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
|
|
서양 여성 선교사들, 한국 여성에게 영향을 주고, 영향을 '받다'
|
“Victorian and Confucian Womanhood Viewed by Western Women Missionaries Annie Baird, Ellasue Wagner, Jean Perry, and Lillias Underwood”
(서양 여성 선교사들을 통해 바라본 빅토리아적 여성성과 유교적 여성성: 애니 베어드, 엘라수 와그너, 진 페리, 릴리아스 언더우드를 중심으로)
런던 킹스칼리지, 2018
1
19세기 말 ... |
차은희 | 2021년 1월 |
|
| |
|
200 |
|
|
메테오라 수도원, 공중에 매달린 집
|
| 메테오라, 경이로움이 자기 성찰로 이어지는 곳
그리스 중북부 지역의 거대한 바위산 아찔한 꼭대기에는 정교회 수도원 군락지가 있다. 핀도스와 안티카시아 산맥 사이 테살리아 평야 북서쪽에 있는 이곳의 이름은 메테오라이다. ‘공중에 매달린’이라는 뜻의 ‘메테오라’(Μετέωρα)라는 말대로, 수도원... |
박경수 | 2021년 1월 |
|
| |
|
199 |
|
|
사진의 영성: 토머스 머튼
|
오래전 동료 교수에게서 토머스 머튼(Thomas Merton)이 생애 말년에 사진에 심취해 있었고, 그가 찍은 사진이 책으로까지 출판되었다는 얘기를 듣고 놀라던 기억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미국 켄터키주에 있는 겟세마니 수도원에서 침묵과 명상과 기도 수행을 하면서 50권이 넘는 책을 썼고, 아직도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 |
서보명 | 2021년 1월 |
|
| |
|
198 |
|
|
십계명을 중심으로 중국어 성서와 한국어 성서를 비교하다“중(中)·한(韓) 성서 번역의 역사와 십계명(출 20:1–17) 번역의 비교 연구”
|
| 연구 동기와 범위
필자는 중국의 한족(漢族) 출신이며, 쓰촨성(四川省)에 있는 가정교회에서 성장하고 신앙교육을 받았다. 한국에 유학을 온 후 항상 중국어 성서와 한국어 성서를 비교하면서 읽고 있다. 두 나라의 성서 본문을 비교하며 연구하고 설교를 준비하는 일은 매우 흥미로운 경험이다. 그런데 간혹 ... |
이효림 | 2020년 12월 |
|
| |
|
197 |
|
|
카파도키아 수도원, 자연의 신비와 인간의 역사가 만나는 곳
|
카파도키아의 괴레메 계곡과 인근 지역을 방문해본 적이 있는가? 요정이 살 것만 같은 신비로운 모습에 분명 매혹당할 것이다. 시간이 켜켜이 쌓여 역사가 되고, 그 역사가 다시 선물이 되어 다가오는 곳, 그곳이 카파도키아이다. 안토니우스와 파코미우스를 비롯한 사막 수도사들의 영적 고향인 이집트와 더불어, 터... |
박경수 | 2020년 12월 |
|
| |
|
196 |
|
|
사진과 죽음
|
사진이 죽음과 어떤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사진에 관한 이론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상징적인 죽음도, 실제 죽음도 이론의 일부가 된다. 죽음은 기독교 신학과 신앙의 근거다. 사진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를 죽음을 매개로 추구할 근거가 여기서 생긴다. 지난 호에서 언급한 심령 사진과 연결해 말하자면, 사진은 ... |
서보명 | 2020년 12월 |
|
| |
|
195 |
|
|
성서해석에 대한 의학적 접근 시도
|
“누가복음의 신체부위에 대한 양방향 상호텍스트성 연구”
오사랑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현대를 살아가는 성서학도들, 특히나 박사 논문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참신한 논문의 주제를 잡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많은 성서학자가 입을 모아 말하듯, 성서의 내용 혹은 역사와 관련된 분석적 ... |
오사랑 | 2020년 11월 |
|
| |
|
194 |
|
|
안토니우스 수도원, 그리스도교 최초의 수도원
|
| 오래된, 그러나 선명한 기억
1993년 8월 8일 주일, 필자는 안토니우스 수도원을 방문했다. 벌써 세월이 많이 지났지만, 그 당시 받았던 강한 인상은 선명한 사진처럼 기억에 또렷이 남아 있다. 그리스도교 최초의 수도원은 이집트 나일강 동쪽 사막 한가운데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수도인 카이로 국제공항에서... |
박경수 | 2020년 11월 |
|
| |
|
193 |
|
|
사진과 믿음
|
1885년 한국에 온 개신교 선교사 호러스 언더우드의 짐 속엔 사진기가 있었다. 언더우드 선교사가 어떤 사진기를 썼고, 사진기술은 어디서 배웠고, 선교활동을 하면서 사진을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개신교 선교의 역사가 사진과 함께 시작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 |
서보명 | 2020년 11월 |
|
| |
|
192 |
|
|
신학과 미술의 대화와 수용
|
“키에르케고어와 리쾨르의 ‘미학적 자기 됨’ 연구–미적 가능성과 미메시스론을 중심으로”
신사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나의 박사 논문을 말한다”라는 주제로 글을 쓰려니 나의 생각은 상념에 젖어 어느덧 과거로 돌아가고 있었다. 학창시절에 음전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란 나는 그... |
신사빈 | 2020년 10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