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2 |
|
|
한일 기독교 관계사 자료를 총망라한 기념비적 작업의 완성『한일 기독교 관계사 자료 3, 1945-2010』 도미사카그리스도교센터(富坂キリスト教センター) 편, 신교출판사(新教出版社), 2020.
|
역사학의 한 분야로 일반적으로 ‘관계사’라 부르는 영역이 있다. 이는 복수의 주체들 간에 형성된 역사의 상관성을 규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관계사와 함께 거론되며 논의할 수 있는 흐름으로 비교사나 교류사 등의 영역도 있다. ... |
서정민 | 2021년 3월 |
|
| |
|
821 |
|
|
인간 탁사(濯斯) 탐구를 위한 소중한 마중물『서양의 하늘이 곧 동양의 하늘이다: 탁사 최병헌 목사 문집』 오세종 외 엮음, 삼필문화사, 2020. 『충청남도 선유문안 역주』 한규준 역, 오세종 감수, 삼필문화사, 2020.
|
우리는 탁사(濯斯) 최병헌 목사에 대해 충분히 잘 알고 있다고 착각하다가도 막상 그의 실체와 민낯을 마주하게 되면 낯설고 어려워한다. 최병헌 목사에 대한 뜨거운 학문적 관심과 반비례해 그에 대한 연구가 애써 회피되는 가장 큰 ... |
김흥수, 홍승표 | 2021년 3월 |
|
| |
|
820 |
|
|
단단한 음식을 먹기 위한(고전2:3) 성경공부 교재로서의 단권 주석『IVP 성경비평주석 신약』존 바클레이·리처드 보컴·스캇 맥나이트 외, 이철민·홍성수 옮김, IVP, 2020.
|
그리스어 신약성서를 이해하기 위해 평생을 바친 수많은 성서학자의 노력이 교회 현장의 성경공부에 고스란히 전달되지 않는 상황을 볼 때마다, 특히 요즘처럼 사람들의 발에 밟히는 소금처럼 되어버린 한국교회를 볼 때마다 찌르는 ... |
김선용 | 2021년 2월 |
|
| |
|
819 |
|
|
일치성과 삼위성의 변증법『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냐시오 오르티츠 데 우르비나, 황치헌 옮김,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8.
|
기독교 초기 역사에서 삼위일체론만큼 뜨겁고 치열했던 논쟁은 없을 것이다. 이 논쟁의 무대 위에 등장한 인물과 논의된 주제들은 기독교 신학의 골격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냐시오 오르티츠 데 우르비나가 지은 『니케아·... |
김주한 | 2021년 2월 |
|
| |
|
818 |
|
|
상반되는 성서 텍스트에 대한 책임 있는 읽기와 공동체적 적용『여성, 전쟁, 안식일, 노예제도: 사례 연구를 통한 성서 해석』, 윌라드 스와틀리, 황의무 옮김, 대장간, 2020.
|
성서에는 현대를 사는 우리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상반된 내용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서 노예제도는 지금과는 달리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당시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로 과부, 고아, 나그네가 언급되는 것을 보면, ... |
최은영 | 2021년 2월 |
|
| |
|
817 |
|
|
두 권의 손정도 목사 평전『손정도, 애국적 생애』, 김흥수, 숭실대학교 출판부, 2020. 『손정도: 자유와 평화의 꿈』, 이덕주, 밀알북스, 2020.
|
내가 손정도 목사에 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었다. 그해 10월 평양에서 개최된 손정도 목사 기념 남북학술대회에 참여한 일이 계기였다. 북쪽의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와 남쪽의 손정도 목사 기념사업회가 공동주최한 ... |
류대영 | 2021년 2월 |
|
| |
|
816 |
|
|
'국가와 종교의 결합'을 통해 파헤친 파시즘의 기원『국가와 종교: 유럽 정신사 연구』, 난바라 시게루, 윤인로 옮김, 소명출판, 2020.
|
초유의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여 한국교회는 위기에 직면하였다. 일부 교회들은 극우적인 정치세력과 결탁해 방역 당국과 지속적으로 각을 세우며 혐오와 차별을 내세우는 배타적인 사회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시민사회의 엄청난 비... |
박성철 | 2021년 1월 |
|
| |
|
815 |
|
|
과학자의 진정성과 신학자의 겸손『공룡과 기독교 신앙』, 한국교회탐구센터 편저, IVP, 2020. 『진화는 어떻게 내 생각을 바꾸었나?』, 리처드 마우 외, 안시열 옮김, IVP, 2020.
|
1
어린아이의 단순한 질문이 때로는 신학자를 난처하게 만들 수 있다. ‘성서에는 왜 공룡이 안 나와요?’ ‘노아의 방주에 공룡은 탔나요, 안 탔나요?’ 복잡하고 길게 설명하면 어떻게라도 대답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 |
최경환 | 2021년 1월 |
|
| |
|
814 |
|
|
우리 곁에 성소수자가 있다『성서, 퀴어를 옹호하다』, 박경미, 한티재, 2020
|
박경미 교수의 책 『성서, 퀴어를 옹호하다』는 흔히 ‘동성애 반대 구절’로 이해되는 성서 본문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미 이러한 주제에 대해 서양 학자들의 저서가 무수히 나왔고 적지 않은 책이 번역되... |
김근주 | 2020년 12월 |
|
| |
|
813 |
|
|
역사 이해와 역사학자의 성찰 사이『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최종원, 홍성사, 2020
|
학위 막바지 때의 일이다. 역사를 전공하던 친구들 몇이 모여 수다를 떨다가 입씨름으로 번졌다. 귀국을 결심한 내가, 특정한 시대나 주제, 인물을 가르치기는 쉬울 것 같은데 ‘교회사’ 같은 포괄적 시대는 가르치기에 황당할 것 같... |
이충범 | 2020년 12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