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2 |
|
|
오래되고 새로우며 만화경같이 다채로운 아시아 기독교사와 신학 이야기김흥수·안교성 엮음, 『잊혀진 우리 이야기, 아시아 기독교 역사』(대장간, 2021); 안교성, 『아시아 신학 산책』(대한기독교서회, 2022)
|
한국교회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교회이고, 우리나라에서 파송한 선교사의 과반수가 아시아 각국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우리는 아시아와 아시아 기독교, 아시아 신학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이것은 한국교회가 세계라는 거시적 맥락과 ... |
서원모 | 2022년 6월 |
|
| |
|
871 |
|
|
‘한국 공공신학’의 출판을 꿈꾸며펠릭스 윌프레드 외, 황경훈 옮김, 『아시아 공공신학』(분도출판사, 2021)
|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텔렌보쉬대학교 박사 학위 과정에서 공공신학을 연구할 때, 교수님의 서재에 꽂혀 있던 책 한 권이 눈에 들어왔다. 『아시아 공공신학』(Asian Public Theology)이었다. 아직 공공신학을 깊이 연구하기 전, 공공신학... |
김민석 | 2022년 5월 |
|
| |
|
870 |
|
|
억압받는 이들의 고통이 신학으로: 흑인신학자 제임스 콘의 마지막 노래제임스 콘, 홍신 옮김,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을 거라고 했지만: 한 흑인 신학자의 자서전』(한국기독교연구소, 2021)
|
기독교 신앙의 두 축은 ‘복음의 선포’와 더불어 ‘복음의 해석’이다. 그리고 복음의 해석에서 핵심이 되는 신학의 역할은 중요하다. 흑인신학자 제임스 콘(James H. Cone)의 신학적 자서전은 그가 흑인해방신학의 창시자로서 기독교 신... |
서창원 | 2022년 5월 |
|
| |
|
869 |
|
|
팔레스타인은 외세와 결탁한 정착민 식민주의의 희생양라시드 할리디, 유강은 옮김, 『팔레스타인 100년 전쟁: 정착민 식민주의와 저항의 역사, 1917-2017』(열린책들, 2021)
|
이른바 ‘중동 전문가’로 일컬어지는 서구의 학자 가운데 적지 않은 이들이 진실과는 거리가 먼 저술들을 내놓는다. 이스라엘의 강력한 동맹국인 미국의 자칭·타칭 중동 전문가들이 특히 그러하다. 그가 유대인이든 아니든 친이스라... |
김재명 | 2022년 5월 |
|
| |
|
868 |
|
|
아오지에서 아오지까지조경일, 『아오지까지: 세 번 탈북한 소년의 나라』(이소노미아, 2021)
|
1. 이 책은 단순한 탈북 스토리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탈북 스토리는 그 자체로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조경일의 『아오지까지』는 탈북이라는 소재를 디딤돌 삼아 북한을 떠나 남한에서 살아가는 한 청년... |
김의혁 | 2022년 5월 |
|
| |
|
867 |
|
|
일류 전도자 빌리 그래함의 총체적 면모를 보여주는 일대기그랜트 왜커, 서동준 옮김, 『빌리 그래함: 한 영혼을 위한 발걸음』(선한청지기, 2021)
|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하게 알려진 이름 빌리 그래함.(1918-2018) 그는 6대륙 185개국을 다니며 400회 이상의 전도집회를 통해 2억 명 이상에게 복음의 메시지를 증거하였고, 300만 명을 결신케 한 전무후무한 전도자이다. 그러나 이 책은 부... |
박형진 | 2022년 4월 |
|
| |
|
866 |
|
|
신학과 미술의 교감과 ‘미적 가능성’의 신학을 위하여이은선·이정배·심은록 외 8인,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 슐리얼리스트 믿음과 예술』(한국信연구소, 2021)
|
이 책은 화가이자 시인, 신학자였던 이신(李信, 1927-81) 목사의 소천 40주기를 맞아 총 11명의 전문가와 가족, 지인이 각자의 추억과 지적 관점을 담아 그의 삶과 학문과 예술을 추모한 글 모음집이다. 1부와 2부에서는 이신의 신학과 학문... |
신사빈 | 2022년 4월 |
|
| |
|
865 |
|
|
하나님 나라 축제의 회복을 위하여유성희, 『한국YWCA 100년의 여정: 축제의 회복을 위하여』(대한기독교서회, 2021)
|
오는 4월 20일은 한국YWCA 창립 100주년이다. 3·1운동이 일어나고 3년 뒤인 1922년에 한국YWCA가 창립되었으니 올해로 꼭 100년이다. 100년! “천년이 하루 같은”(벧후 3:8) 하나님 앞에서는 찰나 같은 세월이지만, 인간의 역사에서 100년은 서너... |
장윤재 | 2022년 4월 |
|
| |
|
864 |
|
|
십자가의 길을 걷는 중국 가정교회왕이, 느헤미야 옮김, 『십자가를 짊어지고: 중국가정교회역사(1807-2018)』(서로북스, 2021)
|
중국교회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다루기 민감한 영역은 지금 교회의 모습일 것이다. 정치적인 문제가 연관되어 있고 또한 아직도 이에 따라 각각의 평가가 엇갈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좀 뒤로 미룬 생각도 있었다. 마침 중국 가정교회의 ... |
설충수 | 2022년 3월 |
|
| |
|
863 |
|
|
애도, 치유의 대상이 아닌 동반의 과정알렌 울펠트, 윤득형 옮김, 『애도의 여정에 동반하기: 사별 돌봄의 핵심 11가지』
|
1. 삶은 상실과 그 과정이다. 이 땅의 차가운 공기를 처음으로 들이마신 아기는 폐가 열리면서 찢어질 듯한 아픔에 울음을 터뜨린다. 이어서 시끄러운 소리와 낯선 세계에 던져진다. 누군가의 손에 들린 아기의 몸은 끝이 닿지 않... |
이세형 | 2022년 3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