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2 |
|
|
스포츠를 통한 복음 전도사, 반하트임연철, 『반하트: 스포츠맨십의 전도사』(밀알북스, 2021)
|
한국 스포츠 역사를 전공한 사람들에게 반하트는 익숙한 이름이다. 필자 역시 YMCA와 스포츠의 연계과정을 주제로 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반하트라는 이름을 매우 많이 접했다. 잠시 잊고 있었던 그의 이름을 이 책을 통해 다시 조... |
이가람 | 2022년 3월 |
|
| |
|
861 |
|
|
아시아 교회들과 함께한 에큐메니컬 운동가의 활동사안재웅, 『역사가 내미는 손 잡고』(대한기독교서회, 2021)
|
700여 쪽이나 되는 이 두꺼운 책은 무슨 내용을 담고 있을까? 일반적으로 회고록에는 개인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지만, 이 회고록에서는 저자 안재웅과 가족의 사적 이야기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이 책의 1장 앞부분에서 저자의 ... |
김흥수 | 2022년 3월 |
|
| |
|
860 |
|
|
욥이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여정마크 래리모어, 강성윤 옮김, 『욥기와 만나다: 고통받는 모든 이를 위한 운명의 책』
|
1. 그간 필자는 욥기를 연구하면서 많은 연구자들의 이름을 알게 되었지만, 『욥기와 만나다』의 저자 마크 래리모어라는 이름은 낯설다. 그도 그럴 것이 그는 구약성서 학자가 아니라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라이프니츠의 신정론으... |
강철구 | 2022년 2월 |
|
| |
|
859 |
|
|
연대의 지평을 넓히는 낯선 성서읽기데린 게스트 외 엮음, 퀴어성서주석번역출판위원회 옮김,『퀴어 성서 주석: 히브리성서』(무지개신학연구소, 2021)
|
1. 성서를 읽고 신앙을 고백하는 사람들은 현상유지에 만족하기보다 하나님의 “정의를 진전시키는”(30쪽) 일에 투신하도록 도전을 받는다. 신앙의 동료들이 여성억압적 가부장제, 노예제도, 인종차별 등에 맞서고, 독재정권에 ... |
김상기 | 2022년 2월 |
|
| |
|
858 |
|
|
세계교회협의회가 걸어온 거룩한 순례도널드 노우드, 한강희 옮김, 『신앙의 순례: 세계교회협의회의 역사와 주제』(대한기독교서회, 2021)
|
필자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에큐메니컬 신학을 ‘교회의 신학’ 혹은 ‘교회론’이라고 정의하였다. ‘온 세상’을 뜻하는 그리스어 ‘오이코스’에서 나온 에큐메니즘과 에큐메니컬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세상과 관계하는 방식... |
박도웅 | 2022년 2월 |
|
| |
|
857 |
|
|
한국교회 대부흥과 발전에 기여한 선교사 로버트 하디이덕주, 『영의 사람 로버트 하디』(밀알북스, 2021)
|
한국 개신교는 세계 선교 역사상 유례없는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 그리고 그 성장과 발전의 밑바탕에는 수많은 외국 선교사들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많은 한국 개신교인들의 헌신과 봉사가 있었다. 이렇게 한국 개신교를 위해 헌신... |
김칠성 | 2022년 2월 |
|
| |
|
856 |
|
|
왜 바빌론의 역사인가카렌 라드너, 서경의 옮김, 『바빌론의 역사』(더숲, 2021)
|
1. 2003년 미국의 부시 대통령과 사담 후세인 간의 군사적 대립이 정점에 이르러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무렵, 이 지역에 전쟁이 시작되면 과거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이루어낸 수많은 유적들이 파괴될 것이라는 우려를 담은 기사를 ... |
김은규 | 2022년 1월 |
|
| |
|
855 |
|
|
해외에서의 민주화운동 기록이삼열, 『해외에서 함께 한 민주화운동』(동연, 2021)
|
전 세계 민주주의 변화를 추적해온 프리덤 하우스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5년간 미국, 이스라엘, 인도, 이탈리아, 스페인, 오스트리아 같은 국가들에서는 표현의 자유, 법치, 정부의 기능 훼손 등의 측면에서 민주주의 후퇴 현... |
김흥수 | 2022년 1월 |
|
| |
|
854 |
|
|
고영근 목사 연구를 위한 네 번째 주춧돌고성휘 엮음, 『민중·민주·민족을 향한 여정: 목민 고영근 사료집 Ⅳ(1980-1987년)』(동연, 2021)
|
고영근 목사 사료집 시리즈 4권이 나왔다. 이제껏 이런저런 책들을 서평한 적이 있지만 사료집은 처음이다. 거기다 이 책, 700쪽이 훌쩍 넘는다. 난감하다. 당연한 일이지만 이미지 형태로 수록된 옛 자료의 글씨는 조금 작게 느껴진다.(... |
손승호 | 2021년 12월 |
|
| |
|
853 |
|
|
성서 언어, 상징 연구의 새로운 계기가 되길송병구, 『상징: 성경을 보는 눈을 뜨다』(kmc, 2021)
|
32개 주제 낱말, 200여 개 상징물 사진
구약성서에 사용된 히브리어 낱말은 4만 186개, 신약성서에 사용된 그리스어 낱말은 1만 7,327개로, 이 둘을 합하면 성서에 나오는 원어 낱말 수는 물경 5만 7,513개이다. 『상징: 성경을 보는 눈... |
민영진 | 2021년 12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