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
|
|
답은 답이 아니다?
|
신앙인으로서 산다는 것은 어찌 보면, 길을 묻는 구도자로서 산다는 것입니다. 신앙은 확신이고, 그래서 신앙에 입문한 뒤에는 더 이상 의문도 질문도 없어야 한다는 일각의 생각은 잘못된 것입니다. 신앙의 길에 들어섰다고 해서 물음이 끝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신앙의 길이라 하더라도, 길은 길에 이어지고, 이리 저... |
서진한 | 2006년 4월 |
|
| |
|
51 |
|
|
장차 받게 될 영광
|
성서는 우리가 해처럼 빛날 것이고, 새벽 별을 받게 될 것이라고 약속하고 있다. 나는 이제 이런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조금씩 알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물론, 하나님은 우리에게 이미 새벽 별을 주셨다. 날씨가 좋은 날, 새벽에 일찍 일어나 나가보면 우리는 하나님의 선물을 얼마든지 보고 즐길 수 있다. 그런데 도... |
C. S. 루이스 | 2006년 3월 |
|
| |
|
50 |
|
|
진보와 보수의 벽을 넘어
|
현재의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이중적이다. 하나는 뿌리깊은 남북대결 현상이고, 또 하나는 남북관계를 보는 남남갈등 현상이다. 남남갈등의 구조는 크게 보면 보수와 진보라 이름 하는 이념적 갈등이요, 생활방식과 사회적 태도상의 대립적 갈등이다. 이 갈등은 곧바로 남북간의 관계를 보는 시각과 정책에 있... |
박종화 | 2006년 2월 |
|
| |
|
49 |
|
|
생명의 길을 향하여
|
2006년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습니다. 2000년을 시작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 21세기 처음 10년의 반을 훌쩍 지나버렸습니다.
2006년 첫 시작도 황우석 교수의 생명공학 논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 같습니다. 지난 해 말부터 시작된 배아 줄기세포의 윤리성 및 진위성 여부에 대한 논쟁으로 한국 사회는 또다시 나뉘어지... |
이정배 | 2006년 1월 |
|
| |
|
48 |
|
|
우화의 강
|
시가 있는 풍경
우화의 강
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좋아하면
두 사람 사이에 물길이 튼다.
한쪽이 슬퍼지면 친구도 가슴이 메이고
기뻐서 출렁거리면 그 물살은 밝게 빛나서
친구의 웃음소리가 강물의 끝에서도 들린다.
처음 열린 물길은 짧고 어색해서
서로 물을 보내고 자주 섞여야겠지만
한세상 ... |
마종기 | 2005년 12월 |
|
| |
|
47 |
|
|
삶 가운데 죽음
|
서진한_본지 주간
이런 생각 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문명화한 현대 도시는 배설물과 죽음을 일상의 삶에서 격리시켜 놓았다는 생각 말입니다.
이른바 문명적인 도시 이전에는, 다 아시겠지만 누구나 자기의 배설물을 쳐다보아야 했고 그 악취를 고스란히 맡아야 했습니다. 그리고 그 배설물들은 썩혀서 거름으... |
서진한 | 2005년 12월 |
|
| |
|
46 |
|
|
‘니나노’와 ‘강강수월래’
|
사람은 먹어야 산다. 지당한 말이다. 사람은 놀아야 건강하다. 그 또한 맞는 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사람은 사랑과 정을 나누며 살아야 한다. 그래야 사람답게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살면서 일만 하면 그건 결국 인생을 시들게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놀 줄 모르는 인생과 사회는 그만큼 흥도 없고 신명도 나지 ... |
한종호 | 2005년 11월 |
|
| |
|
45 |
|
|
무한경쟁 시대의 신앙
|
통일된 독일사회는 양면성을 지닌다고들 자평한다. 분단국가의 통일이 그 하나이다. 서독과 동독은 냉전적 대결시대를 대변했다. 자유세계와 공산세계의 적대적 경쟁과 대결을 몸으로 살아오다가 공산세계의 몰락과 함께 자유세계의 단일지배체제가 등장했고, 동독의 공산세계가 몰락하고 서독의 자유세계로 편입되... |
박종화 | 2005년 10월 |
|
| |
|
44 |
|
|
봉수교회 새로 보기
|
북한교회의 역사에서 1988년은 큰 분기점이 된다. 평양에 봉수교회와 장충성당이 설립되는 역사적인 사건을 맞이했기 때문이다. 두 교회가 문을 열자마자 남한교회는 북한교회의 새 출발을 환영하면서도 종교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여 온 북한정부가 왜 갑자기 교회를 건립했는지 그리고 그 교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 |
김흥수 | 2005년 9월 |
|
| |
|
43 |
|
|
용서·화해·일치
|
유쾌 상쾌 통쾌! 지금은 안 나오는 듯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TV에서 종종 듣던 모 초고속 인터넷 광고의 카피이다. 느리고 중간중간 끊기는 답답한 인터넷을 확 뚫어준다는 의미로서, 이보다 더 시원한 메시지가 있을까 싶다.
비단 인터넷 속도뿐인가. 우리 민족의 오랜 이슈인 과거사 문제 또한 모두가 유쾌하고 ... |
최희범 | 2005년 8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