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
|
|
6·25전쟁 시기 부산지역 기독교의 현황과 변화
|
* 이 글은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 중 일부를 발췌하여 편집한 것이다. 이종민, “6·25전쟁기 부산지방 기독교의 공존과 긴장 연구, 1950-1953”(부산장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1).
6·25전쟁은 부산지역 기독교 성장의 전환점이었다. 전쟁은 우리 민족의 비극이고 아픔이었지만, 하나님의 섭... |
이종민 | 2022년 6월 |
|
| |
|
260 |
|
|
성서적 통일, 복음 통일, 평화 통일이란 무엇일까
|
“한반도 통일을 위한 ‘하나’와 ‘여럿’의 신학”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신학과, 2018
성서적 통일, 복음 통일, 평화 통일이란 무엇일까? 이 표현들은 분단시대 한반도에 사는 기독인들에게 아주 익숙한 단어이다. 익숙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 |
이수봉 | 2022년 5월 |
|
| |
|
259 |
|
|
순천 지역유지와 기독교
|
순천 기독교 전래
순천 땅을 처음 밟은 선교사는 미국 남장로교의 윌리엄 레이놀즈(William D. Reynolds, 이눌서)이다. 그는 1894년 4월 30일 순천에 들어와 하룻밤 머물렀다. 남장로교 한국 선교의 전반적인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 전라남북도를 탐사하던 중 잠깐 체류한 것이다. 그런데 당시 레이놀즈의 방문은 20여 년 ... |
송현강 | 2022년 5월 |
|
| |
|
258 |
|
|
역사와 시대에 대한 증언-전영택과 그의 소설
|
관서계 기독교 지식인
전영택은 평양에서 태어나 진남포에서 자랐다. 아버지가 세운 진남포 보동학교를 다닌 뒤 안창호가 세운 평양 대성학교에서도 공부했다. 그가 기독교에 귀의한 것은 평양 대부흥운동기, 먼저 귀의한 작은 형의 영향이었다. 진남포 신흥리교회에서 신앙생활을 시작하여 감리교 최초의 목... |
표언복 | 2022년 5월 |
|
| |
|
257 |
|
|
민정이양 이전 한국 기독교의 5·16 군사정변에 대한 입장
|
대선이 끝났다. 곧 당선자의 호칭이 대통령으로 바뀔 것이다. 우리나라는 투표를 통한 정권교체를 다시 경험하는 중이다. 평화로운 정권교체는 우리나라의 절차적 민주주의가 잘 작동하고 있다는 하나의 증거일 것이다. 하지만 이번 대선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하나는 가뜩이나 비대한 검찰의 권... |
손승호 | 2022년 5월 |
|
| |
|
256 |
|
|
만우 송창근 목사의 ‘민족목회’를 조명하며 친일 오명을 논하다
|
“만우 송창근 목사의 민족목회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만우 송창근(晩雨 宋昌根, 1898-1950) 목사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전쟁기를 온몸으로 겪고 살아냈던 독립운동가이자 신학자, 그리고 신학교육자이자 목회자였다. 이러한 다양한 삶의 궤적 이면에는 그의 ‘성빈(聖貧)... |
김교민 | 2022년 4월 |
|
| |
|
255 |
|
|
고흥 향리와 기독교
|
* 충청·호남 지역의 기독교는 19세기의 사회적 조건을 배경으로 지역 중간층이 그 수용을 주도하였다. 이 연재는 고흥, 순천, 강경 등지의 사례를 통해 중간층(아전, 향족, 객주)이 어떤 과정을 통해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데 앞장섰는지 살펴보기로 한다.-편집자
고흥과 동학
1890년 전라도... |
송현강 | 2022년 4월 |
|
| |
|
254 |
|
|
김규식의 신앙과 학문, 그리고 항일민족운동(3)
|
4. 민족해방운동과 신앙·학문 활동(1921-45)
앞서 보았듯 중국으로의 망명 이후 김규식이 펼친 파리강화회의와 구미위원부 활동은 한마디로 외교독립운동이었다. 구미 열강을 상대로 한 이러한 외교적 활동은 1920년 이후 민족해방운동적인 성격으로 변하고 그 운동의 노선과 무대도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 |
윤경로 | 2022년 4월 |
|
| |
|
253 |
|
|
종교와 과학, 테크놀로지, 그리고 도의 신학
|
종교 간 대화와 종교와 과학의 대화
지금까지는 주로 한국 기독교가 소홀히 했던 우리의 과거와 관련하여 도의 신학을 논하며 우리 민족 영성의 열매인 전통 종교문화에 대한 맥락적 문해력(Contextual Literacy)을 높이고 그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우리 신학을 새롭게 구축하는 작업을 중심으로 설명해왔다. 이는 서... |
김흡영 | 2022년 4월 |
|
| |
|
252 |
|
|
칭의론 새로 보기: 불의한 법으로부터의 자유
|
“바울의 자유 개념에 대한 정치신학적 고찰: 갈라디아서와 고린도전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 필자의 박사 논문에서는 바울의 자유 개념을 크게 네 개의 차원으로 구성했다. ‘법으로부터의 자유’에서 ‘연대를 향한 자유’로의 변화, ‘힘을 지향하는 자유’에서 ‘힘을 지... |
장양미 | 2022년 3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