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 대한기독교서회 | 회원가입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기독교사상 > 특집
특집
1142
민주혁명으로서의 3·1운동

독립운동과 민주혁명 흔히 ‘독립운동’이라고 하면 일제 식민통치로부터의 해방을 지향한 민족혁명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맞는 이야기이다. 독립운동의 기본 지향점은 완전한 자주독립이었으며, 자주독립을 부정한 독립운동가는 없었다. 그렇지만 ‘독립운동’의 ‘독립’이라는 말에는 또 다른 의미...
이준식 | 2020년 3월
1141
종교박물관의 설립 방향과 전시 콘텐츠 기획

들어가며 문화는 정치, 사회, 교육과 같은 제도를 비롯하여 언어, 과학, 신념 또는 가치관, 종교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만들어낸 물질적・비물질적 생활 양식과 지식의 총체이다. 박물관은 관념 속에 머물고 있는 문화의 정수를 끌어내 구조화를 통해 유물을 보존하고 지식을 전승하는, 글자 그대로 ‘박물’(博物...
김진영 | 2020년 2월
1140
대만 세계종교박물관의 전시 체계와 의의

대만의 종교문화와 세계종교박물관의 위상 종교는 대만(타이완)을 이끄는 핵심 동력 가운데 하나로 대만 사회에서 중요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 섬이라는 지형적 특성, 지진대와 근접하여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점, 태풍의 영향이 강한 아열대 기후 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대만인들에게 종교는 중요한 문화적 ...
신광철 | 2020년 2월
1139
일본의 기독교박물관 순례

들어가며 박물관은 여러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그중 종교를 테마로 한 박물관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서양은 종교박물관을 별도로 설립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그 역사와 문화, 예술 자체가 기독교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 기독교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
홍이표 | 2020년 2월
1138
한국의 기독교박물관, 현황과 기능

기독교 문화유산의 ‘공간’, 기독교박물관 우리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함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미래에 전승하는 공간으로 박물관이 건립되고 있다. 한국 사회의 중요한 문화적 기반인 기독교 내에서도 기독교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함께 박물관을 건립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기독교 문화유...
김권정 | 2020년 2월
1137
마을과 함께하는 목회의 다양한 사례

당신이 있기에 제가 있습니다. 우분투! 우분투!(ubuntu) 아프리카에서 흔히 쓰는 인사말이기도 한 반투족 언어이다. ‘네가 있기에 내가 있고, 우리가 있기에 내가 있다’는 뜻이다. 공동체 정신을 강조한 말로써 넬슨 만델라가 강조하면서 널리 알려지기도 하였다. 우분투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일...
조은하 | 2020년 1월
1136
더불어 아름다운 건강한 작은교회의 꿈

* 이 글은 필자가 쓴 『재편: 홀로 빛나는 대형교회에서 더불어 아름다운 건강한 작은교회로』(비아토르, 2017)의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여 수정한 것이다. 한국교회를 건강한 작은교회로 재편해야 한다는 필자의 구체적인 주장, 관련 사례 등은 위의 책을 참고하기 바란다. “교회는 그리스로 ...
이진오 | 2020년 1월
1135
탈교회와 교회의 새로운 표현들

‘탈교회 현상’(the post-church phenomenon)은 한국교회 뿐 아니라 영국이나 미국의 교회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탈교회 시대’로의 변화를 언급하고, 왜 이 변화의 시점에 교회가 선교적 상상력을 가지고 새로운 표현들을 수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교회의 새로운 표현들’(The Fresh Expres...
주상락 | 2020년 1월
1134
비제도권 교회의 등장과 교회에 대한 새로운 욕구

비제도권 교회의 등장 한국 현대사에서 기독교는 주류 제도권 종교로서의 역할을 굳건히 하며 성장해왔다. 한국교회는 근대화를 형성하는 데 주된 축을 담당했으며, 2015년 인구 센서스에서 1위 종교가 됨으로써 대표종교의 위치를 확보했다. 그러나 한국교회의 주류 교단들은 여전히 교세 약화와 확장성의 한계,...
정재영 | 2020년 1월
1133
고령화 사회를 살아가며

요즘 우리 사회의 풍속을 보면, 어린이집은 차차 줄어들고 요양병원과 병상들은 급격하게 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는 우리 자신보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더 걱정한다. IMF의 한국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경제의 구조적 위험 8가지 중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을 첫손가락으로 꼽고 ...
신경하 (기독교대한김리회 전 감독회장) | 2020년 1월
게시물 검색


2023년 4월호(통권 772호)
이번호 목차 / 지난호 보기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