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2 |
|
|
사유하는 동네 목사님, 추용남 목사의 삶의 이야기추용남, 『죽음이 현실이 되는 순간에도』(신앙과지성사, 2022)
|
* 이 서평은 이 책의 출판기념회(2022. 7. 25, 마포 공덕감리교회)에서 필자가 전한 설교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1. 앞으로 남은 생이 6개월 혹은 3개월쯤 될지 모른다는 말을 들은 추용남 목사님이 ‘죽음... |
이은선 | 2022년 11월 |
|
| |
|
891 |
|
|
전통의 우물에서 길어 올린 신선한 신앙고백김진혁, 『우리가 믿는 것들에 대하여: 사도신경에 담긴 그리스도교 신앙 해설』(복 있는 사람, 2022)
|
국내에서 출간된 저명한 현대신학자의 사도신경 해설서로는 한스 큉(Hans Küng)의 『믿나이다』,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의 『사도신경 해설』, 칼 바르트(Karl Barth)의 『교의학 개요-사도신경에 담긴 기독교 진리』가 있다. 필자는 이... |
김동춘 | 2022년 11월 |
|
| |
|
890 |
|
|
믿음과 깨달음의 균형과 조화오강남,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오강남의 도마복음 풀이』(김영사, 2022)
|
1. 1970년대 유신 독재정권 시절, 나는 신학교를 다닐 때 ‘재일동포 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로 무기형을 선고받고 1,584일 동안 옥고를 치른 적이 있다. 당시 유신 정권의 핵심 인물이었던 중앙... |
김명수 | 2022년 10월 |
|
| |
|
889 |
|
|
동양 기독교 고전 번역의 길최병헌 지음, 이동원 역주, 『만종일련』(삼필문화사, 2022)
|
한국교회의 역사를 돌아보면 선교사의 어학 선생으로 출발하여 교계의 지도자로 성장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한국 기독교 신학의 선구자로 꼽히는 탁사(濯斯) 최병헌(1858-1927)은 가장 대표적인 예의 하나일 것이다. 과거시험에 번번... |
이진구 | 2022년 10월 |
|
| |
|
888 |
|
|
비주류 종교개혁자를 조명하다박종균, 『종교개혁의 빛과 그림자』(북코리아, 2021)
|
1.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은 지가 벌써 5년이다. 그동안 종교개혁에 앞장선 인물이나 종교개혁이 내세운 사상을 다룬 글은 접하기 쉬웠으나, 종교개혁 운동에 참여했다가 오히려 종교개혁 주류 세력에 의해 핍박을 받은 비주류 종... |
박충구 | 2022년 10월 |
|
| |
|
887 |
|
|
한국교회의 역사를 간직한 72곳의 교회를 그림으로 담아내다이근복, 『그림; 교회, 우리가 사랑한』(태학사, 2022)
|
1. 이 책은 저자가 2017년부터 3년 6개월 동안 기독교 인터넷 신문 「뉴스앤조이」에 “그림으로 만나는 한국교회”라는 제목으로 연재했던 것을 모아 출판한 서적이다.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 일정한 역할을 감당했던, 기억할 만한 ... |
이정구 | 2022년 10월 |
|
| |
|
886 |
|
|
세계를 구원할 가능성이 담긴 책김회권, 『자비 경제학: 구약성경과 하나님 나라 경제학』(한국장로교출판사, 2022)
|
『자비 경제학』 등장의 의의
필자는 세계를 구원할 종교는 성서에 기반을 둔 기독교임을 확신한다.(요 3:17) 그런데 기독교가 세계 구원의 사명을 완수하려면 성서 해석과 역사 해석이라는 두 기둥이 튼튼하게 서 있어야 한다. ... |
남기업 | 2022년 10월 |
|
| |
|
885 |
|
|
공들여 살아온 이들의 공들인 화보집: 사진으로 엮어낸 두 기관의 오랜 역사『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30주년 기념 화보집』(대한기독교서회, 2021); 『한국YWCA 창립 100주년 기념 화보집: 변화를 향해 우리, 횃불을 들다』(한국YWCA연합회, 2022)
|
그럴듯한 생일 축하
몇 년 전 직장 동료의 조촐한 생일축하 자리에서 기도를 하라는 이야기를 듣고 “하나님, 죽은 날이 없는 사람은 있어도 태어난 날이 없는 사람은 없는데, 뭐 한다고 축하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으로 기도... |
손승호 | 2022년 9월 |
|
| |
|
884 |
|
|
교권과 속권의 대립, 속권을 지지한 마르실리우스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 황정욱 옮김, 『평화의 수호자』(길, 2022)
|
1. 『평화의 수호자』(Defensor Pacis)는 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Marsilius of Padova, 1275?-1343?)가 중세의 황혼 또는 르네상스의 여명에 해당하는 1324년에 저술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법 제정권이 국민 전체에게 있으며, 통치는 법에 ... |
정병국 | 2022년 9월 |
|
| |
|
883 |
|
|
함태영의 법치, 기독교, 그리고 민주주의: 19세기 말-20세기 중엽 한국김정회,『송암 함태영』(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2)
|
송암(松岩) 함태영(1873-1964)1은 최초의 근대식 사법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에서 교육을 받고 대한제국과 식민지 초기에 검·판사를 역임했으며, 식민지하에서 장로교 목사와 총회장으로 활동했다. 또한 해방 후에는 심계원(... |
안종철 | 2022년 9월 |
|
| |
|
|
|
|