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
|
|
충돌을 넘어선 화해의 메시지
|
김재열(대한성공회 교무원장)
뉴욕의 테러에 이어서 예루살렘에서도 자살폭탄테러가 발생했습니다. 언제나 그렇듯 즉각적인 보복이 이루어졌고 무고한 생명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테러응징에 대한 찬반 양론이 분분하고 급기야는 문명의 충돌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고귀한 생명을 스스로 희... |
김재열 | 2002년 1월 |
|
| |
|
11 |
|
|
충돌을 넘어서는 길은, 화해로 넘어가는 길은
|
전무용(대한성서공회)
하나님은, 모세의 뒤를 이어서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된 여호수아에게, “강하고 담대하라. 너는 내가 그들의 조상에게 맹세하여 그들에게 주리라 한 땅을 이 백성에게 차지하게 하리라”(수 1:6) 하십니다. 여호수아는 여리고를 무너뜨리고 승리의 행진을 합니다. “모세와 함께 있었던 것과 ... |
전무용 | 2002년 1월 |
|
| |
|
10 |
|
|
충돌을 넘어 화해로
|
박용호(양구교회 담임목사)
세계는 항상 충돌 속에서 발전하기도 하고 파괴되기도 해 왔다. 단지 우리가 그 충돌에 대한 시각을 부각시켰는가, 아니면 조용히 잠재웠는가 하는 차이일 뿐이다. 미국이 약소국가였다면 이번 테러 사건을 아프가니스탄과의 전쟁으로 몰고 가지는 못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러는 지... |
박용호 | 2002년 1월 |
|
| |
|
9 |
|
|
용서와 사랑
|
윤기석(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장)
지난 9월 11일, 비행기 자살 테러로 말미암아 세계의 부와 자본주의를 상징하는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건물이 화염과 연기와 먼지를 뿜으며 붕괴되고, 미국의 힘을 상징하는 국방부 건물이 불타고 있을 때, 온 세계 사람들은 숨을 멈추고 가슴을 조이면서 안타깝게 그 광경을 지켜 ... |
윤기석 | 2002년 1월 |
|
| |
|
8 |
|
|
연합하여 하나가 되자
|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교회는 하나입니다. 성령이 하나이신 것처럼 교회도 하나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교회는 물론 한국 민족을 비롯한 모든 민족이 인종과 문화의 장벽을 넘어 하나가 되기를 원하십니다. 그러기 위해서 그 무엇보다도 한국교회가 연합하여 하나로 뭉쳐야 합니다.
... |
이정복 | 2002년 1월 |
|
| |
|
7 |
|
|
새로운 인식 전환을 통해
|
김근상(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교회와 사회위원회 위원장)
임오년 새해 인사를 드립니다.
우리는 참으로 아슬아슬한 시절을 보냈습니다. 어느 세월인들 다사다난하지 않겠습니까마는 지난해처럼 가슴 절인 해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국제정세는 말할 것도 없으려니와 남북의 문제도, 국내정치도 살얼음판을 걷는... |
김근상 | 2002년 1월 |
|
| |
|
6 |
|
|
한국 교회사 속에 나타난 진보와 보수
|
- 그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
‘진보’와 ‘보수’의 개념은 다양하고 복잡한 내용을 담고 있다. 외국에서 들어온 기독교는 당시 봉건 사회에 대해서 진보적일 수밖에 없었다. 3·1운동을 정점으로 기독교의 민족운동 역량이 급속하게 저하되는데, 이는 민족운동을 주도했던 기독교인들이 망명하거나 독립운동 노선... |
이덕주 | 2002년 1월 |
|
| |
|
5 |
|
|
채권국과 채무국
|
- 희년, 외채탕감운동, 그리고 남반구·북반구의 화해 -
오늘날 세계가 안고 있는 큰 문제 중의 하나가 남북(남반구와 북반구) 문제이고, 그 문제의 핵심에는 외채 문제가 있다. 그것은 단순히 경제 문제가 아니고 채무국가 국민들과 자연의 삶을 짓밟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의 그리스도교 단체와 시민사회단체들이 ... |
김항섭 | 2002년 1월 |
|
| |
|
4 |
|
|
전통문화와 외래문화
|
우리 나라처럼 자국의 음악이 한순간에 밀려 버리고 그 자리를 서양음악이 차지한 경우가 또 있을까? 일본 강점기야 그렇다 치더라도 기독교의 전래마저도 한국이라는 나라의 정체성을 뿌리째 뽑아 버리는 역할을 했고 오로지 서양문화만이 우리가 배워야 하고 받아들여야 할 절대 절명의 의무처럼 피 속에 각인... |
홍준철 | 2002년 1월 |
|
| |
|
3 |
|
|
이스라엘과 아랍
|
팔레스타인 사건이 뉴스에서 보도될 때마다 우리는 마음으로 이스라엘의 편을 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성경을 통해서 익숙해진 지명 때문에, 혈통적인 이유 때문에 이스라엘에게 막연한 선입견을 갖는 종교적 집단이기주의에 심취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자기 땅이라고 선포하는 과정과 아... |
이인섭 | 2002년 1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