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 |
|
|
WCC 제10차 부산 총회의 교회사적 의의
|
세계교회협의회(WCC) 10차 총회가 2013년 10월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부산에서 열렸다. 한국교회는 WCC 창립 이후 60여 년 동안 다양한 관계를 맺어왔지만, 부산 총회를 통해서 WCC와 더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WCC와 한국교회, 한국 사회와의 긴밀한 관계는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WCC는 6.25전쟁 발발 직후 국제연합의 ... |
김흥수 | 2013년 12월 |
|
| |
|
141 |
|
|
세계에 ‘복음’(Good News)을 전하는 WCC 제10차 부산 총회를 바라며
|
오늘날의 ‘에큐메니즘’, ‘에큐메니칼 운동’은 19세기 서구교회의 세계 선교 과정 중에 피(被)선교지에서의 필요와 요청에 의해 형성된 자발적 일치운동이었다. 19세기에 세계 선교를 수행했던 대다수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은 자타가 공인하는 ‘복음주의 선교사’(evangelical missionary)들이었다. 그런데 이들이 자... |
홍승표 | 2013년 11월 |
|
| |
|
140 |
|
|
'술'을 통해 마주하게 되는 우리 현실의 질문들
|
「기독교사상」이 이번 호 특집 주제를 <술의 해됨과 오해됨>이라는 제목으로 한국교회의 ‘술 문제’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편집위원 중에서 저에게 권두언을 청탁해 왔습니다. 왜 하필이면 나냐고 물으니 제가 속한 교단인 한국기독교장로회가 주초문제에 대하여 다른 교단에 비해 비교적 열려있기 때문이... |
채수일 | 2013년 10월 |
|
| |
|
139 |
|
|
정의와 평화의 실현을 위하여
|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가 2013년 10월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대한민국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다. 전 세계 140개국 5억 7천만 명의 그리스도인들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모여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교회일치와 선교적 사명, 시대적 증언과 봉사의 과제를 함께 모색하는 기독교의 축제이다.
WCC는 기독교의 유엔... |
유석성 | 2013년 9월 |
|
| |
|
138 |
|
|
1903년 원산부흥의 기억
|
몇 해 전 한국교회는 1907년의 평양부흥 100주년을 기념하였다. 올해는 원산부흥 110주년이 되는 해로 감리교회에서는 이와 관련한 기념행사를 갖고 있다. 1903년의 원산과 1907년의 평양은 한국인들에게 인간이 죄인이라는 것을 깨우쳐 준 거룩한 공간이었다. 이 체험은 한국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영적 유산이 되었고 그런... |
김흥수 | 2013년 8월 |
|
| |
|
137 |
|
|
배타적 경쟁과 독점을 넘어, 협동과 나눔의 길로
|
경제 개혁은 이제 오늘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강자와 약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불평등한 계약관계를 말하는 갑과 을의 관계에 대한 논쟁도 뜨겁다. 표면적으로는 불공정하고 불평등한 경제 관계를 바로잡자는 취지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회와 신학의 눈은 이런 논쟁들의 근저에 자리 잡고 ... |
양권석 | 2013년 7월 |
|
| |
|
136 |
|
|
정전협정 60주년에 한반도에서의 평화협정을 생각해 본다
|
올해는 한국전쟁 정전(停戰)협정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정전협정은 당시 전쟁에 참여했던 미국을 중심으로 한 UN군과 상대하여 북한과 중국 측이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약서에 서로 사인함으로써 체결되었다. 국제법상 정전협정은 상호간에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국가끼리 체결하는 것인 반면, 평화협정은 상호 독립... |
노영상 | 2013년 6월 |
|
| |
|
135 |
|
|
변화하는 시대 그리스도인 여성의 자리찾기
|
이번 3월호 특집인 “한국에서 그리스도인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논의에 소개되는 글들을 통해 그 의미와 현실을 찾아본다. 이번 호에서는 한국의 일반적인 상황에서 여성의 역할과 위상이 자연스레 논의되면서 동시에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지니는 그리스도인 여성의 모습이 다양한 필자들의 손을 거쳐 성... |
김고광 | 2013년 5월 |
|
| |
|
134 |
|
|
한국교회 예배 이대로 좋은가?
|
한국교회 예배는 갱신되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갱신해야 할 것인가? 종교개혁자들이 전통적인 가톨릭 미사를 개혁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개혁했는지를 찾아보는 일이 중요하다. 종교개혁자들은 초기 기독교의 예배 전통을 회복하는 운동을 전개하면서 중세교회가 초기교회의 예배 전통을... |
손인웅 | 2013년 5월 |
|
| |
|
133 |
|
|
변화하는 시대 그리스도인 여성의 자리찾기
|
이번 3월호 특집인 “한국에서 그리스도인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논의에 소개되는 글들을 통해 그 의미와 현실을 찾아본다. 이번 호에서는 한국의 일반적인 상황에서 여성의 역할과 위상이 자연스레 논의되면서 동시에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지니는 그리스도인 여성의 모습이 다양한 필자들의 손을 거쳐 성... |
박종화 | 2013년 3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