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
|
|
판소리와 쇼팽이 만날 때
|
지난 두 차례에 걸쳐서 우리는 서양 음악과 현대 대중음악으로 신학적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다른 예술 작품이나 행위가 그러하듯이 음악도 그것을 창작하거나 연주하는 이들이 지향하는 세계관을 잘 담아내는 그릇 역할을 한다. 앞서 나눈 두 사람의 음악가 이야기를 통해서도 우리는 이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
양재훈 | 2016년 10월 |
|
| |
|
15 |
|
|
흔적과 아픔의 문학 (20)"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들을 끌어들인다" (3) :『깊은 강』②
|
오오츠와 미츠꼬(계속)
그리스도를 무명의 존재, 아니 ‘양파’라고 불러도 좋은 존재로 봄으로써 서구의 기독교를 아시아라는 토양에서 다시 태어나도록 하려는 시도, 즉 서구 기독교의 아시아적 성화(聖化)는 미츠꼬가 인도에 ... |
김승철 | 2016년 10월 |
|
| |
|
14 |
|
|
파이프오르간, 그것이 알고 싶다
|
이 글을 쓰는 목적은 파이프오르간(이하 오르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오해에 대한 바른 지식을 소개하려는 데 있다. 가령 “오르간이 한국교회에 꼭 필요한가?”라는 문제 제기에 대하여 “필요하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답할 수 있다. 오르간은 서양 문화권의 예배에서는 꼭 필요한 악기일지 몰라도, 한국... |
문성모 | 2016년 10월 |
|
| |
|
13 |
|
|
현대 대중음악과 기독교
|
최근 텔레비전 방송 엠넷(Mnet)의 쇼미더머니 시즌5에서 우승한 비와이(BewhY)가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폭풍처럼 거침없이 내뱉는 랩, 청중의 귀에 파고들도록 선명하게 가사를 전달하는 능력 등 래퍼로서의 실력도 실력이거니와, 그의 힙합이 갖는 특이함으로 인해 관심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래퍼들의 ... |
양재훈 | 2016년 9월 |
|
| |
|
12 |
|
|
흔적과 아픔의 문학 (19)"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들을 끌어들인다" (2) :『깊은 강』①
|
우리 영혼의 깊은 강
지난번 연재에서도 언급했듯이, 엔도는 1992년에 자신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침묵』의 집필 과정이나 그 후의 반향 등에 대한 소회(所懷)를 담은 『침묵의 소리』를 출판했다. 그런데 이 책에서 엔도가... |
김승철 | 2016년 9월 |
|
| |
|
11 |
|
|
한국 찬송가의 역사와 전망
|
이 글은 한국 찬송가가 걸어온 영욕의 역사를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찬송가의 한국화’라는 측면에서 제시해보고자 한다. 한국 찬송가란 말 그대로 한국 사람을 위해서 한국인이 만든 찬송가가 되어야 하며, 우리... |
문성모 | 2016년 9월 |
|
| |
|
10 |
|
|
음악으로 듣는 성서
|
“오빠, 전화로 이러지 말고 우리 만나서 얘기해”
문명이 발달하면서 세상 사는 것이 참 편해졌다. 몇 주일씩 걸려 다니던 길을 이제는 불과 몇 시간이면 오갈 수 있고, 두세 주가 족히 걸려야 지구 건너편에 사는 벗에게 편지를 쓰면 답장을 받았는데 이제는 이메일을 보내면 단 1초도 걸리지 않는다. 옛날에야 ... |
양재훈 | 2016년 8월 |
|
| |
|
9 |
|
|
흔적과 아픔의 문학 (18)"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들을 끌어들인다" : 『여자의 일생』
|
“나의 마음의 고향” 나가사키(長崎)
『성수』(聖水)라는 작품으로 아쿠다가와 상(2001)을 받은 나가사키 출신의 작가 세이라이 유이치[青来有一, 본명은 나카무라 아키토시(中村明後), 1958-]는 나가사키(長崎)야말로 일본 근대화... |
김승철 | 2016년 8월 |
|
| |
|
8 |
|
|
한국교회의 종말론적 찬송가들
|
음악 패러디의 일종인 콘트라팍타(Contrafacta)의 방법으로 노래 가사가 바뀌어 우리에게 전해지는 찬송 중에는 종말론적 입장에서 현실 세계로부터의 도피와 내세에 대한 동경을 노래하는 것들이 있다. 암울한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 |
문성모 | 2016년 8월 |
|
| |
|
7 |
|
|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생각
|
문화와 악
사탄의 기원에 관한 여러 이야기 가운데 구약 외경 에녹 1서가 자못 흥미롭다. 에녹 1서 6장 이후에는 ‘감시자들의 책’이라고 불리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는 악한 천상의 세력들이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이야기는 창세기 6장에 나오는 이야기와 조금 비슷한데, 그 내용은 대충 ... |
양재훈 | 2016년 7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