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0 |
|
|
성령의 논리에 따른 교육목회: 구속적 변형제임스 로더, 이규민 옮김의『통전적 구원을 위한 기독교교육론:변형과 해방을 위한 교육과 예배의 만남』대한기독교서회, 2020
|
2001년 11월 9일, 로더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모두 큰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 프린스턴신학대학원에서 로더와 함께 기독교교육을 가르치던 리처드 아스머(Richard Osmer)는 박사과정 교육 전공생들을 집으로 초청해 고인을 기리는 시간을 마... |
김선영 | 2020년 5월 |
|
| |
|
789 |
|
|
젠더 평등이라는 ‘환상’과 ‘여성혐오'박찬효의『한국의 가족과 여성혐오, 1950–2020』책과함께, 2020
|
움베르토 에코는 『적을 만들다』(2008)에서 이탈리아의 경우 외부의 적이 사라진 후에도, “우리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치 체계를 측정하고 그 가치를 드러내기 위”한 장애물로서, 적은 필요에 의해 만들... |
조영실 | 2020년 5월 |
|
| |
|
788 |
|
|
‘하느님의 부재’ 속에 있는 ‘하느님의 현존’엘루아 르클레르, 연숙진 옮김의『감춰진 하느님 나라』분도출판사, 2019
|
우리가 성서를 읽고 해석하면서 항상 기본적으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있다. 성서는 무엇보다 ‘그때, 거기서, 그들에게’ 말한 책이라는 사실이다. 그렇게 때문에 성서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성서가 기록된 상황/맥락을 알... |
서재경 | 2020년 4월 |
|
| |
|
787 |
|
|
성서와 교회를 토대로 21세기 기독교 정치를 모색하다스탠리 하우어워스, 백지윤 옮김의『교회의 정치학』IVP, 2019
|
예언서로서 『교회의 정치학』
이 책의 원제는 After Christendom?: How the Church is to behave if freedom, justice, and a Christian nation are bad ideas이다. 독자들은 이 긴 제목을 통해 스탠리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가 미국을 일종의 기독교국가(Chris... |
배덕만 | 2020년 4월 |
|
| |
|
786 |
|
|
만주에서 피어난 꽃들의 증언다케모리 마사이치, 세리카와 데쓰요 옮김의『만주기독교사 이야기』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9
|
이 책의 불편함과 소중함
이 책을 여는 순간 한국의 독자들은 매우 당황스러울 것이다. 저자 다케모리 마사이치(竹森滿佐一, 1907-90)가 책의 첫 문장에서 봉천 만철도서관장(奉天 滿鐵圖書館長)의 지도로 만철도서관의 자료를 이... |
박형신 | 2020년 4월 |
|
| |
|
785 |
|
|
중앙아시아에 대한 무지 탈출A. 할리드 지음, 오원교 옮김의『공산주의 이후 이슬람: 중앙아시아의 종교와 정치』진인진, 2019
|
아시아는 원래 지중해 동부 지역을 뜻했다. 소아시아(터키)에서 광산 자원을 구한 앗시리아는 에게해 동쪽을 ‘아수’(Acu, 동방)라고 불렀고, 서쪽을 ‘에레브’(ereb, 해가 지는 땅)라고 불렀다. 그리고 ‘중동’(Middle East)이라는 명칭은... |
서동찬 | 2020년 3월 |
|
| |
|
784 |
|
|
사도행전이라는 광맥을 캐어 다이아몬드를 발견하다유상현의『베드로의 예루살렘 활동: 사도행전 4-5장』대한기독교서회, 2019
|
1. 유상현 교수의 저서 『베드로의 예루살렘 활동』은 사도행전 4-5장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역작이다. 저자는 연세대학교 신학과와 장로회신학대학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뒤 『초기 기독교의 형성』을 쓴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 |
최재덕 | 2020년 3월 |
|
| |
|
783 |
| |
|
782 |
|
|
인도교회를 이해하기 위한 보물창고시릴 B. 퍼스, 임한중 옮김의『인도교회사』 CLC, 2019
|
1. 2015년 이래 한국과 인도의 관계는 ‘특별전략적 동반자’로 발전하였고, 2019년에는 인도와의 관계를 한반도 주변 4강과 유사한 수준으로 격상시키겠다는 한국 정부의 발표도 있었다. 정치경제적 차원에서 두 나라는 점점 가까... |
한경균 | 2020년 2월 |
|
| |
|
781 |
|
|
토니의 삶에서 풍겨난 기독교인의 향기고세훈의『R. H. 토니: 삶, 사상, 기독교』 아카넷, 2019
|
한 사람의 입체적인 인생과 사상을 하나의 평면적인 책 안에 담아내는 작업은 쉽지 않다. 하지만 『R. H. 토니: 삶, 사상, 기독교』는 가히 그 목적에 있어 성공한 책이라 평할 수 있다. 책을 읽는 독자는 저자인 고세훈 교수가 토니를 오... |
유경동 | 2020년 2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