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미국에서 시작한 여성신학을 소개하기 위해 이분법을 극복하는 로즈마리 레드포드 류터의 여성신학을 소개하고, ‘의심의 해석학’을 주장하며 성서를 비판적으로 수용해 성서에 드러나 있는 차별적 편견들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뜻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엘리자베스 피오렌자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토착화신학으로서의 박순경 통일신학 지난해 10월 24일 소천하신 박순경 선생(原草, 1923-2020)의 신학은 참으로 통전적이다. 그녀는 1949년 해방 정국의 와중에서 크신 하나님의 현존을 체험했는데, 이를 통해 이 세상의 만물 중 하나님의 간섭 아래 있지 않은 것이 없음을 깨달았다. 이는 그녀 신학의 출발점이며 ...
들어가며: 한국 여성신학의 의미와 배경 ‘한국 여성신학의 흐름과 발자취’라는 주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기에 앞서 먼저 한국 여성신학의 의미와 범주에 대해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다루는 한국 여성신학의 의미와 범주는 생물학적으로 한국인의 혈통을 가진 여성이 순수하게 한국적이라고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