
1120 |
|
|
이벽의 <성교요지>(聖敎要旨)는 위조문헌인가
|
들어가며
한국 천주교회 설립의 성조(聖祖) 광암(礦菴) 이벽(李檗)의 저작으로 알려진 <성교요지>(聖敎要旨)는 지난 1967년 고(故) 김양선 목사에 의해서 ‘발굴’된 이래 그 권위와 가치를 크게 인정받아 왔다. 이벽이 지었다고 알려진 한문본 <성교요지>는 정약종의 『주교요지』(主敎要旨)와 더불어 한국 천주교... |
김현우·김석주 | 2019년 9월 |
|
| |
|
1119 |
|
|
중국 기독교의 세대주의
|
1807년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 1782-1834)의 선교를 기점으로 중국 개신교의 역사를 계산해보면 벌써 200여 년이 되었다. 중국교회에는 한국교회와 같은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 루터교 등의 교파가 없으며, 오직 삼자교회와 가정교회, 신흥 도시가정교회로 나뉘어 있다. 이는 교파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교... |
석귀희 | 2019년 9월 |
|
| |
|
1118 |
|
|
한기총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 전광훈 목사의 문재인 대통령 하야운동으로, 한기총에 대한 관심이 절정에 달했다. 한기총이 출범한 이래, 지금처럼 이 단체의 존재가 세간의 주목을 받고 뇌리에 각인된 적은 없을 것이다. 지난 30년간 한기총은 “한국 기독교회를 대표하는 하는 기관”이자 “한국 사회 내 극... |
배덕만 | 2019년 8월 |
|
| |
|
1117 |
|
|
해방 후 종교의 정치 개입과 정교분리
|
최근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의 언행이 많은 논란을 낳고 있다. 정부에 대한 비판을 넘어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는 단식농성을 벌이는가 하면 대통령 하야를 위한 국민소환청원 서명운동까지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 안팎에서는 그의 발언을 망발로 규정하고 즉각적인 대표회장직 사퇴, 나... |
이진구 | 2019년 8월 |
|
| |
|
1116 |
|
|
한국 기독교의 현실정치 참여의 문제
|
전광훈 목사의 시국선언과 개신교계 내부의 반응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되어 복역한 신영복을 한국의 사상가로 존경한다고 언급하였다. 게다가 문 대통령은 올해 6월 6일 현충일 기념사에서 김원봉을 무장 독립투쟁론자로서 국군 창설에 이바지한 인물이었다고 칭... |
김성건 | 2019년 8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