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 |
|
|
구약 희생제의 체계의 논리를 찾아서: 레위기 하타트 제의에 대하여
|
“하타트 제의의 피와 고기의 기능과 의미 연구: 레위기 4:1–5:13, 16장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7
총 9장으로 구성된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오경의 희생제의 체계의 문맥에서 특별히 레위기 4장 1절-5장 13절과 16장을 중심으로 하여 제이콥 밀그롬(Jacob Milgrom) 등의 ... |
성기문 | 2020년 8월 |
|
| |
|
184 |
|
|
몽양 여운형과 기독교(1)
|
| 머리말
몽양(夢陽) 여운형(呂運亨, 1886-1947)은 기독교라는 특정한 한 종교인으로 보기에는 너무나 ‘큰 인물’이다. 마치 안중근(安重根)을 천주교인으로, 백범(白凡) 김구(金九)를 동학이나 기독교인으로 한정해 볼 수 없듯, 여운형 역시 기독교라는 특정한 종교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옳은 이해가 아닐 수 있다. ... |
윤경로 | 2020년 8월 |
|
| |
|
183 |
|
|
선교사들이 쓴 선교소설들
|
| 국민문학이라는 것
해방 직후인 1945년 12월 그믐날, 수유리 봉황각에 좌파 문인 여덟 명이 모였다. 흔히 ‘봉황각 좌담회’라 불리는데, ‘문학가의 자기비판’이라는 명분 아래 일제하에서의 굴신 또는 훼절을 짚고 넘어가자는 취지로 모인 자리였다. 사회는 김남천. 임화와 함께 해방기 좌파 문학 운동을 이끌... |
표언복 | 2020년 8월 |
|
| |
|
182 |
|
|
오쟁이쌈 풍장(風葬), 매미에 대한 명상
|
| 오쟁이쌈, 아이들의 장례 방식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는 어린아이들이 죽으면 ‘오쟁이쌈’을 했다. 졸저 『산자와 죽은자를 위한 축제』(2018)에 소개한 풍장(風葬)의 한 내용이다. 필자는 이를 초분[草墳, 시신을 바로 매장하지 않고 이엉 등으로 덮어두는 매장법. 단장(單葬)이 아닌 복장제(復葬制)의 하나]과... |
이윤선 | 2020년 8월 |
|
| |
|
181 |
|
|
‘교단 헌법–노회 규칙–교회 정관’의 법적 이해
|
"한국 개신교의 교회법 체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8
| 연구 동기
2017년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뜻깊은 한 해로 기억된다. 필자는 종교개혁의 의미를 되살리는 차원에서 한국교회에 무엇인가 의미 있는 연구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잘 알... |
신동만 | 2020년 7월 |
|
| |
|
180 |
|
|
룻기, 그리스도 직계 조상의 역사
|
구약성서의 여덟 번째 책 룻기는 전체가 4장으로 구성된 짧은 이야기로, 거기에는 다윗의 부친(이새), 조부(오벳), 증조부(보아스)의 역사가 나온다. 룻기를 읽다 보면 마치 4막(幕)으로 짜인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하다. 열한 번째로 성서를 통독하면서 이번 기회에 룻기에 대해 공부도 할 겸, “룻기, 그리스도 직계 ... |
문정일 | 2020년 7월 |
|
| |
|
179 |
|
|
미주 유이민 소설과 기독교-<송뢰금>, <월하가인>
|
| 두 편의 미주 유이민 소설
구한말기 이 땅의 민중들은 삶과 죽음의 경계가 모호한 극단의 질곡 속에 빠져 있었다. 잇단 재해와 외세의 침탈도 있었지만 왕조의 무능과 부패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경제적 궁핍과 정치적 억압을 벗어나기 위해 고향을 버리고 국경을 넘는 이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단... |
표언복 | 2020년 7월 |
|
| |
|
178 |
|
|
칠성의 꿈, 윷판바위에서 윷놀이까지
|
<전략>
훌륭민첩 유곡권실 싀외조모 출상잇서
머나먼 산천길을 가마로 나려와서
실셩대곡 고여도 한말삼 아람업네
인 일장 츈몽이라 망극을 뒤로두고
심란을 푸러보세
우리종회 이노름은 조샹님네 음덕으로
쥬션은 유곡권실 장기도 장시고
<중략>
지모실간 최실이는 모친출상 지나고서
망극은... |
이윤선 | 2020년 7월 |
|
| |
|
177 |
|
|
평화를 위한 공공신학: 광주항쟁과 사진 연구를 중심으로
|
“A Public Theology for Peace Photography: A Critical Analysis of the Roles of Photojournalism in Peacebuild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wangju Uprising in South Korea”(평화사진을 위한 공공신학: 광주항쟁 속 언론사진의 평화세우기 역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에든버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필자의 논문을 소개하려면 ‘평화학’, ‘공... |
김상덕 | 2020년 6월 |
|
| |
|
176 |
|
|
대한기독교서회 빌딩(3)
|
건축의 책임을 맡은 스와인하트는 1931년 기독교서회 신사옥 낙성식에서 다음의 성서 구절을 인용하며 연설을 시작했다. 이 구절은 그가 얼마나 힘겹게 고생하며 서회 신사옥을 건축했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내가 값을 주고 네게서 사리라 값 없이는 내 하나님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지 아니하리라.”(삼하 24:24) 그... |
이정구 | 2020년 6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