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 |
|
|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
지난 반세기 동안 대한민국은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보릿고개를 걱정하던 시절은 지난 지 오래고, 지금은 남은 음식물과 잉여 곡식의 처리문제로 곤욕을 치르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음식의 과다 섭취로 이전에는 드물었던 비만이나 성인 질병이 만연하고 있으며, 농약과 제초제, 화학비료, 식품 첨가물의 ... |
김흥수 | 2014년 7월 |
|
| |
|
148 |
|
|
전장으로 끌려 간 소녀들과 바다에 묻힌 아이들
|
수백의 꽃다운 아이들이 수장되어 온 나라가 절망과 분노에 빠진 이때에, 「기독교사상」의 특집을 ‘세월호 참사’가 아니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로 잡았습니다. 세월호 참사라는 너무나 큰 슬픔을 제대로 다룰 자신이 없어서입니다. 가슴은 먹먹하고, 생각은 천 갈래인데, 말은 아니 되고 눈물부터 먼저 나오기 ... |
서진한 | 2014년 6월 |
|
| |
|
147 |
|
|
신학과 교회, 한 몸 이루며 가야할 길
|
신학과 교회, 신학교육과 목회현장, 이 둘은 한 몸통의 두 팔이고, 두 다리이고, 두 눈이다. 건강한 몸은 둘의 기능이 같으면서도 다르고 다르면서도 같은, 서로 보완하고 함께 나누고 서로 뒷받침하고 비판하고 격려하며 건강한 몸을 이루며 산다. 그 몸은 그리스도요, 그분의 말씀이고 행동이며, 그분의 미션이고 비전... |
박종화 | 2014년 5월 |
|
| |
|
146 |
|
|
한국YMCA전국연맹 창설 100주년을 축하하며…
|
나라가 무너지고 민족의 수난이 깊어지며 삶의 터전인 사회 기반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사라지던 100여 년 전, 이 땅에 YMCA연맹(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이 창설되었다.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이런 놀라운 역사를 면면이 이어오고 있는 한국YMCA전국연맹의 창설 100주년에 진정으로 축하를 보낸다. 이는 한국교회 뿐만 아... |
김고광 | 2014년 4월 |
|
| |
|
145 |
|
|
동학농민혁명 120주년, 3.1운동 95주년의 교훈
|
올 해 우리는 동학농민혁명 120주년, 3.1운동 95주년을 맞이한다. 반봉건과 반외세를 외쳤던 동학농민혁명은 오랫동안 ‘동학란’으로 불리며 폄하되어 왔으나 한국교회 초기 감리교 선교사 헐버트는 이를 프랑스혁명에 비견한 바 있다. 동학농민혁명의 “척왜” 정신은 1919년 3.1운동에서 부활하였다. 이것은 3.1운동의 ... |
김흥수 | 2014년 3월 |
|
| |
|
144 |
|
|
에너지 위기 시대의 기독교적 환경교육의 필요성
|
오늘날 세계의 에너지 위기를 단순히 제시하고 설명만 하고 앉아있기에는 에너지 위기의 현실이 매우 심각하다. 사람들이 그 위기에 대응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내는 것이 더욱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환경과 에너지 문제에 대해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변... |
노영상 | 2014년 2월 |
|
| |
|
143 |
|
|
응답하라! 한국, 한국교회
|
지난 한해 대한민국을 뒤흔든 여러 단어들을 떠올려본다. ‘윤창중’, ‘귀태(鬼胎)’, ‘일베 홍어택배’, ‘갑(甲)과 을(乙)’, ‘국정원 선거개입과 경찰의 수사 축소.은폐’, ‘권은희’, ‘채동욱’, ‘윤석렬’, ‘군 사이버사령부’, ‘NLL 포기 발언과 대화록 논란’, ‘삼자회담’, ‘통합진보당 해산’, ‘이석... |
홍승표 | 2014년 1월 |
|
| |
|
142 |
|
|
WCC 제10차 부산 총회의 교회사적 의의
|
세계교회협의회(WCC) 10차 총회가 2013년 10월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부산에서 열렸다. 한국교회는 WCC 창립 이후 60여 년 동안 다양한 관계를 맺어왔지만, 부산 총회를 통해서 WCC와 더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WCC와 한국교회, 한국 사회와의 긴밀한 관계는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WCC는 6.25전쟁 발발 직후 국제연합의 ... |
김흥수 | 2013년 12월 |
|
| |
|
141 |
|
|
세계에 ‘복음’(Good News)을 전하는 WCC 제10차 부산 총회를 바라며
|
오늘날의 ‘에큐메니즘’, ‘에큐메니칼 운동’은 19세기 서구교회의 세계 선교 과정 중에 피(被)선교지에서의 필요와 요청에 의해 형성된 자발적 일치운동이었다. 19세기에 세계 선교를 수행했던 대다수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은 자타가 공인하는 ‘복음주의 선교사’(evangelical missionary)들이었다. 그런데 이들이 자... |
홍승표 | 2013년 11월 |
|
| |
|
140 |
|
|
'술'을 통해 마주하게 되는 우리 현실의 질문들
|
「기독교사상」이 이번 호 특집 주제를 <술의 해됨과 오해됨>이라는 제목으로 한국교회의 ‘술 문제’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편집위원 중에서 저에게 권두언을 청탁해 왔습니다. 왜 하필이면 나냐고 물으니 제가 속한 교단인 한국기독교장로회가 주초문제에 대하여 다른 교단에 비해 비교적 열려있기 때문이... |
채수일 | 2013년 10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