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 |
|
|
LA폭동 이후의 한인교회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
“디아스포라 한인교회와 종족 경계의 재생산: 한 LA 재미한인교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 2019
들어가며
1903년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최초의 미국 이주가 시작된 후, 한인교회는 한인 사회의 구심점이었다. 낯선 미국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피난처가 될 수... |
서대승 | 2021년 7월 |
|
| |
|
221 |
|
|
탈북(脫北), ‘인민의 낙원’을 뒤로하고: 북한이탈주민은 왜 왔을까
|
두 북한 여성의 사연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말, 북한을 탈출하여 중국 길림성에 숨어 살던 두 북한 여성의 근황을 듣게 되었다. 이 두 여성은 어렵사리 중국까지 왔지만, 코로나19 관련 봉쇄 조치 때문에 중국에서 오도가도 못 하고 있었다. 한국에 오는 모든 길마저 막혀 있는 중에 안타까운 소식이 필자에... |
김의혁 | 2021년 7월 |
|
| |
|
220 |
|
|
성서와 도의 신학
|
나는 최근 들어 세계 굴지의 출판사들로부터 한국 성서해석학에 대한 글을 요청받고 있다. 최근 마감된 『옥스퍼드한국성서학핸드북』에는 내가 성서신학 전공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여러 번 거절했지만, 그 저서의 역사적 중요성과 편집자의 끊임없는 요청에 못 이겨 “도의 신학 입장에서 성경읽기”라는 제목으로 ... |
김흡영 | 2021년 7월 |
|
| |
|
219 |
|
|
아빌라의 수도원, 예수의 테레사를 만나다
|
아빌라 가는 길
2014년 1월 19일 주일, ‘예수의 테레사’ 혹은 ‘아빌라의 테레사’라 불리는 한 여성의 자취를 고스란히 간직한 스페인의 중세도시 아빌라를 찾았다. 눈이 많이 내려 다음 날 갈까 하다가 눈 내리는 아빌라 풍경도 좋을 듯해 마드리드 차마르틴 역에서 기차를 타고 아빌라로 향했다. 눈 덮인 스... |
박경수 | 2021년 7월 |
|
| |
|
218 |
|
|
공공신학과 개혁신학이 한국에서 만나다
|
“John Calvin as Public Theologian? Reading Calvin’s Theology in the Light of Contemporary Discourses in Public Theology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Context”(공공신학자 장 칼뱅? 한국 상황에서 공공신학적 관점으로 칼뱅의 신학 읽기) University of Stellenbosch, 2020
들어가는 글
오래전부터 교회가 위기에 처했다는 이야기가 ... |
김민석 | 2021년 6월 |
|
| |
|
217 |
|
|
처음 발견된 언더우드의 한문 편지
|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는 1885년 부활절 오후에 인천에 도착하여 1916년 10월 12일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한국 선교에 전념하며 수많은 교회와 학교, 병원을 세웠다. 후배 선교사들이 한국어를 잘 배워서 한국인들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도록 영한사전과 한영사전을 편찬하고 한국어 문법서... |
허경진 | 2021년 6월 |
|
| |
|
216 |
|
|
「로동신문」을 통해 본 1945-1950년의 북녘 교회
|
들어가며
분단 이후 북녘의 교회에 관한 글들에 자주 인용되는 『북한 종교의 새로운 이해』(김흥수·류대영 공저, 다산글방, 2002)에는 “「로동신문」 종교기사 목록(1970-2001)”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북녘의 대표적 공간(公刊) 매체에서 종교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핀 것은 퍽 의미 있는 일이라고 ... |
유관지 | 2021년 6월 |
|
| |
|
215 |
|
|
도의 신학, 위기에 처한 글로벌 신학의 해법
|
우리 동양적 사유의 핵심인 ‘도’를 근본 은유로 사용하는 ‘도의 신학’은 우리의 상황신학으로서 정당할 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학의 흐름이라는 큰 그림에서도 중요한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기독교 신학은 결코 획일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주위의 종교문화와 대화하며 더욱 열린 완성을 향... |
김흡영 | 2021년 6월 |
|
| |
|
214 |
|
|
아이빙엔 수도원, 하나님과 세상을 열렬히 사랑한 힐데가르트를 만나는 곳
|
독일 라인 강변 뤼데스하임(Rüdesheim)의 높은 언덕 위에 자리잡은 아이빙엔(Eibingen) 수도원은 흔히 ‘힐데가르트 수도원’이라 불린다. 현재 건물은 20세기 초에 세워진 것이지만, 이 수도원의 역사는 12세기 힐데가르트가 수도원을 설립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8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우여곡절을 겪고서도 여전히 힐데... |
박경수 | 2021년 6월 |
|
| |
|
213 |
|
|
통계와 이름을 실마리로 한 전도부인 서사 발굴
|
“미국 북장로회 전도부인 연구”(The Origin, Beliefs and Consciousness of the Bible Women in the Region of the Korea Mission of PCUSA)
연세대학교, 2021
| 한국 개신교의 시조모(始祖母)를 찾아서
교회사는 신자의 교화와 감동을 위해서 역사적 인물을 미화하거나 반면교사로 삼으면서 정작 사실관계를 뒷전에 ... |
김은정 | 2021년 5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