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
|
|
소수자의 희망, 하나님의 희망이요 계획이다
|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난 지 이미 반세기가 훨씬 넘었다. 하지만 민족의 문제는 여전히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아직도 길을 찾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대결과 냉전의 시대에는 상대를 향한 증오심과 민족의 통일이라는 두 가지 모순된 정서가 우리를 붙들고 있다. 그리고 냉전의 시대가 끝나가면서 자연스럽게 화해... |
양권석 | 2006년 8월 |
|
| |
|
55 |
|
|
영화의 문화적 능력을 배워야
|
오늘날 영화를 빼고 우리사회의 흐름을 제대로 짚어낼 수 있을까요? 60년대 영화의 중흥기는 TV가 등장하면서 무너졌지만, 다시 우리는 영화의 시대를 만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발전하고 영상세대가 등장하면서 영화는 우리 현실을 읽어내는 매우 중요한 기호가 되었습니다. 문자를 해독하는 작업에 익숙한 세대에게... |
한종호 | 2006년 7월 |
|
| |
|
54 |
|
|
'산상수훈'이 보여주는 길
|
권두언
‘산상수훈’이 보여주는 길
이 글을 쓸 즈음, 정국은 지방선거가 본격화되고 남북철도가 시험 운행된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그에 더하여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북 실무협상 소식과, 일본에서는 민단과 조총련의 만남이 뉴스로 타전되었습니다.
우리의 정국이 격동하지 않은 날이 없지만, 이렇게 우... |
정지강 | 2006년 6월 |
|
| |
|
53 |
|
|
교육의 양극화와 교회교육
|
양극화가 우리 사회 최대의 화두가 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사회적 시한폭탄’이라는 특집기사를 통해 한국의 사회안전망은 갈수록 늘어나는 빈곤층을 지원할 만큼 강력하지 못하다면서, 한국의 양극화 문제는 한국사회 전체를 날려버릴 수 있는 시한폭탄이라고 진단한바 있다. 노무현... |
채수일 | 2006년 5월 |
|
| |
|
52 |
|
|
답은 답이 아니다?
|
신앙인으로서 산다는 것은 어찌 보면, 길을 묻는 구도자로서 산다는 것입니다. 신앙은 확신이고, 그래서 신앙에 입문한 뒤에는 더 이상 의문도 질문도 없어야 한다는 일각의 생각은 잘못된 것입니다. 신앙의 길에 들어섰다고 해서 물음이 끝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신앙의 길이라 하더라도, 길은 길에 이어지고, 이리 저... |
서진한 | 2006년 4월 |
|
| |
|
51 |
|
|
장차 받게 될 영광
|
성서는 우리가 해처럼 빛날 것이고, 새벽 별을 받게 될 것이라고 약속하고 있다. 나는 이제 이런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조금씩 알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물론, 하나님은 우리에게 이미 새벽 별을 주셨다. 날씨가 좋은 날, 새벽에 일찍 일어나 나가보면 우리는 하나님의 선물을 얼마든지 보고 즐길 수 있다. 그런데 도... |
C. S. 루이스 | 2006년 3월 |
|
| |
|
50 |
|
|
진보와 보수의 벽을 넘어
|
현재의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이중적이다. 하나는 뿌리깊은 남북대결 현상이고, 또 하나는 남북관계를 보는 남남갈등 현상이다. 남남갈등의 구조는 크게 보면 보수와 진보라 이름 하는 이념적 갈등이요, 생활방식과 사회적 태도상의 대립적 갈등이다. 이 갈등은 곧바로 남북간의 관계를 보는 시각과 정책에 있... |
박종화 | 2006년 2월 |
|
| |
|
49 |
|
|
생명의 길을 향하여
|
2006년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습니다. 2000년을 시작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 21세기 처음 10년의 반을 훌쩍 지나버렸습니다.
2006년 첫 시작도 황우석 교수의 생명공학 논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 같습니다. 지난 해 말부터 시작된 배아 줄기세포의 윤리성 및 진위성 여부에 대한 논쟁으로 한국 사회는 또다시 나뉘어지... |
이정배 | 2006년 1월 |
|
| |
|
48 |
|
|
우화의 강
|
시가 있는 풍경
우화의 강
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좋아하면
두 사람 사이에 물길이 튼다.
한쪽이 슬퍼지면 친구도 가슴이 메이고
기뻐서 출렁거리면 그 물살은 밝게 빛나서
친구의 웃음소리가 강물의 끝에서도 들린다.
처음 열린 물길은 짧고 어색해서
서로 물을 보내고 자주 섞여야겠지만
한세상 ... |
마종기 | 2005년 12월 |
|
| |
|
47 |
|
|
삶 가운데 죽음
|
서진한_본지 주간
이런 생각 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문명화한 현대 도시는 배설물과 죽음을 일상의 삶에서 격리시켜 놓았다는 생각 말입니다.
이른바 문명적인 도시 이전에는, 다 아시겠지만 누구나 자기의 배설물을 쳐다보아야 했고 그 악취를 고스란히 맡아야 했습니다. 그리고 그 배설물들은 썩혀서 거름으... |
서진한 | 2005년 12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