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 대한기독교서회 | 회원가입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기독교사상 > 문화·신학·목회
문화·신학·목회
272
『빌립복음』에 나타난 영지주의자들의 성례전

예수에게 아내가 있었다는 내용을 골격으로 창작된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는 내용의 파격성에도 불구하고 순전히 소설적 상상력에 근거한 작품이다. 그러나 이 소설도 나그함마디 문서 코덱스 2권에 나오는 『빌립복음』의 몇몇 구절에서 시작되었다. 그 구절들은 다음과 같다.1 ...
조재형 | 2022년 9월
271
입체주의와 보이는 세계의 해체: 추상의 시작

지난 두 번에 걸쳐 살펴본 사실주의와 인상주의는 각각 ‘사회비판’과 ‘빛’을 매개로 현대미술에 스며든 두 가지 미술 양식이었다. 사실주의는 사회비판적 ‘내용’을 중시한 현대미술로 이어졌고, 인상주의는 순수 ‘형식’을 중시하는 추상미술의 흐름을 낳았다. 이번 호에서 살펴볼 입체주의는 후자에 속한다....
신사빈 | 2022년 9월
270
치리권 청원으로 표출된 1930년대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의 근대적 자아정체성

“1930년대 함경남도 장로교회 여성들의 자아정체성과 치리권 청원”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1933년의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 제22회 회록』에는 “함남노회장이 여자에게도 장로 자격을 주자는 헌의와 겸하여 최씨 영혜 외 103인이 연서하여 여자에게 치리권 허락 청원은 정치 제5...
서선영 | 2022년 8월
269
인상주의(impressionism)와 빛의 미술: 일상의 재발견

인상주의 미술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생겨난 미술 양식이다. 지난 호에서 살펴보았던 사실주의(realism) 미술이 계몽주의에서 강화된 이성 주체를 배경으로 하여 현실을 사회비판적 시각에서 표현했다면, 이어 등장한 인상주의 미술은 사실주의 미술이 열어놓은 일상 현실의 지평을 심미적 차원으로 발전시킨다. 사실주...
신사빈 | 2022년 8월
268
『요한 비밀서』에 나타난 세상과 인간의 창조

『요한 비밀서』(Apocryphon of John)에는 세베대의 아들 사도 요한이 구원자에게 절박한 심정으로 기도하면서 제기한 네 가지 근본적인 질문이 던져진다. 전체 내용을 예시하는 그 네 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다. “구원자는 어떻게 지명되었는가? 그리고 그분의 아버지께서는 무엇 때문에 그분을 세상으로 보내셨는가?...
조재형 | 2022년 8월
267
역대기 저자가 전하는 요시야 개혁의 ‘개혁’

“역대하 34-35장(요시야 본문)의 수사비평적 연구: 환유를 중심으로”1 한신대학교, 2021 역대기는 오랫동안 학계의 주요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연구의 관심이 주로 신명기 역사에 치우쳐 있었고, 역사의 객관적 신빙성을 물어왔기 때문이다. 특히 요시야 이야기를 담고 ...
김윤식 | 2022년 7월
266
사실주의(realism) 미술과 비판 정신의 출현

19세기까지 서양미술사의 두 정신적 축은 그리스-로마 신화와 그리스도교였다. 그러나 20세기 현대미술에 들어서면 신화와 성서의 상징적 도상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알 수 없는 미술들이 ‘아방가르드’라는 이름 아래 현란하게 출현한다. 마치 “미술의 종말”(das Ende der Kunst)을 선언한 헤겔을 비웃기라도 하듯...
신사빈 | 2022년 7월
265
1,600년 만에 이집트에서 발견된 초기 그리스도교 영지주의 문서

‘나그함마디 라이브러리’(Nag Hammadi Library)는 사해사본과 함께 20세기 고고학 발견의 최대 성과 중 하나이다. 통상 한국 학계에서 ‘나그함마디 문서(서고)’로 불리는 이 문서는 1945년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서 남서쪽으로 약 595km 떨어진 자발 알-타리프(Jabal al-Tarif) 절벽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이 절벽은 파코미우스...
조재형 | 2022년 7월
264
아편전쟁 이전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시대적 역할

“プロテスタント宣教師による中国関連知識の構築—アヘン戦争以前の時期を中心に”(개신교 선교사에 의한 중국 관련 지식 구축: 아편전쟁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도쿄대학교 인문사회계연구과 아시아문화연구(아시아사), 2020 아시아 기독교사 연구 공간으로서의 일본 19-20세기 초, ...
황예렘 | 2022년 6월
263
강경 객주와 기독교

강경 덕유정 19세기 금강 유역의 대표적 포구인 강경은 당시 전국 3대 시장의 하나로 온 나라의 상선이 모이는 원격지 교역의 창구이자 넓은 강경평야를 배후에 가진 곡창이었다. 이뿐만 아니라 일제 강점 이후에는 충남 제2의 일본인 거주지로서 식민행정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이러한 강경의 상업도시적 속성...
송현강 | 2022년 6월
게시물 검색


2023년 2월호(통권 770호)
이번호 목차 / 지난호 보기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