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
|
|
한국교회 변해야 산다
|
모든 피조물은 유한한 존재이며 불완전한 존재이다. 그러므로 창조주 외에 모든 피조물은 반드시 변하고 소멸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는 영원히 변하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본성과 변할 수밖에 없는 사람의 몸을 입으시고, 병든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오셨다. 예수 그리스도만큼 극심한 변화를 경험... |
손인웅 | 2009년 10월 |
|
| |
|
91 |
|
|
등불 하나 들고 이 어두운 거리를 밝혀주지 않으렵니까?
|
여름이 본래 이토록 거칠었나 싶을 정도입니다. 힘겹게 계절을 넘기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과정이 이렇게 모두에게 점점 더 가혹하게 겪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자연재앙이 아니라 분명한 인재(人災)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간의 욕망과 무분별한 자연 파괴의 결과를 인간이 쓰라리게 맛보고 있는 ... |
한종호 | 2009년 9월 |
|
| |
|
90 |
|
|
기독교 여성운동은 한국교회의 미래이다
|
시인 김지하는 2008년을 후천개벽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읽었다. 하늘과 땅의 하이라키적 구조를 뒤집는 地天 ‘태’(泰) 궤의 출현을 문명사적 대전환의 상징으로 바라 본 것이다. 이때가 되면 여성적 가치가 사회 곳곳에서 역할할 것이며 민중, 시민의 힘이 국가를 움직일 수 있다고 했다. 실상 여성 인재들이 도처에서... |
이정배 | 2009년 8월 |
|
| |
|
89 |
|
|
5월의 충격
|
지진처럼 격동했던 5월이 지났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는 우리 사회에 막대한 충격을 주었고 우리 사회가 그간 고통을 받아온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지 일거에 일깨운 일대 사건이었습니다. 우리는 자연인 노무현, 공인 노무현의 갑작스러운 죽음만 본 것이 아니라 이 나라 민주주의의 소멸 위기도 함께 겪었던... |
한종호 | 2009년 7월 |
|
| |
|
88 |
|
|
다문화와 그리스도교 신앙
|
그리스도교는 다문화 사회에서 탄생했습니다. 유대교 내부에서 시작된 회개운동과 하나님 나라 운동에서 출발한 그리스도교는 곧바로 이방인 세계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교의 개방적인 태도 때문이었습니다. 그 개방성은 계급과 신분, 민족과 종교를 넘어서는 것이었습니다. 노예주와 노... |
채수일 | 2009년 6월 |
|
| |
|
87 |
|
|
깔뱅 탄생 500주년을 맞이하여
|
올해는 근·현대사에서 인류의 기원에 대하여 상반된 입장을 취하는 두 위인의 출생 희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이다. 그러니까 2009년은 프랑스의 종교개혁자 장 깔뱅(Jean Calvin)이 탄생한지 500주년이 되는 해요, 동시에 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이 태어난 지 20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창조론을 믿는 ... |
장흥길 | 2009년 5월 |
|
| |
|
86 |
|
|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시인 류시화가 무명시인들의 시를 모아 엮어낸 잠언시집 『지금 알고있는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을 접한 적이 있습니다. 잠언이란 위대한 영혼의 순간적인 대각성이라기 보다는 평범한 삶들 속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수많은 시행착오의 축적입니다. 이 시집의 제목처럼 가정... |
최희범 | 2009년 4월 |
|
| |
|
85 |
|
|
고통의 시간을 넘어서
|
봄이 오면 겨울의 긴장과 추위가 물러갑니다. 언 땅은 녹고 춥게 버티고 섰던 숲도 녹색의 본모습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어김없는 자연의 숨소리가 땅과 물과 나무와 풀포기 하나하나에 모두 스며듭니다.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겨울은 자취를 감추고 전혀 다른 계절의 리듬이 주도합니다. 자연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 |
한종호 | 2009년 3월 |
|
| |
|
84 |
|
|
예언자적 실존과 영성적 보금자리
|
오늘날 우리만이 아니라 전 세계가 경제문제로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혼자 힘든 것보다 함께 힘들다는 것이 위로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두가 유사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은 구조적 모순이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바로 이러한 때에, 어떤 정신과 자세로 살아가는가 하는 것에 ... |
박종화 | 2009년 2월 |
|
| |
|
83 |
|
|
예수의 사랑이 우리를…
|
오늘의 시대가 참 암울합니다. 누구도 쉽게 희망을 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경제적 불안이 깊어지면서 어찌할 바를 잘 모르고 있습니다. 이런 때에 교회가 무슨 딱 부러지는 대답을 줄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그 역시 여의치 못합니다. 교회가 무슨 경제정책을 수립하는 책임과 능력을 ... |
한종호 | 2009년 1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