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
|
|
기쁨과 희망을 주는 교회들
|
종교개혁의 정신으로 한국교회를 돌아본다. 한국교회의 건강검진 리스트는 안타깝기 짝이 없다. 무엇 하나 온전할까 싶을 정도다.
“한국교회는 독선적이다.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그리고 자기중심적이다. 교인들은 개인주의, 교회는 개교회주의적이다. 게다가 물질을 추구함으... |
박명철 | 2002년 10월 |
|
| |
|
64 |
|
|
교회가 일으켜야 할 새로운 정신운동
|
한국 기독교의 장로교단들이 9월 총회를 지나면서 항상 그랬듯이 어느 교단에 어떤 올바른 지도자가 교단장으로 선임되느냐보다는 누가 더 돈을 많이 써서 당선되느냐에 관심이 쏠려 있다. 이 한 가지만으로도 현재 한국교회의 치부가 얼마나 깊은가를 단적으로 증언하고도 남는 일이라고 할 것이다. 필자는 다행히 ... |
한명수 | 2002년 10월 |
|
| |
|
63 |
|
|
한국 개신교의 영성
|
불행하게도, 개신교의 영성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무어라고 딱히 말하기 어렵다. 개신교에서 영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약 30년 전후가 되며, 마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한 후 믿음으로만 의로움을 얻는다는 생각 때문인지 개신교에서 영성이 메말라가고, 경건한 삶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영성생활은 곧 ... |
엄두섭 | 2002년 9월 |
|
| |
|
62 |
|
|
정교회의 영성
|
정교회의 영성은 거룩한 성서와 전통(성전)을 근거로 하여 육화하신 그리스도께서 몸소 보여 주신 삶의 실천을 본받아 사도들과 교부들에 의하여 이룩한 신학과 교리로 이루어진다. 성서와 전통에 대한 진실하고 공적인 표현은 성서에 기록된 하느님의 말씀, 공의회의 기록들, 예배에 관한 초기 전례서들, 교부들의 저... |
한의종 | 2002년 9월 |
|
| |
|
61 |
|
|
성공회의 영성
|
성공회는 영국교회의 종교개혁 이후에 그 정신을 같이 하는 세계적인 공동체를 말한다. 그러므로 영국교회의 종교개혁은 성공회의 영성 형성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영국교회의 영성은 켈틱 영성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헨리 8세가 종교개혁(1534)을 단행하기 전부터 영어로 성경을 번역한 작업이 진행되어 ... |
김장호 김홍일 오동균 | 2002년 9월 |
|
| |
|
60 |
|
|
가톨릭의 영성
|
가톨릭의 영성의 원천은 하느님의 말씀이다.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하느님과 대화를 하면서 하느님과 일치를 추구하는 것이 가톨릭의 영성이다. 가톨릭의 영성은 삶과 기도라는 두 방향으로 나뉘어지며, 관상과 활동이라는 말로 표... |
김영택 | 2002년 9월 |
|
| |
|
59 |
|
|
한국에서 살았던 일본인의 한국과 일본 이야기
|
필자는 한국에서의 유학 생활 동안 한국을 알기 위해서 일부러 홈 스테이를 하면서 겪었던 수많은 경험들, 곧 어려움과 스트레스, 그리고 일본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즐거움 등을 ‘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 ‘가깝지만 먼 나라’, ‘한국이라는 나라는 큰 가족’, ‘다시 시작하자!’, ‘대강 대강 대충 대충’, ‘라... |
니시가와 다까에 | 2002년 8월 |
|
| |
|
58 |
|
|
일제 강점 이후 우리 사회에 남겨진 문제들
|
해방된 지 50여 년이 지난 오늘, 여전히 한일 양국은 껄끄럽고 부담스러운 관계를 지속해 오고 있다. 최근 김대중 정권이 일본 문화 개방을 내세우고 있지만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로 그것마저 중단된 상태이다. 일제 강점이 남긴 역사의 아픔은 그만큼 한국인에게 깊은 상처로 남아 있으며, 일본은 여전히 과거의 역사... |
편집부 | 2002년 8월 |
|
| |
|
57 |
|
|
일본에 있는 한인교회 이야기
|
1882년 한국학자 이수정이 수신사 박영효 일행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와 1883년에 일본 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것이 재일한인교회의 시작이다. 일제 강점기를 맞으면서 재일한인교회 역시 일본기독교단에 편입되고, 재일한인교회의 목사들과 성도들이 투옥이나 순교의 핍박을 당하였다. 해방 후 1945년 12월에 재일본조선... |
김승준 | 2002년 8월 |
|
| |
|
56 |
|
|
일본, 어떻게 선교해야 하나-재일대한기독교회의 입장에서
|
재일대한기독교회는 도쿄의 유학생들이 YMCA의 2층 방을 빌려서 도쿄 조선기독교청년회를 발족하고 예배드림으로 시작되었다. 일본 교회는 전쟁의 승리를 위해 교단 통폐합을 단행해 한인교회는 존폐의 위기를 당하였다. 해방 후 재인대한기독교회가 재건되었으며, 계속해서 성장해서 현재 100교회 신자 7,000명에 이르... |
박수길 | 2002년 8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