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0 |
|
|
우리가 잘 몰랐던 루터양명수의 『아무도 내게 명령할 수 없다: 마르틴 루터의 정치사상과 근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최근 몇 년 동안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해서 나온 루터에 관한 책들 중 『아무도 내게 명령할 수 없다: 마르틴 루터의 정치사상과 근대』는 가장 탁월한 저술 가운데 하나로 꼽힐 것이다. 루터의 정치사상이 근대의 형성에 미친 영향... |
강원돈 | 2019년 3월 |
|
| |
|
749 |
|
|
정교회가 말하는 신앙의 신비, “기쁨어린 슬픔”바르톨로메오스의 『신비와의 만남』 박노양 옮김, 정교회출판사, 2018
|
한국의 대다수 개신교 신자들에게 정교회는 낯선 교회이다. 정교회가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정교회의 선교 이해가 다르고, 무엇보다 한국전쟁과 그 후에 더욱 강화된 냉전체제가 정교회에 대한 한국인의 관심을 약화시킨 데 있는 ... |
채수일 | 2019년 3월 |
|
| |
|
748 |
|
|
믿음은 평생의 과업이다메럴드 웨스트팔의 『키르케고르: 신앙의 개념』 이명곤 옮김, 홍성사, 2018
|
기독교 세계에 기독교 새로 소개하기
키르케고르는 파토스를 철학의 주제로 부각시킨 현대 철학의 선구자이다. 그는 철학의 주제를 이성 중심의 로고스에서 인간의 정서와 의지의 역할을 강조하는 파토스로 전환시켰다. 당시... |
윤덕영 | 2019년 2월 |
|
| |
|
747 |
|
|
예배학의 기초가 되는 의례의 사회과학적 이해네이선 D. 미첼의 『예배, 사회과학을 만나다: 예배 연구의 새 지평』 안선희 옮김, CLC, 2018
|
예배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에 입학한 후, 지도교수 한 분이 필자에게 학위 논문을 위해 반드시 의례 연구(Ritual Studies)에 관한 수업을 듣고 그 분야를 공부해야 한다고 조언하셨다. 당시 한국과 미국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포함하여 10여... |
나인선 | 2019년 2월 |
|
| |
|
746 |
|
|
요세푸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비그리스도인 증인박찬웅의 『초기 기독교와 요세푸스: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교를 배경으로』 동연, 2018
|
비그리스도인들 중에는 예수가 남긴 행적의 진실 여부를 떠나 아예 예수라는 존재 자체를 의심하는 사람들도 있다. 마치 신화 속 인물들처럼 예수는 성서 속에만 등장하는 허구의 인물일 뿐 그런 사람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으리라는... |
이진경 | 2019년 2월 |
|
| |
|
745 |
|
|
읽고, 말하고, 함께하기이정희 외 14인의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분도출판사, 2018
|
서슬이 시퍼렇던 1970-80년대 군사독재 시절, 민중신학은 한국교회에 새로운 희망의 촛불이었다. 이제 역사의 변화 과정을 거쳐 반세기가 흐른 오늘날에 다시 민중을 논하고 민중신학을 거론하는 일은 한국교회 내에서 어떻게 비칠까? ... |
전기호 | 2019년 2월 |
|
| |
|
744 |
|
|
하나님나라를 향한 영적 급진주의자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행동하며 기다리는 하나님나라』 전나무 옮김, 대장간, 2018
|
진실한 목소리에는 시대를 초월하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1842-1919), 한 세기 전에 살았지만 불꽃 같은 그의 영혼이 토해낸 하나님나라의 꿈에는 잠든 교회를 일깨우는 힘이 있다. ‘그리스도를 얻고자 하는 열망... |
김희헌 | 2019년 1월 |
|
| |
|
743 |
|
|
생물학적 지성과 도덕비판토마셀로 마이클의 『도덕의 기원』 유강은 옮김, 이데아, 2018
|
생물학적 계몽
인간은 어느 생명체보다도 다른 생명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인류는 오랫동안 인간의 자연적이며 생물학적 본성을 윤리적으로 연구해왔다. 특히 현대의 진화생물학은 동물과 인간의 사회 ... |
김형민 | 2019년 1월 |
|
| |
|
742 |
|
|
동과 서, 남과 북, 그 사이와 사이 넘어요세프 스몰리크의 『요세프 흐로마드카: 체코의 에큐메니칼 신학자』 이종실 옮김, 동연, 2018
|
2013년 10월 부산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는 1961년 인도 뉴델리의 제3차 총회 이후 아시아에서 반세기 만에 열린 매우 중요한 기회였다. 우리나라가 개최지로 선정된 여러 이유 가운데 한 가지는 교단 간의 연합, 무엇보... |
정미현 | 2019년 1월 |
|
| |
|
741 |
|
|
북한 사회의 변화와 ‘갈라파고스식 진화’ 이해주성하의 『평양 자본주의 백과전서』 북돋움, 2018
|
2018년 4월 27일은 한반도의 운명을 바꾼 날이자 세계 평화의 분수령으로 기록되리라 주목받는 판문점 선언이 있던 날이다. 이날 이후 전 세계는 북한이 비핵화를 실행하고 개혁개방을 통해 국제사회로 진출할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북... |
김형석 | 2019년 1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