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
|
|
삼위일체 하나님: '아래로부터의 신학'으로 본 자아와 공동체의 살아 있는 원천
|
“관계적 자아의 근원으로서 역사·본질적 삼위일체론 연구: ‘성찰하는 자아’에서 ‘해석 공동체’로”
감리교신학대학교대학원, 2022
나의 박사 논문은 삼위일체론에 관한 연구이다. 삼위일체론 앞에 수식어가 붙은 논문의 제목은 “관계적 자아의 근원으로서 역사·본질적 삼위일체론 연... |
송화섭 | 2022년 12월 |
|
| |
|
281 |
|
|
초현실주의(Surrealism) 미술과 사상
|
20세기 서구 현대미술이 폴 세잔(Paul Cézanne)과 입체파에서 시작하여 추상으로 전개된 형식주의 미술에서 큰 흐름을 이루어왔다면, 초현실주의 미술은 내용적인 면에서 20세기 현대미술의 또 다른 축을 형성하며 현대미술의 질적인 깊이를 더해왔다.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나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등 우리에게 ... |
신사빈 | 2022년 12월 |
|
| |
|
280 |
|
|
『영혼에 관한 주석』에 나타난 영혼의 회개와 회복
|
구약성서에는 이스라엘을 창녀로 비유하여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에스겔서와 호세아서에서 이스라엘은 하느님을 버리고 이방신을 섬기는 창녀(또는 간음자)로 묘사된다. 이러한 구약성서 본문 자체를 중요하게 인용하여 영혼을 창녀로 비유한 문서가 나그함마디 코덱스 2권에 실려 있는 『영혼에 관한 ... |
조재형 | 2022년 12월 |
|
| |
|
279 |
|
|
바넷 뉴먼의 숭고미와 한국 단색화의 자연미
|
지난 호에서는 절대주의 미술을 창시한 말레비치의 ‘검은 추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러시아 정치 혁명의 한가운데에서 탄생한 말레비치의 유토피아적 추상은 현대미술사에서 전면 추상화로 가는 길을 앞당겼고,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망명 온 유럽의 화가들에 의해 미국에서도 큰 울림으로 수용되었다.
뉴욕화... |
신사빈 | 2022년 11월 |
|
| |
|
278 |
|
|
애착유형별 성도의 이해와 기도훈련 방향
|
“애착유형별 목회상담적 함의와 제안-하나님애착과 기도경험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어렸을 때 주 양육자로부터 충분한 돌봄과 공감을 얻지 못한 유아는 자신을 타인으로부터 소외시키며 자기 욕구에 집착하고 자기중심적인 패턴을 보이기도 한다. 더불어 과학기... |
방윤주 | 2022년 11월 |
|
| |
|
277 |
|
|
『셈의 풀이』에 나타난 우주론과 구원자의 모습
|
신약성서에는 옷과 갑옷에 관한 직접적 또는 은유적 표현이 여러 곳에 나온다. 이러한 은유는 대개 옷이 가지는 신체에 대한 보호 기능과 외모를 돋보이게 하는 기능을 이용해서 신앙생활을 설명한다. 로마서 13장 12-14절에서 바울은 어둠의 행실을 벗어버리고 빛의 갑옷(12절, 호플론, ὅπλον)을 입고, 더 나아가 아예 ... |
조재형 | 2022년 11월 |
|
| |
|
276 |
|
|
농(農)적 삶과 농(農)사상
|
“농적 삶을 위한 사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 이 글은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단행본의 내용 일부를 발췌하여 편집한 것이다. 주석은 가급적 생략했다. 서성열, 『농적 삶을 위한 사유』(좋은땅, 2021).
1. 2020년 여름 장마는 기록적인 호우를 뿌리며 곳곳에서 물난리와 ... |
서성열 | 2022년 10월 |
|
| |
|
275 |
|
|
러시아의 모더니즘과 검은 추상의 세계
|
지난 호에서 살펴본 입체주의는 20세기 현대미술의 정석이자 바이블이었다. 새로운 것을 추구한 모든 현대 미술가들에게 입체주의가 낳은 ‘빈 그릇’의 미술 형식은 다시 새로운 무언가를 담을 수 있는 매력적인 미래의 미술로 수용되었고, 화가들은 저마다의 삶과 경험을 ‘빈 그릇’에 담아 후기 입체주의 미술 양... |
신사빈 | 2022년 10월 |
|
| |
|
274 |
|
|
『이집트인들의 복음』에 나타난 셋의 성육신과 침례
|
마태복음에서는 예수는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1:1, 1:17)으로 나오고, 예수가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은 신약성서에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나온다.(마 1:20, 9:27, 12:23, 15:22, 20:30-31, 21:9, 21:15, 22:42, 22:45, 막 10:47, 10:48, 12:35, 12:37, 눅 1:27, 18:38-39, 20:41, 20:44, 계 22:16)
예수가 다윗의 자손이라는 사실은 도대체 어떤 ... |
조재형 | 2022년 10월 |
|
| |
|
273 |
|
|
찬송가에 나타난 가사와 곡의 부조화
|
고대로부터 노래는, 음악이 먼저 있고 노랫말이 지어진 것이 아니라, 노랫말이 먼저 생겨나고 나서, 또는 노랫말과 함께 노래가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노래는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말의 흐름에 따라 만들어진다. 후대에 가사 없이 음악 자체가 독자적으로 연주되는 곡이 작곡되면서 음악이 언어에서 분리되어 독자... |
전무용 | 2022년 9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