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 대한기독교서회 | 회원가입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기독교사상 > 문화·신학·목회
문화·신학·목회
301
죽으면 살게 됩니다[因死有生]

부처의 가르침에 “원인이 있고 난 후에 반드시 결과가 있다”고 하였으니, 원인[因]은 결과[果]의 바탕[本]이라는 말입니다. 원인이 없으면 결과도 없기에, 오늘날에는 이를 “죽음으로 인하여 삶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혹시 세상에 태어나지 않고[不生] 죽은 사람[死者]이 있다는 것입니까? 생(生)은 죽음의...

탁사 최병헌, 이동원 역주, 오세종 감수 | 2023년 04월
300
복음주의 목회자에서 세계 복음주의운동의 대부로: 복음주의 목회와 신학을 정립한 스토트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 1921-2011)는 영국 잉글랜드 상류층 가정의 4남매 중 막내 외동아들로 수도 런던에서 태어나, 줄곧 일류 코스를 밟은 수재였다. 그는 예비학교(기숙사립초등학교)인 오클리홀을 거쳐 공립학교[기숙사립중등학교, public school; 영국 잉글랜드에서는 원래 학생의 배경과 상관없이 입학이 가능...

안교성 | 2023년 04월
299
동방교의 『경화록』

우발적인 종교범죄란 없다. 비성서적인 이단 교리를 근간으로 치밀하게 기획된 확신 범죄가 대부분이다. 이단 교리들은 성서에 대한 자의적인 해석을 기반으로 다른 교주들의 교리나 정체불명의 민간 속설을 ‘벤치마킹’한 후, 자신들에게 맞게 ‘업그레이드’한 형태가 대부분이며, 신도들의 비상식적이거나 비윤...

탁지일 | 2023년 04월
298
부지런한 자가 얻는다[勤者得之]

《신학세계(神學世界)》에 싣다.1 융희2년(1908년) 8월, 〈기호흥학회월보(畿湖興學會月報)〉2에 기고하다. 서양 속담[西諺]에 “하늘은 일이 없는 사람을 낳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사람은 태어날 때 일과 함께 태어난다는 말입니다. 사람이 만일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
탁사 최병헌, 이동원 역주, 오세종 감수 | 2023년 3월
297
서구 출신 선교사에서 비서구 교회의 주교로, 다시 유럽 선교사로: 목회 현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한 뉴비긴

레슬리 뉴비긴(James Edward Lesslie Newbigin, 1909-98)은 변화무쌍한 삶을 영위한 인물이다. 그는 20세기 초에 태어나서 거의 한 세기를 살다 20세기 말에 세상을 떠났는데, 그의 만화경과 같은 삶을 관통한 것이 있다면, 바로 목회 현장의 변화에 대한 통찰과 적극적인 대처이다. 그는 주로 선교사로, 에큐메니컬 운동가로, 신학...
안교성 | 2023년 3월
296
초기 한국 웨슬리안의 영성을 발견하다

김진호 목사의 목회와 영성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2 1. 21세기를 영성의 시대라 정의하는 학자들이 있다. 이렇게 정의하는 이유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이성적이고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영위하면서도 무언가 잃어버린 것 같은 상실감으로 인해 깊은 영적 갈망을 느끼고 있기 때문...
임석재 | 2023년 3월
295
한국교회 설교에는 왜 미국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가- 교회의 신학담론과 사회의 지배담론의 관계에 대해서

The Bible and Empire i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n Search for a Theolo-gical Imagination for Just Peace (분단된 한반도에서의 성서와 제국주의: 정의로운 평화를 위한 신학적 상상력을 찾아서) Trinity College Dublin, The University of Dublin, 2021 1. 나의 박사학위 논문의 목적과 주요 내용은 한국교회의 정의와 평...
임영섭 | 2023년 3월
294
이일선 목사의 생애와 목회(2)

조선신학교를 졸업한 목사이자 서울대학교 의대를 졸업한 의사로서, 이일선 목사는 한센병 환자들과 같이 가장 소외된 사람들을 돌보며, 이후 당대의 불모지였던 울릉도에서 ‘울릉도의 슈바이처’라고 불리는 삶을 살았다. 지난 호에서는 일제의 식민지배가 끝나가던 무렵 이일선 목사가 소명을 받아 신학교에 입학...
배요한 | 2023년 3월
293
예수는 어떻게 생겼을까

예수 그리기 교회학교 어린이들에게 하나님을 그려보라고 하면, 많은 경우 수염이 긴 할아버지의 모습을 그린다. 어떤 어린이는 교회학교 교사나 목사를 그리기도 한다. 어린이들은 아직 추상적인 개념을 갖고 있지 않아서 자신이 만나고 경험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하나님의 모습을 연상한다. 만일 어른들에...
정용석 | 2023년 3월
292
시대(時代): 융희 2년(隆熙 二年, 1908년) 6월 28일 장학사(奬學社)에서 행한 연론(演論)

* 이 연설문은 탁사 최병헌의 『연설초집』에 실린 첫 번째 글이다. 아펜젤러의 뒤를 이어 정동제일교회를 담임한 탁사는 “시대”라는 제목의 이 연설문에서 지금껏 어떤 시대가 흘러갔으며, 앞으로 어떤 시대가 도래할지를 시대별 주요 특징과 함께 조망하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탁사의 ...
탁사 최병헌, 이동원 역주, 오세종 감수 | 2023년 2월
게시물 검색


2023년 4월호(통권 772호)
이번호 목차 / 지난호 보기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