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8 |
| |
|
1067 |
|
|
지혜에 대한 찬양 2(잠 8:22-36)
|
철학자 기 드보르(Guy Debord)가 말한 것처럼, 우리는 스펙터클한 세계에 던져졌다.1 현대인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환상 속에서 달콤한 즐거움을 찾고, 그 드라마에 나온 제품을 구매하며 가상의 세계에 자신을 투영한다. 헛헛한 자아를 채우려 비트코인 등의 가상자산에 투자하면서 미래를 건다. 3D 게임 속 ... |
권지성 | 2022년 8월 |
|
| |
|
1066 |
| |
|
1065 |
|
|
노아가 세상을 구원하였다? 방주와 무지개의 의미
|
창세기의 ‘노아의 홍수 이야기’(6:5-9:17)로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을 주된 메시지로 이해하는 것 같다. (1) 노아가 세상을 구원하였다. (2) 노아가 사람들에게 앞으로 닥칠 홍수에 대해 경고했지만, 사람들은 그의 말을 무시하였다. (3) 노아 홍수 때에는 노아의 방주에만 구원이 있었다. ‘방주교회... |
배희숙 | 2022년 8월 |
|
| |
|
1064 |
|
|
지혜에 대한 찬양 1(잠 8:1-21)
|
정신분석학에서 사용하는 용어 ‘나르시시즘’(narcissism)은 그리스어 ‘나르키소스’(Νάρκισσος)에서 유래한 말이다. ‘무감각’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나르케’에서 파생된 이름인 나르키소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인데, 연못에 비친 자기 모습을 사랑하게 되어 입맞춤을 하려다 그것이 자신임을 ... |
권지성 | 2022년 7월 |
|
| |
|
1063 |
|
|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 부패한 교회법으로부터의 자유
|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에서 다시 시작하기
바울서신에서 ‘자유’는 중심적인 신학 개념 중 하나이다. 신약성서의 각 책과 사도교부들의 문헌을 통틀어 바울서신은 대략 15%의 비중을 차지하는 데 반해, 이 문헌들에 등장하는 ‘자유’ 관련 언급 중에서 바울이 사용한 비율은 60%에 달한다. 이처럼 단순... |
장양미 | 2022년 7월 |
|
| |
|
1062 |
|
|
하나님은 왜 가인의 제물을 받지 않으셨는가
|
“하나님은 왜 가인의 제물을 받지 않으셨을까?” 가인과 아벨 이야기(창 4:1-16)가 던지는 이 물음에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이가 천착해왔다. 이에 대한 주된 해석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고대로부터 시작된 가장 보편적인 해석으로, 아벨은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을 드린 반면 가인은 “... |
배희숙 | 2022년 7월 |
|
| |
|
1061 |
|
|
이방 여인 이미지 해체하기(잠 5:1-14)
|
잠언 1-9장의 이방 여인의 유혹에 대한 이미지는 해석학적 난제이다. 이방 여인, 음녀와 관계를 맺지 말라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잠언 1-9장의 8번째 가르침에 해당하는 5장을 살펴보자.
문학적 형식과 구조
잠언 1-9장에서 음녀 혹은 이방 여인에 대한 은유는 총 4번에 걸쳐 등장하는데, 5장은 7장과 함께... |
권지성 | 2022년 6월 |
|
| |
|
1060 |
|
|
새로운 자유 개념이 필요하다
|
성서에 나타난 해방과 자유
기독교에서 자유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구약성서의 중심 주제인 출애굽 사건에서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의 종살이에서 해방시켰고, 신약성서에서는 그리스도를 통해 세계를 죄와 죽음에서 해방시켰다.
메시아 예수의 십자가를 통한 세계의 해방을 전하... |
장양미 | 2022년 6월 |
|
| |
|
1059 |
|
|
누가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았는가- 정치와 종교의 야합
|
그러자 바리새파 사람들은 바깥으로 나가서, 곧바로 헤롯 당원들과 함께 예수를 없앨 모의를 하였다.(막 3:6)
알라딘 램프와 땅콩
지난 3월 31일 SBS의 TV 프로그램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에서 ‘안학수 하사’ 이야기를 다루었습니다. 베트남전에 파병된 그는 1966년 9월 16일에 귀국... |
서재경 | 2022년 5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