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
|
|
차정식 교수의 『마음의 빛을 부르는 기도』
|
죽음의 수용과 의미 부여, 그리고 내적 성찰로서의 기도의 언어
유승원/훼잇빌한인장로교회 목사
오늘 이곳 미국 땅에서 받아본 지역 일간지에는 죽음의 이야기가 헤드라인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의 젊은 시절에 조소 반 원망 반... |
유승원 | 2004년 7월 |
|
| |
|
58 |
|
|
아브라함 헤셸의 『예언자들』
|
박철수/분당두레교회 목사
나는 1987년 그러니까 17년 전 『예언자들』을 발견했다. 그야말로 발견이었다. 나는 단숨에 이 책을 읽었고 그 감동은 지금도 생생하다. 나는 그때 여러 사람에게 이 책을 권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 |
박철수 | 2004년 7월 |
|
| |
|
57 |
|
|
『구상문학총서』
|
유성호/한국교원대학교 교수·문학평론가
구상 시인의 소천과 총서 발간
지난 5월 11일 새벽에 유명을 달리한 구상(具常) 시인은 분단 시대를 온몸으로 겪은 문인 가운데 거의 마지막 분이 아닐까 한다. 그는 1919년 함경남도 문천에서... |
유성호 | 2004년 7월 |
|
| |
|
56 |
|
|
토마스 머튼의 『장자의 도』
|
은둔과 저항, 아시아인의 숨결로
한상봉/농부·자유기고가
올해는 봄 가뭄이 지독하더니, 사흘째 산골에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 심어 놓은 고추가 흙 속에 깊숙하게 뿌리를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침 장날이... |
한상봉 | 2004년 6월 |
|
| |
|
55 |
|
|
존 스페이드 제이 윌재스퍼의 <틱낫한에서 촘스키까지>
|
사람으로 제대로 살아가기 위해
도홍찬/고척중학교 교사
여행을 다닐 때 가장 큰 골칫거리는 배낭을 싸는 일이다. 이것저것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꾸려넣으면 이내 자력으로 감당하기 힘든 덩치에 이르고 만다. 특히 두 다리에 ... |
도홍찬 | 2004년 6월 |
|
| |
|
54 |
|
|
리차드 루벤슈타인의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 되셨는가>
|
믿음과 종교적 광기, 그리고 폭력
이정희/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1
루터와 칼뱅의 종교개혁 신학/신앙을 매트릭스로 하고 있는 프로테스탄트 교파/종단들에게 4세기의 60여 년 간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 |
이정희 | 2004년 6월 |
|
| |
|
53 |
|
|
김승옥의 <내가 만난 하나님>
|
유성호/한국교원대학교 교수·문학평론가
1
작가 김승옥(金承鈺)은 한국 현대 소설사에서 획기적인 미학적 진경(進境)을 보여준 대표적인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생명연습”(生命演... |
유성호 | 2004년 6월 |
|
| |
|
52 |
|
|
김혜자의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
문득, 저 자신이 불쌍해집니다
이진성/기독교방송국 PD
탈레반 정권이 아프가니스탄의 북부 바미얀에 있는 세계 최대 석불을 대포로 쏘아 파괴했을 때, 전 세계가 경악했습니다. 모든 문화인류학자들과 종교인들이 들고 일어나고... |
이진성 | 2004년 5월 |
|
| |
|
51 |
|
|
고든 스미스의 <분별의 기술>
|
분별은 하나님과 춤을 추는 것이다
유경선/진관교회 목사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뜻대로 살기를 원하며, 그만큼 삶의 여정 또한 결코 단순하지 않다. 출생과 죽음을 제외하고 모든 삶의 순간은 수많은 선택들을 강요한다.... |
유경선 | 2004년 5월 |
|
| |
|
50 |
|
|
김형수 교수의 <문익환 평전>
|
'꿈’의 유목민, 불멸의 예언자
유성호/한국교원대학교 교수·문학평론가
1
우리 독서 시장에서 지금 가장 인기 있는 장르 가운데 하나가 아마 평전(評傳) 문학일 것이다. ‘평전’은 잘 알다시피 문제적 개인의 일대기를 사실적... |
유성호 | 2004년 5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