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 |
|
|
3·1운동 100주년이 저물고 있다
|
3・1운동 100주년의 해가 저물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기념식이 열렸다. 2・8독립선언,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관한 다수의 논문도 발표되었다. 정부는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위원회를 통해 기념사업을 펼쳤다. 우리 시대에는 더 이상 볼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행사가 교회 안팎에서 개최되었다. ... |
김흥수 | 2019년 11월 |
|
| |
|
212 |
|
|
독일 통일 30주년과 한반도
|
1989년 동서 베를린을 가로막고 있던 장벽이 무너지는 날, 나는 독일 함부르크에 있었다. 당사자인 독일 사람들은 물론, 어쩌면 지구 위에서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고, 아무도 기대하지 않았던 독일 통일을 현지에서 같이 경험하였다. 역사의 전환은 기획되거나 계획된 대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우연처럼 보이는 ‘(카... |
채수일 | 2019년 10월 |
|
| |
|
211 |
|
|
'명성 사태'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재판국의 판결이 여러 TV 방송에서, 그것도 저녁 시간 메인뉴스에서 다뤄졌다. 목사 등 개인의 일탈을 탐사보도나 가십 형식으로 다룬 적은 있지만, 특정 종교, 그것도 특정 교단 재판국의 판결을 주요 소식으로 일제히 보도하는 일은 우리나라 방송 사상 초유의 일일 게다. 놀랍고 민망하... |
서진한 | 2019년 9월 |
|
| |
|
210 |
|
|
기독교의 정치 참여: 세상에서 세상을 넘어
|
빌라도 법정의 마지막 심문과 답변(요 18:33-38)을 보면 이번 특집에서 다루는 기독교와 현실정치의 관계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다. 예수는 바로 이 세상에 ‘내 나라’라고 표현하신 하늘나라를 선포하기 위해 로마제국에 성육하셨다. 유대인과 로마로 대변되는 온 세계를 구원하기 위해서였다. 요한복음의 기록대로, ... |
박종화 | 2019년 8월 |
|
| |
|
209 |
|
|
목사와 성서
|
목사마다 설교를 준비하는 방법이 제각기 다르겠지만, 설교의 영원한 텍스트는 성서이다. 그러므로 목사에게는 성서에 대한 올바른 지식(언어적, 역사적, 고고학적, 문학적, 해석학적 방법론 등)을 습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신학교육의 가장 큰 비중도 마땅히 성서 연구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성서에 대... |
채수일 | 2019년 7월 |
|
| |
|
208 |
|
|
헨리 D. 아펜젤러의 희생적 죽음
|
이번 6월이면 6・25전쟁이 일어난 지 69주년이 된다. 그 전쟁은 수많은 사회문제를 유발했고,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전쟁 (피)난민이 됐다. 1951년 정부의 집계에 따르면, 남한 인구 2,100만 명 중 782만 명이 난민이었다. 당시 정부는 난민의 위기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능력을 갖지 못했다. 이 상황에서 1951년부터 40여 개... |
김흥수 | 2019년 6월 |
|
| |
|
207 |
|
|
기독교의 발전에 매진해야 할 조선그리스도교련맹
|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은 1946년 창립 시 “기독교의 발전에 매진할 것”을 강령으로 채택했다. 평양에서 간행된 『조선대백과사전』(2000)은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을 “우리 나라 그리스도교인들의 권리와 리익을 옹호하며 그들의 신앙생활을 지도하는 민주주의적이며 초교파적인 그리스도교 조직”으로 설명하고 있다. ... |
김흥수 | 2019년 5월 |
|
| |
|
206 |
|
|
부활절 연합예배 유감
|
부활절이다. 기독교인으로서 부활의 의미를 깨닫고 부활신앙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부활의 의미를 찾기보다는 한국교회가 부활절 예배를 함께 드려야 한다는 명제가 우선순위인 경우가 많았다.
1947년 4월 6일 한국교회 최초의 부활절 연합예배가 남산에서 거행되었다. 1946년... |
김영주 | 2019년 4월 |
|
| |
|
205 |
|
|
다시 생각해보는 3·1운동 민족대표, 김창준 목사
|
김창준(1890-1959) 목사는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이다. 그가 서대문형무소에서 풀려나 자유의 몸이 된 것은 1921년 12월 22일이었다. 그날 그는 회색 두루마기 차림에 웃음을 띠고 감옥을 나와서 이런 말을 남겼다. “옥중에 일천칠백 명의 죄수가 있으니까 기회 있는 대로 전도하였노라.”(「동아일보」, 1921년 12... |
김흥수 | 2019년 3월 |
|
| |
|
204 |
|
|
자주적 교회, 주체적 신학의 아우성
|
유럽이나 미국식 기독교에 맞서서 급진적 토착교회 운동을 전개한 아시아의 인물로는 인도네시아의 크야이 사드락, 중국의 홍수전, 일본의 우찌무라 간조를 들 수 있다. 그들은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독자적인 성서 해석과 선교 방식, 또는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 활동한 사람들이다. 한국인으로서는 용문산기도원을 ... |
김흥수 | 2019년 2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