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
|
|
농(農)적 삶과 농(農)사상
|
“농적 삶을 위한 사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 이 글은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단행본의 내용 일부를 발췌하여 편집한 것이다. 주석은 가급적 생략했다. 서성열, 『농적 삶을 위한 사유』(좋은땅, 2021).
1. 2020년 여름 장마는 기록적인 호우를 뿌리며 곳곳에서 물난리와 ... |
서성열 | 2022년 10월 |
|
| |
|
275 |
|
|
러시아의 모더니즘과 검은 추상의 세계
|
지난 호에서 살펴본 입체주의는 20세기 현대미술의 정석이자 바이블이었다. 새로운 것을 추구한 모든 현대 미술가들에게 입체주의가 낳은 ‘빈 그릇’의 미술 형식은 다시 새로운 무언가를 담을 수 있는 매력적인 미래의 미술로 수용되었고, 화가들은 저마다의 삶과 경험을 ‘빈 그릇’에 담아 후기 입체주의 미술 양... |
신사빈 | 2022년 10월 |
|
| |
|
274 |
|
|
『이집트인들의 복음』에 나타난 셋의 성육신과 침례
|
마태복음에서는 예수는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1:1, 1:17)으로 나오고, 예수가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은 신약성서에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나온다.(마 1:20, 9:27, 12:23, 15:22, 20:30-31, 21:9, 21:15, 22:42, 22:45, 막 10:47, 10:48, 12:35, 12:37, 눅 1:27, 18:38-39, 20:41, 20:44, 계 22:16)
예수가 다윗의 자손이라는 사실은 도대체 어떤 ... |
조재형 | 2022년 10월 |
|
| |
|
273 |
|
|
찬송가에 나타난 가사와 곡의 부조화
|
고대로부터 노래는, 음악이 먼저 있고 노랫말이 지어진 것이 아니라, 노랫말이 먼저 생겨나고 나서, 또는 노랫말과 함께 노래가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노래는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말의 흐름에 따라 만들어진다. 후대에 가사 없이 음악 자체가 독자적으로 연주되는 곡이 작곡되면서 음악이 언어에서 분리되어 독자... |
전무용 | 2022년 9월 |
|
| |
|
272 |
|
|
『빌립복음』에 나타난 영지주의자들의 성례전
|
예수에게 아내가 있었다는 내용을 골격으로 창작된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는 내용의 파격성에도 불구하고 순전히 소설적 상상력에 근거한 작품이다. 그러나 이 소설도 나그함마디 문서 코덱스 2권에 나오는 『빌립복음』의 몇몇 구절에서 시작되었다. 그 구절들은 다음과 같다.1
... |
조재형 | 2022년 9월 |
|
| |
|
271 |
|
|
입체주의와 보이는 세계의 해체: 추상의 시작
|
지난 두 번에 걸쳐 살펴본 사실주의와 인상주의는 각각 ‘사회비판’과 ‘빛’을 매개로 현대미술에 스며든 두 가지 미술 양식이었다. 사실주의는 사회비판적 ‘내용’을 중시한 현대미술로 이어졌고, 인상주의는 순수 ‘형식’을 중시하는 추상미술의 흐름을 낳았다. 이번 호에서 살펴볼 입체주의는 후자에 속한다.... |
신사빈 | 2022년 9월 |
|
| |
|
270 |
|
|
치리권 청원으로 표출된 1930년대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의 근대적 자아정체성
|
“1930년대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의 자아정체성과 치리권 청원”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1933년의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 제22회 회록』에는 “함남노회장이 여자에게도 장로 자격을 주자는 헌의와 겸하여 최씨 영혜 외 103인이 연서하여 여자에게 치리권 허락 청원은 정치 제5... |
서선영 | 2022년 8월 |
|
| |
|
269 |
|
|
인상주의(impressionism)와 빛의 미술: 일상의 재발견
|
인상주의 미술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생겨난 미술 양식이다. 지난 호에서 살펴보았던 사실주의(realism) 미술이 계몽주의에서 강화된 이성 주체를 배경으로 하여 현실을 사회비판적 시각에서 표현했다면, 이어 등장한 인상주의 미술은 사실주의 미술이 열어놓은 일상 현실의 지평을 심미적 차원으로 발전시킨다. 사실주... |
신사빈 | 2022년 8월 |
|
| |
|
268 |
|
|
『요한 비밀서』에 나타난 세상과 인간의 창조
|
『요한 비밀서』(Apocryphon of John)에는 세베대의 아들 사도 요한이 구원자에게 절박한 심정으로 기도하면서 제기한 네 가지 근본적인 질문이 던져진다. 전체 내용을 예시하는 그 네 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다. “구원자는 어떻게 지명되었는가? 그리고 그분의 아버지께서는 무엇 때문에 그분을 세상으로 보내셨는가?... |
조재형 | 2022년 8월 |
|
| |
|
267 |
|
|
역대기 저자가 전하는 요시야 개혁의 ‘개혁’
|
“역대하 34-35장(요시야 본문)의 수사비평적 연구: 환유를 중심으로”1
한신대학교, 2021
역대기는 오랫동안 학계의 주요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연구의 관심이 주로 신명기 역사에 치우쳐 있었고, 역사의 객관적 신빙성을 물어왔기 때문이다. 특히 요시야 이야기를 담고 ... |
김윤식 | 2022년 7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