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 대한기독교서회 | 회원가입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기독교사상 > 특집
특집
1162
온라인 시대의 한국 종교: 인터넷 무속과 유튜브 신종교

온라인 종교에 대한 현실과 전망 20세기와 오늘날을 가르는 가장 큰 기술적 차이는 아마도 정보기술(IT)에 있을 것이다. 한 세대 전의 미래상에서 흔히 그리던 우주여행이나 화성 이주 같은 상상은 아직도 요원하지만,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 기기의 발달은 과거 공상과학적 상상력을 이미 추월하고 있다. 시장 ...
한승훈 | 2020년 9월
1161
최근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의 흐름: 201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에서 1907년 시작된 성결교회는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 선교사들의 후원과 교인들의 헌신으로 꾸준히 성장한 교단이다. 장로교나 감리교에 비해 한 세대 늦게 시작되었지만, 성결교회는 복음의 본질이 칭의와 중생의 입문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신자의 삶이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성결에 있다는 점을 강...
박창훈 | 2020년 8월
1160
‘무신불립’(無信不立)의 기독교대한감리회 총회 10년

기독교대한감리회(이하 감리회)는 몇 년간 총회를 열지 못하는 무기력한 사태를 맞은 적이 있다. 2008년 10월 30일, 제28회 총회가 폭력적 대립 끝에 무기한 연기된 후 4년 동안 몇 차례 개회를 시도하였으나 결국 무산되었다. 아예 차수를 바꾸어 제29회 총회가 열린 것은 2012년 6월 26일의 일로, 이로써 4년 만에 겨우 행정 ...
송병구 | 2020년 8월
1159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이 땅을 부여잡다

지난 10년간 총회 주제의 흐름: 세상과 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이하 기장)는 첫출발부터 그렇듯이 관심의 초점을 우리가 살고 있는 땅에 두어왔다. 이 땅에서 숨쉬고 노동하며, 갈등하고 사랑하면서 사는 사람, 그 사람들이 엮어가는 관계, 그 관계가 구조화되는 정치·경제·문화 등 체제의 변화가 기장이 지향하...
이훈삼 | 2020년 8월
1158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바뀔 수 있을까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는 새로운 길로 나아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간의 총회를 돌아보며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은 교회의 본질을 창의적으로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필자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교단의 지난 10년간의 총회 주제해설, 촬요와 회의록, 총회장의 개회설교 등을 두루 살펴보는 동시에 해...
이근복 | 2020년 8월
1157
동백림 사건: 냉전체제 속에서 남북의 경계를 넘은 사람들

1967년 7월 8일부터 17일까지 김형욱(金炯旭) 중앙정보부장은 7차에 걸쳐 이른바 ‘동백림(東伯林: 동베를린)을 거점으로 한 북괴 대남적화공작단 사건’을 발표했다. 김형욱은 외국에 거주하고 있던 한국인 유학생, 간호사와 광부, 대학교수 등이 동베를린 주재 북한대사관을 방문해 북한 측으로부터 금품을 받고 간첩 ...
이정민 | 2020년 7월
1156
1980년대 방북자들과 기독교 남북대화

오늘날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향한 진전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개인 및 종교인들의 노력이 이루어낸 결실이다. 특히 1970년대 들어서 남북통일을 위한 해외 및 남한 기독교인들의 꾸준한 노력이 이어졌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평화통일운동을 시대적 과제로서 본격적으로 인식하게 된 것은 1980년대...
이유나 | 2020년 7월
1155
북한 개별 관광의 필요성과 가능성

북한 개별 관광 논의의 등장 배경 1998년에 시작된 금강산 관광이 아련하다. 2003년에 들어서는 육로 관광이 시작되었고, 2007년에는 개성 관광도 열렸다. 금강산은 관광만이 아니라 남북대화나 이산가족 상봉의 장소로도 활용되어 남한 사람들에게는 가장 친숙한 곳으로 인식되었다. 남북한은 2005년 8월 31일 금강산...
서보혁 | 2020년 7월
1154
6·25전쟁 중에 납북·피살된 종교인들

* 이 글은 필자가 발표한 글 “피살·납북된 목사·신부 등 358명 명단 발굴”(「월간조선」, 2003년 10월호)과 필자의 저서 『6・25전쟁 납북』(기파랑, 2006) 중 종교인 관련 내용을 주로 활용하였음을 밝힌다. 전쟁 이전의 종교 탄압 북한의 기독교인들은 6・25전쟁 이전부터 수난을 당하고 ...
정진석 | 2020년 6월
1153
납북자 가족의 시련과 고통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납북자 6・25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전시 납북자 문제는 수많은 담론을 양산해내며 오늘날까지 역사의 수면 아래에 잠재되어 있다. 오래도록 침묵의 시간을 보내온 전시 납북자 문제는 2010년 6월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새로운 ...
여현철 | 2020년 6월
게시물 검색


2023년 4월호(통권 772호)
이번호 목차 / 지난호 보기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