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0 |
|
|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향한 대담한 구상손규태의 『한반도의 그리스도교 평화윤리』 동연, 2019
|
1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의 구축이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로 설정되고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손규태 선생은 『한반도의 그리스도교 평화윤리』라는 책을 묶어 새로 발간하였다. 이 책은 1980년대 말... |
강원돈 | 2019년 7월 |
|
| |
|
759 |
|
|
“그도 인간이었다”: 모순과 이해의 사이브루스 고든의 『칼뱅』 이재근 옮김, Ivp, 2018
|
칼뱅 탄생 500주년을 맞아 2009년에 발간된 브루스 고든의 『칼뱅』이 2018년 루터의 교회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면서 한국에 소개되었다. 교회사와 선교학 분야에서 학계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활발히 활동하며 학문적으로, 또 대중적으... |
최상도 | 2019년 6월 |
|
| |
|
758 |
|
|
문학과 종교의 창조적 긴장발터 옌스·한스 큉의 『문학과 종교』 김주연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9
|
1
종교와 문학은 본래 한 뿌리에서 나왔다. 고대의 제천의식이나 무가가 그 증거이다. 고대 세계에서 미분화되었던 삶의 형식이 차츰 분화되면서 종교와 문학은 때로는 협력하고 때론 경쟁하면서 발전해왔다. 종교는 거룩하고 영원한 ... |
김기석 | 2019년 6월 |
|
| |
|
757 |
|
|
때맞춰 출간된 3·1운동 기독교 민족대표 열전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엮음 『3·1운동과 기독교 민족대표 16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9
|
1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올해, 1년 내내 3・1운동에 대한 열기가 지속될 분위기이다. 학계도 예외는 아니다. 연속적인 시간으로 이어진 역사에 대해 50주년이다, 100주년이다 하는 식의 인위적인 시대 구분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
안교성 | 2019년 6월 |
|
| |
|
756 |
|
|
‘일본에서 기독교 뿌리박기’에 대한 멀린스의 답변마크 R. 멀린스의 『일본의 종교: 토착교회 운동』 김성건・이숙희 옮김, 다산출판사, 2019
|
일본인보다 일본에 대해 박식한 서양인
김성건・이숙희 교수에 의해 우리말로 옮겨진 마크 R. 멀린스(Mark R. Mullins)의 저서 『일본의 종교: 토착교회 운동』(Christianity made in Japan: A Study of Indigenous Movements)을 처음 접했을 때, 불현듯 ... |
홍민기 | 2019년 5월 |
|
| |
|
755 |
|
|
환대와 화해의 공동체, 영성의 도시필립 셸드레이크의 『도시의 영성』 김경은 옮김, IVP, 2019
|
1. 필자는 2012년 어느 자리에서 ‘사회적 영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 당시에는 무엇이라고 딱히 정의하지 못한 채 언급한 말이었지만, 그것은 개인 영성을 넘어 기독교인들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공동선과 공공성에 대한 개인의 내... |
이정구 | 2019년 5월 |
|
| |
|
754 |
|
|
평화통일, 이 땅의 기독교가 존재하는 이유이삼열의 『평화체제를 향하여: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기독교의 사명』 동연, 2019
|
1. 3・1선언 100주년을 앞둔 시점에서 이삼열 교수의 책 『평화체제를 향하여』를 받아 읽었다. 친필로 후학의 삶을 격려하는 따뜻한 말이 책 안쪽 지면에 선명하게 적혀 있었다. 80세를 눈앞에 둔 노학자임에도 그의 생각은 늘 젊었고 신... |
이정배 | 2019년 5월 |
|
| |
|
753 |
|
|
야코프 푸거, 그는 누구인가그레그 스타인메츠의 『자본가의 탄생』 노승영 옮김, 부키, 2018
|
1
책을 덮으며 한 인간이 역사에 던질 수 있는 무게감에 압도되었다. 야코프 푸거(Jacob Fugger)라는 인물이 경제사를 전공한 필자에게는 결코 낯선 인물이 아니었지만, 책을 덮는 순간 경제와 정치, 종교(교회)의 정교한 씨줄과 날... |
최연수 | 2019년 4월 |
|
| |
|
752 |
|
|
‘한국 기독교 역사’라는 퍼즐의 완성에 기여한 역작송현강의『미국 남장로교의 한국 선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
우리나라 초기 개신교 선교 역사에서 흥미로운 장면이 하나 있다. 1885년 이후 차례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장로교 계열 네 선교회는 몇 차례 분할협정(comity agreements)을 통해서 한반도 각 지역을 선교지로 할당받았다. 가장 먼저 선교를 시... |
이재근 | 2019년 4월 |
|
| |
|
751 |
|
|
일제의 아시아 침략에 대한 한 일본인 학자의 참회의 여정타카미츠 무라오카의 『나의 비아 돌로로사』 강범하 옮김, 겨자나무, 2019
|
필자가 예루살렘히브리대학교(HUJI)에서 하임 라빈 교수에게 성서 히브리어를 배우면서 그분에게 말로만 듣던 그의 제자 타카미츠 무라오카 박사를 처음 만난 것은 1995년 7월 15일 캠브리지에서 열린 세계구약학회의 칠십인역학회 연구... |
민영진 | 2019년 3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