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
|
|
정체에 대한 물음
|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창 3:9)
야웨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어디 있느냐고 물으십니다. 이 물음의 말씀은 세계의 창조와 인간의 타락이라는 대서사 가운데 타락한 인간이 벌을 받는 대목에서 야웨 하나님이 하시는 첫 말씀이자, 성서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첫 물음입니다. 창세기 이야기에서는, 어디 있느냐는 이... |
서진한 | 2004년 6월 |
|
| |
|
18 |
|
|
‘4·15 전쟁’에 대한 잡념
|
한 차례 전쟁이 이 나라를 휩쓸고 지나갔습니다. 선거는 총칼만 들지 않았지 전쟁을 방불케 하는 대결이었습니다. 이 달부터 제17대 국회가 출범합니다. 연령으로 보면 60대가 현저히 줄어들고, 다선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처음 국회에 진출한 사람이 60%를 넘습니다. 아주 오랜만에 여당이 과반을 확보했고, 게다가 5·16 ... |
서진한 | 2004년 5월 |
|
| |
|
17 |
|
|
십자가와 부활의 계절에
|
서진한/본지 주간
아무리 생각해도 기독교는 참 희한한 종교입니다. 이른바 종교의 창시자가 극형을 당한 일도 그렇고, 그 극형을 당한 형틀을 거룩한 상징으로 삼는 것도 그렇습니다. 아마 세계 종교 가운데서 유례가 없을 것입니다. 이 희한함은 이미 초대교회 사람들도 인지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바울의 편... |
서진한 | 2004년 4월 |
|
| |
|
16 |
|
|
神學戀歌
|
눈여겨보셨으면 아시겠지만, 한국 사회에서 언제부터인가 ‘신학함’이라는 낯선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신학함이라는 명사는 억지로 맞추어 본다면, ‘신학하다’라는 동사의 명사형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 ‘하다’라는 말은 접미사로서, 명사 아래 쓰여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를 만듭니다. 이 말... |
서진한 | 2004년 3월 |
|
| |
|
15 |
|
|
늦겨울 강둑에서
|
참으로 오랜만에 늦겨울 강둑길을 걸었습니다. 이른 아침에다 약간은 흐리기도 해서, 해는 떴지만 아직 햇살은 데워지지 않았고, 차가운 기운은 뺨에 시렸습니다. 멀리 비닐하우스에서 푸른 연기가 아스라하게 피어오르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비닐 천막집 안에서 불을 지펴 아침을 짓는 모양입니다. 둑길 옆 나무들은 ... |
서진한 | 2003년 3월 |
|
| |
|
14 |
|
|
목회자의 자기 모순
|
서진한/본지 주간
오래되어서 별 새롭지도 않은 농담이 하나 있습니다. 어느 신앙심 깊은 장로님이 죽어 하늘나라에 갔습니다. 평강과 희락이 넘치는 그곳에서 예수님의 지극한 환대를 받고 감읍하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예수님이 말씀을 멈추시더니, 신발도 다 못 신고 뛰어 나가셨습니다. 장로님... |
서진한 | 2004년 2월 |
|
| |
|
13 |
|
|
헌 날도 새날
|
서진한/본지 주간
사람들은 성인이 되면서 언제부터인가 모르게, 지루하게 반복되는 일상에 세뇌되어, 하루하루가 다 새날이라는 사실을 잊어버리게 됩니다. 모든 사람들이 새날이 시작된다며 흐르는 시간에다 금을 그어놓은 그 새해가 시작되어도 도무지 새날을 맞이할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아니 새로운 기분... |
서진한 | 2004년 1월 |
|
| |
|
12 |
|
|
대통령 선거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
김영진 / 은천교회 목사, 본지 편집위원
올 12월에 실시될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 정국이 어지럽게 진행되고 있다. 한쪽은 정권을 다 잡은 듯 여유 만만해 보이고, 다른 한쪽에서는 현 상황을 그대로 두고는 모두가 죽는다며 대선의 승리를 위한 대통령 후보들간의 합종연횡이 긴박하게 진행되고 있다. ... |
김영진 | 2002년 12월 |
|
| |
|
11 |
|
|
칼날을 세우고 악수하자는 말입니까?
|
김근상 / 성공회 사제·본지 편집위원
내 나라의 메이저 신문회사인 조선·중앙·동아일보(언론에서)는 통일에 민족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한결같이 말하면서도, 북쪽에 있는 내 동포에 대해서는 아직도 우리의 적군이니 칼날을 세우고 악수해야 한다고 피를 토하듯 선전하고 있습니다. ‘칼날을 세우고 악수를 하... |
김근상 | 2002년 11월 |
|
| |
|
10 |
|
|
개혁을 꿈꾸는 사람들
|
채수일 / 한신대학교 교수·본지 편집위원
오늘의 한국교회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방향에서 제기되고 있다. 하나는 교역자와 신자의 도덕성과 관련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구와 제도로서의 교회에 관련된 것이다. 각종 스캔들, 사이비 종말론, 대형교회의 세습 등은 당사자의 개인적 비리를 넘어서 한국교회의 ... |
채수일 | 2002년 10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